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7:33:55

낙천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F7C22, #6B8E23 20%, #6B8E23 80%, #5F7C2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 제3대
연령군 낙천군 (은신군) 남연군
- 제4대 제5대 -
흥녕군 완림군 이기용 (이해청)
}}}}}}}}}
계동궁 2대 궁주
조선 숙종의 손자
낙천군 | 洛川君
봉호 낙천군(洛川君)[1]
본관 전주 이씨
이름 수신(守愼) → 온(縕)
온중(蘊仲)
양부 연령군
양모 상산군부인 상산 김씨
(商山郡夫人 商山 金氏)
생부 이채(李埰)
생모 진주 류씨(晉州 柳氏)
부인 달성군부인 달성 서씨
(達城郡夫人 達城 徐氏)
자녀 양자 1남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22-14
생몰
기간
음력 1720년 10월 21일 ~ 1737년 9월 5일
양력 1720년 11월 26일 ~ 1737년 9월 28일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사후5. 여담

[clearfix]

1. 개요

숙종과 명빈 박씨 소생 서자 연령군의 양자다.

2. 생애

1720년(경종 즉위년)에 한성부에서 권지승문원부정자와 홍문관 정자를 지낸 문신 이채와 부인 진주 류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원래 선조의 9남 경창군의 6대손으로, 조선 왕실 직계와는 선조의 아들 대에서 갈라졌기 때문에 100여 년이 지난 당시에는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1734년(영조 10년) 12월 21일(음력 11월 27일 무술) 영조의 어명으로 자녀 없이 죽은 숙종의 3남 연령군의 양자로 입적해 왕족이 되었다.#

사실 연령군의 원래 양자는 따로 있었다. 숙종은 소현세자의 증손자 밀풍군 탄의 아들 상원군 공을 연령군의 양자로 삼았다. 그러나 상원군은 아들 없이 죽고, 상원군의 생부 밀풍군이인좌의 난에 엮여 파양당했다. 그래서 다시 대가 끊긴 연령군의 양자로 낙천군이 지명받은 것이다.

낙천군은 입양 후 이름을 실사 변(糸) 항렬에 맞추어 '수신(守愼)'에서 '온(縕)'으로 바꾸었다. 이후 오위도총부 부총관과 도총관을 역임했다.

1737년(영조 13년) 2월에 서종수의 딸과 혼인했다. 그러나 혼인한 지 7달이 채 못 지난 그해 9월에 사망했다. 향년 16세.[2]

3. 가족 관계

4. 사후

덕흥대원군의 8대 사손인 동지돈녕부사 이형종의 아들 이영을 달선군으로 봉하고 낙천군의 양자로 삼았다. 그러나 낙천군부인 달성 서씨가 달선군부인 신씨를 괴롭히자 달선군이 약을 먹고 자살했다. 달선군은 자식이 없었고, 더군다나 달선군이 죽은 뒤 서씨 부인이 영조에게 건의해 달선군은 사후 파양당하고 말았다. 그래서 연령군 - 낙천군의 대는 또다시 끊겼으며, 이에 영조의 손자 정조는 이복동생 은신군연령군의 봉사손으로 정했다.# 그런데 이게 은신군이 죽은 후에 정한 데다가, 낙천군의 아들로 입적시킨다고 명확하게 한 게 아니라서 당시에도 말이 많았다.

항렬을 따지면 은신군연령군손자 뻘이기 때문에[4] 연령군의 손자, 낙천군의 아들로 입적하는 것이 맞았다. 그런데도 연령군의 봉사손으로 정한다고만 하고 낙천군과의 관계는 일절 언급이 없었던 것이다. 연령군의 봉사손이 된다고 해서 자동으로 낙천군의 아들이 되는 게 아니고, 구체적으로 ' 낙천군의 양자로 삼는다 ' 라고 정해야 비로소 낙천군의 아들이 되는 것이다. 정조가 " 은신군이 낙천군의 제사를 받들기 주저해서 곧장 연령군의 제사를 모시게 했다 "라고 밝혔는데# 생전에 입적시킨 게 아니기 때문에 좀 의문스러운 부분이 있다. 어쨌든, 그 은신군도 자식이 없어서 한동안은 예관들이 대신 제사를 지냈다.

1815년(순조 15년)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6대손 남연군은신군양자가 되었다.# 위에 언급한 애매한 문제 때문인지 남연군과 그의 후손들은, ' 우리는 연령군의 제사를 챙길 뿐, 엄연히 사도세자의 자손 '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인식은 여러 기록과 정황에서 찾아볼 수 있다. 1792년에 편찬한 《선원계보기략》와 고종이 즉위한 뒤에 편찬한 《선원보》, 1892년(고종 29년)에 발행한 《선원계보기략》에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자녀로 적혀있었으며, 출계(出系)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1899년(광무 3년)에 고종이 사도세자를 장조로 추존하고 그의 후손들에게 황족 자격으로 군(君)으로 봉할 때, 은신군의 자손들도 포함시켰다. #

그러나 1900년(광무 4년)에 제작한 《선원속보 - 인조대왕자손록, 숙종대왕자손록, 장조의황제자손록 권7 : 연령군파》에는 은신군연령군의 후계로 나와있다.[5] 그런데 낙천군을 건너 뛴 채 바로 은신군이 연령군의 대를 잇는 것으로 나왔다. 낙천군은 본가인 《선원속보 - 선조대왕 자손록 권3 : 경창군파, 경평군파보》에 이름이 올라와있으며[6] ' 정조 때 특명으로 파양당한 뒤 본가로 돌아왔다(正廟朝特命罷歸本宗) '라고 쓰여있다.

그러니 남연군의 자손들은 항렬을 건너 뛴 채 연령군의 후손도 되고 사도세자의 후손도 되는, 족보 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입장에 놓였다. 이렇게 복잡한 연령군가의 계보는 20세기 중반에 들어서야 남연군의 후손들이 정식으로 연령군과 낙천군을 자신들의 선조로 인정하고, 연령군 - 낙천군 - 은신군 - 남연군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확립하면서 일단락되었다.

낙천군의 첫 무덤은 연령군명빈 박씨 묘가 자리하던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있었다. 이후 연령군 묘는 남연군 묘가 있는 충청남도 예산군으로 갔고, 낙천군 묘는 2000년대에 운현궁 4대 사손 이청이 화장하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위치한 흥선대원군묘 건너편에 있는 이우[7]의 묘 자리에 납골 형식으로 모셨다. 낙천군 뿐 아니라 은신군, 흥친왕, 영선군, 이문용, 이우, 이종[8]의 납골묘도 함께 있다.

5. 여담



[1] 봉호는 양모(상주 김씨)의 본관인 상주의 별호인 '낙양'에서 따왔다.[2]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으로는 18세.[3] 임해군의 양자 양녕군 이경(陽寧君 李儆)의 손자인 임원군 이표(林原君 李杓)의 외손녀[4] 조부 영조의 동생이므로[5] 1면.[6] 25면.[7] 고종의 아들 의친왕 이강의 2남이자 영선군 이준용양자.[8] 이우의 아들이자 이청의 동생. 1966년 12월에 미국에서 교통사고요절했다.[9] 우의정을 지낸 김구(金構)의 손자로, 아버지는 참판 김희로(金希魯)이며, 숙부인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와 조카 영의정 김치인(金致仁) 등이 대대로 요직에 있었다. 이 김치만의 둘째 아들이 정조 대의 문신 김종수이다.[10] 선조의 서장녀 정신옹주와 달성위 서경주 사이에서 태어난 3남 서진리(徐晉履)의 손자이다. 그래서 처음에 서종수는 증조모가 선조대왕의 큰 옹주라서 촌수가 가깝다는 이유로 혼인을 거절하였다.[11] 조선 왕실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의 편찬과 종친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했던 기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