상위 문서: 고려 거란 전쟁/등장인물/거란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676767><tablecolor=#fff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고려 거란 전쟁/음악#s-2.1| Part 1
비상]]
서도밴드
2023. 12. 15.[[고려 거란 전쟁/음악#s-2.2| Part 2
폭풍]]
김장훈
2023. 12. 29.[[고려 거란 전쟁/음악#s-2.3| Part 3
적동
(붉은겨울)]]
안예은
2024. 01. 18.[[고려 거란 전쟁/음악#s-2.4| Part 4
그 겨울에
나는]]
IYAGI (이야기)
2024. 02. 03.그 외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1. 개요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에서 등장한 거란 측 인물 중 이름이 확인되지 않은 관료를 기재한 문서.원래는 이들을 실제 인물로 적는 등 다소 혼란을 주었다. 드라마에서 이들이 누구인지에 대해 자막 자체를 입히지 않아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 종영 시점에서 보면 결국 한심한 제작진의 부실한 대본으로 인해 거란 대부분의 인물을 그냥 엑스트라로 만들어 버리고 이름도 제대로 붙여주지 않은 채로 끝나고 말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무관
2.1. 소배압 휘하 장수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반상윤 扮 |
2.2. 고위급 장수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박진성 扮 |
2.3. 야율분노 휘하 부관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김은우 扮 |
===# 곽주성 성주 #===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조하석 扮 |
===# 곽주성 부관 #===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유상재, 장호진 扮 |
===# 추격대장 #===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마시환 扮 |
추격대를 이끌고 현종을 찾으려다가 놓쳤고, 이후 야율적로에게 죽임을 당한다.
2.4. 내원성 성주
3. 문관
3.1. 대신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박병욱 扮 |
3.2. 관리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고인범 扮 |
23회에서 여전히 숙소에 눌러앉아 지내지만 현종의 거부의사를 재확인 받고 강제로 귀국을 명받는다.[9] 국경지인 압록강을 향해 가던 중 흥화진에서 달려온 고려의 전령을 보고 무슨 일이 났음을 직감하고 고려 호송단을 무시하고 속도를 높였는데, 너무 급하게 가느라 역참에서 말을 갈아탈 수 없기에 타고 온 말로 밤새 달리다보니 어느새 속도가 죽어버렸고, 결국 흥화진의 유방, 정성 등에게 붙잡혀 거란에 억류된 김은부와 같은 신세가 되어 버린다. 이후 강감찬과 소배압의 담판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먼저 풀려나 거란 영토로 돌아온다. 이전 사신들과는 다르게 비교적[10] 점잖게 외교를 하는 편이며 거만하고 오만한 태도 역시 드러내지 않는다. 거란 관리 치고는 꽤나 대인스러운 면모를 작중 내에서 보여주며 특히 고려 백성들의 공격과 고려 관리들의 납치에도 크게 당황하지 않는 모습을 취한다. 한기와는 상당히 대조되는 부분.
===# 항복사절 #===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김범석 扮 |
3.3. 사신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김강일 扮 |
21화에서 거란의 사신으로 찾아와 현종의 입조를 요구한다. 현종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확답을 피하자 친조 일자를 확실히 정해달라고 현종을 압박한다. 27화에 다시 등장하여 친조를 이행하지 않았으니 거란의 대군이 압록강을 넘어 진격할 것이라고 협박한다.
29화에서도 등장. 서경에 머무는 현종 앞에 나타나 친조를 독촉하지만, 현종이 단호히 거절하자 친조를 하겠다 말한 신하들은 어디갔냐고 묻지만 "전부 주살당했다"라는 싸늘한 대답이 돌아오자 분개한다. 최질 일당을 "양국간 전쟁을 막으려던 충신"이라며 궤변을 늘어놓더니 "전하께서 충신과 역신도 구분하지 못하시니 고려에 정변이 끊이지 않는 것"이라는 막말을 내뱉는 우를 범한다.[12] 결국 현종이 격노하자 말도 제대로 못하고 쩔쩔매다가 단교를 선언한 현종에게 순식간에 압송당하고 만다.
최종화인 32화에서 귀주대첩 후 전후처리 과정에서 거란으로 돌아온 모습으로 등장한다. 억류 당시 고생이 심했는지 수염이 죄다 허옇게 세었다.
3.4. 내관 1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扮 |
3.5. 내관 2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양재원 扮 |
4. 승려
4.1. 상경 사찰 주지스님
5. 기타
5.1. 부족장
<colbgcolor=#070707><colcolor=#fff> | |
배우 | |
扮 |
[1] 참고로 원작 소설에서 곽주성을 지키던 거란군은 본래 송나라의 사신이어서 한족 출신이며, 드라마에 나온 것처럼 학살을 즐기는 사람도 아니다.[2] 이를 고려의 사신으로 온 하공진이 쳐다본다. 사실 하공진은 노전과 함께 빠져 나오려고 했지만, 그대로 진영에 남았다.[3] 그런데 여기서 보면 야율융서와 소배압, 야율적로는 말을 탄 채 강을 건너지만, 대신들과 하공진은 그냥 건넌다.[4] 실제 인물은 승천태후 사후에 병을 얻어 제2차 여요전쟁 직후에 세상을 떠났다. 참고로 이 인물이 한덕양이 맞다면, 원작에서의 비중과는 크게 다른 편이다. 원작에선 제2차 여요전쟁 동안 야율융서의 신뢰를 많이 받아 그를 보좌하며, 그가 화를 낼 때에도 금세 잘 달래거나 소배압의 속내를 나름 이해하는 인물 중 하나로 그려진다.[5] 2차 여요전쟁 이후 고려-거란간 외교전이 펼쳐지고 있던 1014년 9월, 강동 6주 반환을 요구한 인물이 이송무(李松茂)다.[6] 그래도 이 구타는 ‘지난 전쟁으로 개경이 함락당했었으니 백성들의 반감이 클 것’ 이라고 인정하면서 넘어가는 나름 대인의 모습을 보였다.[7] 고려국왕이 거란의 책봉을 받는 봉신(封臣)의 위치에 있는데다 현종이 책봉 받지 못한 것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대량원군 전하"라고 낮춰 부른다.[8] 처음에는 강동 6주를 할양하라고 블러핑을 치다가 고려가 판을 깰 분위기이자 본래 목적인 흥화진을 언급한다.[9] 그래도 들어올 때처럼 백성들에게 당할까봐 현종은 판어사대사 장연우를 시켜 교외까지 전송하도록 했다.[10] 다만 비교적일 뿐이지 결국 거란을 위해 일하는 관리임은 틀림 없다.[11] 1015년 고려에 사신으로 와 압박하다가 억류된 인물이 바로 야율자충(행평)이다. 이후 3차 여요전쟁 이후인 1020년 2월에 거란으로 돌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12] 그냥 막말 수준이 아니라 말투부터 대놓고 조롱하는 투였다. 심지어 현종이 언성을 높이기 전까지는 "전하..."라면서 마치 훈계하려는 모습까지 보였으니, 외교관으로서 완전히 빵점인 행태를 보여준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