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2:33:31

흥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신라의 군인}}}에 대한 내용은 [[김흥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흥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흥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신라의 군인: }}}[[김흥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흥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흥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정몽주선생묘
  1. 권율장군묘
  2. 심대장군묘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석릉[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가릉[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곤릉[3]}}}
  1. 정약용선생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규보선생묘[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내가지석묘[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용주사회양목[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화정리음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윤관장군묘[7]}}}
  1. 남이장군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신사임당묘[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이선생묘[9]}}}
  1. 이완장군묘
  2. 채제공선생묘
  3. 민영환선생묘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노송지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주대[A]}}}
  1. 맹사성선생묘
  2. 용인 왕산리 지석묘
  3. 최영장군묘
  4. 이항복선생묘
  5. 이종무장군묘
1.#26 이덕남장군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천백송[12]}}}
  1. 조종암
  2. 황희선생영당지
  3. 채산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팔곡리향나무[A]}}}
  1. 유형원선생묘
  2. 최항선생묘
  3. 황희선생묘
  4. 서성선생묘
  5. 서희장군묘
  6. 정문부장군묘
  7. 김준룡장군 전승지 및 비
  8. 해유령전첩지
  9. 이익선생묘
  10. 노강서원
  11. 송산사지
  12. 노산사지
  13. 처인성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자운서원[14]}}}
  1. 화산서원
  2. 한재당
  3. 흥원(흥선대원왕)
  4. 이수광선생묘
  5. 유형장군묘

[1] 사적 제369호로 승격[2] 사적 제370호로 승격[3] 사적 제371호로 승격[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5호로 지정변경[5]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변경[6] 천연기념물 제264호로 승격[7] 사적 제323호로 승격[8] 사적 제525호로 승격[9] 사적 제525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A] [12] 천연기념물 제253호로 승격[A] [14] 사적 제525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정발장군묘
  1. 이방실장군묘
  2. 심온선생묘
  3. 이수선생묘
  4. 덕흥대원군묘
  5. 이대원장군묘및신도비
  6. 원균장군묘
  7. 백인걸선생묘
  8. 성혼선생묘
  9. 이세화선생묘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가평연하리향나무[A]}}}
  1. 유관선생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어재연장군생가[1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문사향나무[1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화성행궁지[1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봉천대[1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장곶돈대[2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화전성[21]}}}
  1. 죽주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택지돈대[2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계룡돈대[2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교동읍성[24]}}}
  1. 별망성지
  2. 농성
  3. 영창대군묘

[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16] 국가민속문화유산 제127호로 승격[17]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7호로 지정변경[18] 사적 제478호로 승격[19]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변경[20]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9호로 지정변경[21]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변경[22]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1호로 지정변경[2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변경[2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고송정지(탄옹고지)
  1. 충목단
  2. 조남리지석묘
  3. 오윤겸선생묘
  4. 김균선생묘
  5. 윤곤선생묘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천제암(궁)지[25]}}}
  1. 갑곶나루선착장석축로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수원 고색동 고분}}}
  1. 박진장군묘
  2. 망월사지
  3. 오산금암리지석묘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화가락허씨중공묘[26]}}}
  1. 이맹현선생묘
  2. 정난종선생묘 및 신도비일원
  3. 한산이씨묘역
  4. 전주이씨서원군파묘역
  5. 전주이씨태안군파묘역
  6. 개원사지
  7. 이준선생묘
  8. 이기조선생묘
  9. 전주이씨 안양군묘
  10. 양평군함왕성지
  11. 안양시비산동도요지
  12. 팔달산지석묘군
1.#126 석수동석실분
  1. 안산읍성및관아지
  2. 허준묘
  3. 파주다율리.당하리지석묘군
  4. 인평대군묘및신도비
  5. 김만기묘역
  6. 여주 석우리 선돌
  7. 여주군처리선돌
  8. 신익희생가
  9. 안재홍생가
  10. 북한산중흥사지
  11. 심지원묘및신도비
  12. 망이산성
  13. 정연묘역
  14. 포천영송리선사유적
  1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화인산리석실분[2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화능내리석실분[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양주대모산성[29]}}}
  1. 김덕함묘및신도비
  2. 신흠묘역및신도비
  3. 연천삼곶리돌무지무덤
  4. 오산시궐리사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건창묘[3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건창생가[3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강화대산리고인돌[32]}}}

[25]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변경[26]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변경[27]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변경[28]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8호로 지정변경[29] 사적 제526호로 승격[30]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9호로 지정변경[31]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0호로 지정변경[32]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김포대곡리고인돌군[34]}}}
  1. 화성남양리신빈김씨묘역
  2. 양평신복리강맹경묘역
  3. 여주흔암리선사유적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이천설봉산성[35]}}}
  1. 한응인묘역
  2. 연천학곡리고인돌
  3. 김포수안산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북한산성행궁지[36]}}}
  1. 만년제
  2. 자유의다리
  3. 청주한씨문익공파묘역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남한산성행궁지[37]}}}
  1. 구암한백겸묘및신도비
  2. 의안대군방석묘역
  3. 양주관아지
  4. 화성홍법리남양홍씨묘역
  5. 문정공조광조묘및신도비
  6. 충렬공박원종묘역
  7. 저헌이석형묘및신도비
  8. 음애이자묘역
  9. 춘곡정탁묘역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호로고루지[38]}}}
  1. 아담스기념관
1.#176 하우현성당사제관
  1.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
  2. 송석최명창묘역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천림산봉수지[39]}}}
  1. 여주매룡리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혜음원지[40]}}}
  1. 파평윤씨정정공파묘역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파주교하물푸레나무[A]}}}
  1. 미수허목묘역
  2. 포천고모리산성
  3. 취몽헌오태주묘역
  4. 유항한수묘역
  5. 광주삼리구석기유적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성봉업사지[42]}}}
  1. 과천관악사지
  2. 과천육봉일명사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천당포성[43]}}}
  1. 고양독산봉수대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산대부광산퇴적암층[A]}}}
  1. 고양멱절산유적
  2. 파주월롱산성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천은대리성지[45]}}}
  1. 여주상교리고려석실묘
  2. 민진장묘역
  3. 수원축만제

[3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변경[3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변경[35] 사적 제423호로 승격[36] 사적 제479호로 승격[37] 사적 제480호로 승격[38] 사적 제467호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40] 사적 제464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2] 사적으로 승격[43] 사적 제468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5] 사적 제469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29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
  1. 평택무성산성지
  2. 평택자미산성지
  3. 평택비파산성지
  4. 평택용성리성지
  5. 평택덕목리성지
  6. 풍고김조순묘역
  7. 연천차탄리고인돌
  8. 연천양원리고인돌
  9. 연천신답리고분
  10. 오산외삼미동고인돌
  11. 연천학곡리적석총
  12. 연천심원사지
  13. 제간공 권규묘역
  14. 용인할미산성
  15. 의왕모락산성
  16. 파주육계토성
  1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파주덕진산성[46]}}}
  1. 둔촌이집묘역
  2. 포천 자작리 유적지
  3. 불암산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가평 잠곡서원지}}}
  1. 고양 북한산 산영루지
  2. 화성 화량진성
  3. 수원 창성사지
1.#226 연천 대전리 산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용인 석성산 봉수터[47]}}}
  1. 해월최시형선생묘
  2. 고양 북한산성 관성소지 및 상창지

[46] 사적 제370호로 승격[47] 사적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파일:경기도기념물48호흥선대원군묘.jpg

1. 개요2. 상세3. 여담4. 외부 링크5. 경기도 기념물 제48호6. 흥원 봉향회

1.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22-73번지에 있는 조선의 왕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이 안장된 묘소.

과거에는 흥선대원군묘라고도 하였고 지금도 그렇게 칭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는 '원'과 '묘'의 격 차이를 고려하면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1978년 10월 10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됐다.

2018년 10월 20일에 경기도와 문화재청은 흥선대원군묘를 본래명칭인 "흥원"으로 회복하기로 하고 부기명으로는 흥선대원군의 책봉명인 흥선대원왕을 붙여서 "흥선대원왕 흥원"으로 표기를 회복시켰다.

2. 상세

말년에 정치일선에서 물러나게 된 흥선대원군이 한성 운현궁을 떠나 도성 밖에 있는 경기도 고양군 공덕리(現 서울 마포구 공덕동)[1]에 사저 아소정[2]을 짓고 기거하였다가 1898년 흥선대원군이 병으로 죽게 되면서 아소정 뒷편 야산에 안장되었다. 이후 1906년 고종의 황명(皇命)에 따라 경기도 파주군 대덕리(現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로 이장되었고, 1966년에 미군 기지가 들어서게 되면서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現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현재의 묘자리로 이장되었다.

공식적인 국왕 지위는 아니었지만 대한제국 수립 후 '흥선헌의대원왕'으로 추존되었기 때문에 왕릉 수준으로 조성되었으며 양석과 마석이 세워졌지만 특이하게도 묘비 등은 보이지 않는다.

같은 남양주에 아들인 고종과 며느리 명성황후의 왕릉인 홍릉과 손자인 순종의 왕릉인 유릉이 있는데도 흥원은 이곳에서 멀리 떨어진 금곡동에 있다. 을미사변 이후 부자관계가 소원해진 영향 때문이었는지 부자의 묘소거리도 상당히 떨어져있고 고종도 부친상에 참석하지 않았던 점과 부자지간임에도 불구하고 홍유릉에 포함되지 못하였던 차이도 있다.

2018년 운현궁 사손 이청과 후손들이 묘소 및 그 주변 토지를 경기도 측에 기증하였다. 대원군묘로 가는 길목에 철문이 길을 막고 있는데 옆으로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철문은 대원군묘가 있는 야산이 사유지였던 흔적이다.

최근 경기도 주도의 역사공원화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흥원 왼쪽 100m 지점(창현리 산22-14번지)에는 낙천군, 은신군, 흥친왕, 이문용, 영선군, 이우, 이종의 납골묘인 흥친왕가족묘가 있다.#

한편, 네이버 지도에는 흥원 옆의 무너져가는 무덤 1기를 완은군 이재선의 묘라고 적고 있으나#, 카카오맵과 현지 이정표에 따르면 이곳은 화장하기 전의 흥친왕묘라고 한다. 그런데 이곳은 이미 납골당이 조성되어 있는데도 파묘되지 않은 채 남아 있기에#, 이곳이 실제로 완은군의 무덤이고 흥원 서쪽에 흔적만 남은 무덤터가 흥친왕 묘(영선군 이준용 묘 터 라고도 한다.)일 가능성도 있다. 가족 납골묘와 흥친왕묘(네이버 지도의 완은군 묘) 사이에는 상석만 남은 묘터 2기(건물지일수도 있다.)#가 있다하는데 그 중 하나 일수도 있다.

3. 여담

대한제국 황족 일가 사이에 6.25 전쟁 당시 대원군의 묘소에 관한 전설이 내려온다 한다.
6.25 당시 인민군이 공격을 해 왔을 때의 일이다. 인민군들은 무차별하게 양민을 학살하는 등 갖가지 만행을 일삼았다. 따라서 그들의 존재가 사람들에게는 두려움 그 자체였다. 그렇게 무서울 것 없는 것 같은 인민군들이었지만 대원군의 묘소가 있는 사당(祠堂) 근처에만 가면 그런 기세가 싹 가시고 오히려 두려워하는 기색이 역력하였다. 웬일인가 하여 사람들이 그 곳을 가보니 알 수 없는 섬뜩함을 느껴졌다. 그리고 그것은 몇몇 사람의 특별한 느낌이 아니라, 거기를 지나는 모든 사람이 똑같이 이상한 기운을 느낀 것이다. 그래서 밤에는 물론, 낮에도 혼자서는 도저히 그 곳을 지날 수가 없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인민군은 거기에 대원군의 혼령이 나타나 있는 것이라고 여기며 무서워 도망갔고, 사당에서 느껴지는 섬뜩한 기운도 이내 가셨다고 한다. #

4. 외부 링크

5. 경기도 기념물 제48호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묘이다.

그는 철종이 후계자 없이 죽은 후 당시 실권을 쥐고 있던 조대비와 힘을 합하여 자신의 둘째 아들인 명복(뒤의 고종)을 왕위에 올리고 대원군이 되어 직접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하였다.

흥선대원군은 안으로 세도정치 근절, 서원철폐, 세제개혁, 법전정비 등을 통해 왕권을 강화했으며, 밖으로는 외세에 대적할 실력을 키워 조선을 중흥할 과감한 혁신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서양세력의 접근에 대해서는 강력한 쇄국정책을 통해 통상요청을 거부하고 병인양요, 신미양요 때는 그들의 침략을 무력으로 저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리하게 경복궁을 중건하여 백성들의 생활고가 가중되고 쇄국정책을 고집하여 근대 문명의 수용이 늦어졌으며, 집권 후반기에는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 반대파와 대립하게 되어 정치에서 실권을 잃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의 묘는 고양군 공덕리에 모셨다가 1906년 파주군 대덕리로 옮겼으며 1966년 4월에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겼다. 묘 주위에는 돌담이 둘러져 있고, 묘역은 2단으로 나누어 만들었다. 상단에는 둘레석을 두른 봉분과 제물을 올려 제사를 지내기 위한 상석이 있고, 하단에는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망주석(望柱石)과 문인석 등의 석물이 갖추어져 있다.

6. 흥원 봉향회

대한황실 후손단체 의친왕기념사업회는 매년 2월 22일 흥선대원군[3]의 기신제향을 모시고 있다. 흥선대원군의 손자 영선군 이준용이 후사가 없자 의친왕의 둘째 아들 이우가 양자 출계하여 운현궁을 계승했다. 따라서 흥선대원군의 친손자 의친왕의 후손들과 흥선대원군의 서장자 완은군의 후손들, 그리고 흥선대원군을 숭모하는 인사들과 함께 매년 제향과 설, 추석 성묘를 모신다.
파일:흥원_제향1.jpg
흥원 기신제향을 모시는 의친왕 장손 이준황손과 사동궁, 운현궁 후손들


[1] 그 당시 이 지역은 경기도 고양군 일대에 속했다가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어서 1947년 서울특별시 지역으로 편입되었다.[2] 이 자리에는 현재 동도중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가 들어서 있다.[3] 1907년 '헌의흥선대원왕'으로 추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