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모루성은 광개토대왕릉비에 따르면 영락 6년(396년) 광개토대왕이 정복한 백제 58성 중의 하나이다.충주 고구려비에도 대형의 관등을 갖고 있는 수사(守事)라는 지방관이 파견되어 다스린 성으로 언급되어있다. 따라서 여러 크고 작은 성들을 관할했던 것으로 그 기능 상 규모가 매우 컸을 것으로 보고 있다. [1]
2. 고모리산성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정몽주선생묘
1.#26 이덕남장군묘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정발장군묘
1.#76 이천설성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고송정지(탄옹고지)
1.#126 석수동석실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하우현성당사제관
[3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변경[3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변경[35] 사적 제423호로 승격[36] 사적 제479호로 승격[37] 사적 제480호로 승격[38] 사적 제467호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40] 사적 제464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2] 사적으로 승격[43] 사적 제468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5] 사적 제46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2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
1.#226 연천 대전리 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산64일대의 고모리산성(古毛里山城)이 고모루성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광개토대왕이 정복한 고모루성이 백제성이었던 점과 그 규모가 매우 컸다고 하는 점 등에서, 주류 학계에서는 고모리산성이 고모루성이라고 비정하기에는 그 근거가 다소 약하다고 보고 있으며 고모루성의 다른 여러 후보지들 역시 추정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포천의 고모리산성은 2002년 9월 16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85호로 지정되었다.
[1] 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모루성(古牟婁城) / <광개토왕릉비> 박시형, 1966 / 광개토왕릉비, 노태돈, <역주한국고대금석문>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1992 / 충주고구려비 <역주한국고대금석문>서영대 1992,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2] 참조: 중부매일 - 충주 고구려비 그리고 우벌성ㆍ고모루성 / 디지털포천문화대전 - 포천 고모리산성(古毛里山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