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0:40:50

고령군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고령군/정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경산 경주 구미 김천 문경
조현일 주낙영 김장호 배낙호 신현국
상주 안동 영주 영천 포항
강영석 권기창 이재훈 최기문 이강덕
고령 봉화 성주 예천 영덕
이남철 박현국 이병환 김학동 김광열
영양 울릉 울진 의성 청도
오도창 남한권 손병복 김주수 김하수
청송 칠곡
윤경희 김재욱
* 김천시장 김충섭 당선무효 (2024.11.28.)
* 영주시장 박남서 당선무효 (2025.3.13.)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colcolor=#ffffff>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수
慶尙北道 高靈郡守
Mayor of Goryeong-County
'''
파일:이남철 고령군수.jpg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이남철 / 제46대 (민선 8기)
취임일 2022년 7월 1일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고령군수경상북도 고령군을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주소)에 있는 고령군청이다. ?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

상세한 특징을 입력해주세요.

3. 명단

아래는 예시입니다. 4.1번 문단은 필요시 작성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과거 (시/군/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1] 기타
(간/관/직)선 (광역) (기초) (읍면동)장
N대
(광역) (기초청사) XX출장소장
초대 XXX 시정

3.1. 역대 고령군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년 (기초단체) 분리 이전 現 (기초단체)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에 대한 내용은 [[(기초자치단체 청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초자치단체 청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년 (기초단체) 분리 이전 現 (기초단체)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 }}}[[(기초자치단체 청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2] 기타
관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초대
민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N대 정당 틀 삽입

4. 역대 선거 결과

파일:기초자치단체 CI_White.svg 역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이름
2014 2018 2022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이름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윤대(李潤大) 2,096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9.77% 낙선
2 이진환(李震桓) 10,851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58% 당선
3 최상호(崔相鎬) 8,50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9.64% 낙선
선거인 수 27,995 투표율
80.00%
투표 수 22,395
무효표 수 945
선거 벽보[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윤대 1회 지선.jpg 파일:이진환 1회 지선.jpg 파일:최상호 1회 지선.jpg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태근(李泰根) 17,389 1위[주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00.00% 당선
선거인 수 29,633 투표율
64.25%
투표 수 19,039
무효표 수 1,65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태근 2회 지선.jpg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태근(李泰根) 11,707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9.22% 당선
3 이진환(李震桓) 8,06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0.77% 낙선
선거인 수 28,715 투표율
70.69%
투표 수 20,299
무효표 수 531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태근 3회 지선.jpg 파일:이진환 3회 지선.jpg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인탁(金仁卓) 9,504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06% 낙선
6 이태근(李泰根) 10,689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93% 당선
선거인 수 28,906 투표율
71.55%
투표 수 20,683
무효표 수 49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인탁 4회 지선.jpg 파일:이태근 4회 지선.jpg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곽용환(郭龍煥) 11,42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8.18% 당선
7 박홍배(朴洪培) 865 3위


[[미래연합|
파일:미래연합 글자.svg
]]
4.40% 낙선
8 정재수(鄭在洙) 7,34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7.41% 낙선
선거인 수 29,169 투표율
69.10%
투표 수 20,155
무효표 수 52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곽용환 5회 지선.jpg 파일:박홍배 5회 지선.jpg 파일:정재수 5회 지선.jpg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곽용환(郭龍煥) 무투표 당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선거인 수 - 투표율
-
투표 수 -
무효표 수 -

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곽용환(郭龍煥) 11,434 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8.30% 당선
6 임욱강(林煜剛) 8,17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1.69% 낙선
선거인 수 29,462 투표율
68.90%
투표 수 20,298
무효표 수 688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곽용환 7회 지선.jpg 파일:임욱강 7회 지선.jpg }}}}}}}}}

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고령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이남철(李楠喆) 7,113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2.10% 당선
4 임욱강(林煜剛) 5,51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2.66% 낙선
5 박정현(朴政炫) 4,26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22% 낙선
선거인 수 27,757 투표율
62.76%
투표 수 17,421
무효표 수 52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이남철_2022벽보.jpg 파일:임욱강 8회 지선.jpg 파일:박정현 8회 지선.jpg }}}}}}}}}

5. 역대 군정 목표

<rowcolor=#ffffff> 군수 군정 목표
이남철 (민선 8기) -

6.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2]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급] ?급 대우[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에서 후보자 전원의 선거벽보가 확인되지 않아 선거공보 첫 장 사진으로 대체.[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1/3 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