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5:21:56

골든 하베스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y Little Pony 제품군의 캐릭터이자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TV 프로그램에 나오는 포니에 대한 내용은 골든 하베스트(Friendship is Magi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골든 하베스트 로고.jpg

GOLDEN HARVEST

홈페이지 화면

1. 개요2. 역사3. 몰락

1. 개요

Orange Sky Golden Harvest Entertainment Ltd.
橙天嘉禾娛樂集團有限公司 (등천가화오락집단유한공사)[1]

1970년에 창립한 홍콩의 메이저급 영화 스튜디오. 홍콩 영화계의 거물인 추문회(鄒文懷), 하관창(何冠昌)[2], 양풍(梁風) 이 세 사람이 합심해 설립한 회사다. 쇼 브라더스의 사장이었던 추문회가 쇼 브라더스의 회장이자 총수인 소일부의 저예산 스튜디오 촬영을 고수하는 회사 경영 방침에 불만을 품고 있던 도중, 방일화(方逸華)[3]에게 사장 자리를 빼앗기고[4] 밀려나자 나유(羅維), 정창화 등과 함께 쇼 브라더스를 퇴사하여 만든 회사이다. 추문회는 장철에게도 같이 가자고 권했었지만, 장철은 쇼 브라더스에 잔류하였다.

한국의 영화사와 비교하면 CJ엔터테인먼트급인데 실제로 관련이 있다. CGV를 공동설립한 대주주 중 하나였고, 원래 CGV의 약자 중 G가 골든 하베스트를 의미했었다.[5] 지금은 계약이 끝나고 손을 털었다.

오렌지스카이 골든하비스트 영화관에 출자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현재는 다디시네마에 매각되었다.

2. 역사


흔히 "둥! 둥! 둥! 둥!"하는 묵직한 효과음과 함께 직사각형 네 개가 모여 웅장한 음악과 함께 정사각형 모양의 G 자 이니셜[6]을 만드는 로고가 인상적이다.

드래곤볼 애니메이션 에서도 천하제일 무술대회가 나오는 에피소드마다 골든 하베스트 특유의 인트로를 그대로 패러디 했다.


하지만 초창기의 로고를 보면 워너 브라더스와 흡사한 로고를 사용했던 홍콩 영화사 쇼 브라더스의 로고를 따라한 게 보인다.


오렌지 스카이에 합병된 이후 현재.

라이벌인 쇼 브라더스는 주로 스튜디오 촬영을 활용한 무협 영화를 만들었는데 골든 하베스트도 기조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여기에만 머물지 않고 세계적인 영화사로 거듭나기 위해 헐리우드와 손잡고 합작영화를 제작하고 아낌 없는 투자를 했다. 덕분에 닌자 거북이캐논볼같은 무술 및 코미디가 들어간 개봉작을 비롯하여 쇼 오브 포스 같은 진지한 영화를 이 영화사에서 제작 및 배급을 맡았다. 그리고 이소룡을 필두로 홍금보, 성룡, 원표를 뜻하는 가화삼보[7]를 배출해 내기도 했으며, 임정영강시선생 시리즈도 대단한 흥행을 거두었다.

대한민국과도 오랜 인연이 있어서 황인식, 황정리, 왕호, 김태정[8] 등 유명한 발차기 고수들도 발탁되어 활약했고 동아수출공사와 합작으로 몇몇 작품을 찍기도 했다. 이 협력관계는 끈끈해서 골든 하베스트 홈 비디오 수입 라이센스도 동아수출공사가 거의 독점했다.[9](서진통상에서 동아수출공사가 수입한 골든 하베스트 영화를 출시해오다 계약이 끝난 1991년부터는 동아수출공사가 자회사인 영성프로덕션을 설립해 이어졌다.)

3. 몰락

1990년대 말엽에 들어 홍콩 영화가 급격한 침체기로 접어들자 골든 하베스트도 휘청이기 시작해 2001년을 끝으로 작품을 내놓지 않았다. 그리고 영화관 사업과 수입, 배급에 치중하다 결국 2007년 11월 1일 중국 영화사 청톈 엔터테인먼트에 매각되었다.

이는 성룡이 영화를 찍을 때마다 매번 예산을 초과해 펑펑 써댄 게 원인이란 말도 있다. 실제로 성룡이 골든 하베스트 내에 자신의 전용 제작사 Golden Way Films를 만든 뒤 직접 메가폰을 잡은 1980년대 중·후반의 영화들은 지금 봐도 아찔할 정도의 스턴트와 블록버스터 같은 장면들로 성룡의 완벽주의 성향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심지어 골든 하베스트에서 성룡에게 준비된 예산 내에 영화를 완성시키면 100만 홍콩 달러의 보너스를 준다는 요청까지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물론 성룡은 이 제안을 매번 거절하였다.

성룡이 감독, 주연한 골든 하베스트 창립 20주년 기념작인 《미라클》의 흥행 부진[10]으로 영화사가 도산 위기에 빠진 적도 있었다. 게다가 홍콩중국 반환이 얼마 안 남은 시점이자 골든 하베스트의 황혼기인 1990년대 중반 성룡의 작품들은 거액을 투입하고도 흥행에 참패했다. 이럴 때마다 골든 하베스트의 부사장인 하관창은 성룡을 옹호했다고 한다. 그럴만도 한 게 홍콩 흥행은 실패해도 해외 흥행을 거뒀으니까. 홍번구처럼 미국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른 것도 이 시절이다.

[1] 보통화로는 청톈자허위러지투안여우셴궁쓰(Chéngtiān jiāhé yúlè jítuán yǒuxiàn gōngsī)이다.[2] 골든 하베스트 내에서 추문회 회장 다음인 서열 2위로 1997년에 사망하였다. 성룡에겐 거의 양부급으로 존경받았고 각별한 사이였다고 한다.[3] 가수 출신으로 쇼 브라더스 회장 소일부(邵逸夫)의 애인이었다.[4] 소일부는 방일화가 사업에 재능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고, 가수 활동 외엔 아무런 사업적인 경력도 딱히 일천하였던 그녀에게 과감하게 덥썩 사장 자리를 맡겨버렸지만, 이는 낙하산이라는 뒷말과 비난이 있을 수밖에 없었고, 자연스레 기존 쇼 브라더스의 간부들이나 감독들은 반발하였다. 이에 결국 회사를 퇴사하는 감독들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정창화[11] 감독이다. 정창화는 자신의 회고록이나 여러 인터뷰에서 방일화를 비난하기도 하였다. 소일부와 방일화의 관계에 대해선 이 글을 참조. 방일화의 등장으로 인해 소일부의 전처 황미진(黃美珍)의 소생들도 아버지와 거의 연을 끊다시피 살고 2014년 소일부 사후에도 분쟁이 일어났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다만 전처 소생의 아들들은 아버지와 방일화에게 정내미가 너무 떨어져서 그런지 소일부 사후 소일부의 유산을 받지 않겠다고 입장을 표명했다.[5] C는 CJ, V는 호주의 영화 제작사인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로 위 3개사가 공동설립했다.[6] 그래서 마지막 직사각형은 첫 직사각형과의 빈 공간을 넓히기 위해 약간 짧다.[7] 골든 하베스트 사의 세 보배라는 뜻. 골든 하베스트 사의 한자 명칭은 橙天嘉禾娛樂集團有限公司(등천가화오락집단유한공사)이다. 골든 하베스트가 2009년 오렌지 스카이(등천)와 합병하여 명칭에 등천이 추가된 것. #. 골든 하베스트에 해당되는 한자는 가화이다.[8] 사망유희 때 이소룡을 대역할 배우를 모집했는데 마땅한 배우가 없어 곤란을 겪던 중 당시 동아수출공사 오너였던 이우석 회장이 김태정을 데려가 오디션을 보게했고 합격점을 받았다. 흥행에도 성공해 이후 대한민국에 돌아와 몇몇 작품을 했지만 그는 곧 잊혀졌다. 사망유희로 뜨기 전까지 김태정은 호떡 장사를 하는 등 생활고로 고생했다고. 2011년 8월 27일 원인불명의 갑작스런 복통으로 별세했다. 향년 만 54세.[9] 그 전에 1989년까지만 해도 세경문화영상에서도 골든 하베스트 영화를 출시하긴 했었다. 세경은 1970~1980년대 이소룡과 왕우가 출연한 작품이나 무협, 시대극 등 다양하게 출시한 반면 서진통상은 극장개봉한 작품이나 미개봉한 B급물 위주로 출시했다.[10] 그래도 《지존무상》에 이어 그해 홍콩 흥행 2위를 거두고 한국이나 해외 흥행도 꽤 된 편이다. 다만 1920년대 배경에 제작비를 너무 많이 들인 것이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