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군의 사령부급 부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공군작전사령부 | 공군사관학교 | 공군군수사령부 | 공군교육사령부 | |
공군공중전투사령부 |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 | 공군방공관제사령부 |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 ||||
◈ 하단 4개의 사령부는 공군작전사령부 직할이며, 이들을 통틀어 공군기능사령부라고 한다. |
공군공중전투사령부 空軍空中戰鬪司令部 ROK Air Force Air Combat Command | |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 2003년 7월 1일 (남부전투사령부) 2015년 12월 29일 (공중전투사령부) |
약칭 | 전투사 |
소속 | 대한민국 공군 |
상급부대 | 공군작전사령부 |
규모 | 공군기능사령부 |
역할 | 예하부대에 대한 작전, 훈련, 행정 지휘 |
사령관 | 소장 김준호 (공사 41기) |
참모장 | 대령 전재균 (공사 42기) |
주임원사 | 원사 김태균 (부사후 171기) |
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 공군기지 |
[clearfix]
1. 개요
공군공중전투사령부령 제1조(설치) 공군에 공군공중전투사령부를 둔다. 제2조(임무와 관할구역) ① 공군공중전투사령부(이하 "사령부"라 한다)는 예속 또는 배속된 부대에 대한 관할구역에서의 작전·훈련과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② 사령부의 작전·훈련 관할구역은 공군작전사령관이 정하고, 군 행정 관할구역은 공군참모총장이 정한다. |
2. 상세
원래는 공군남부전투사령부란 명칭으로 2003년 7월 1일에 창설되어 대한민국 남부의 전투비행단을 총괄하는 부대였다. 전구를 작전영역으로 하는 공군의 특성상 지역별 사령부를 구성하는 것보다 기능별로 사령부를 구성하는 기능사령부 편제가 전문성 발현을 위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2015년 하반기부터 공중기동정찰사령부(舊 북부사)와 더불어, 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되었고, 이후 공중기동사와 상호 부대 재배치를 통해 현재 공군의 모든 전투비행단을 예하에 둔 전투사령부가 되었다.2.1. 역사
- 2016. 01. 01. 공중전투사령부 창설(전신 남부전투사령부)
- 2016. 11. 02. FA-50 최종호기 인수
- 2016. 12. 22. TAURUS 무기체계 전력화
- 2017. 09. 28. 대통령 부대표창 수상(제69주년 국군의 날 기념 우수부대)
- 2018. 04. 01. 17전비 151전투비행대대 창설
- 2018. 12. 01. 20전비 133비행대대 창설
2.2. 부대마크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AFF><color=#fff> 공군공중전투사령부
空軍空中戰鬪司令部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ir Combat Command ||
空軍空中戰鬪司令部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ir Combat Command ||
부대마크 | |
상시 전비태세를 갖춘 공중전투사 전력이 일치단결하여 완벽한 영공방위 임무를 완수함을 표현 | |
<colbgcolor=#2F9AFF><colcolor=#fff> 방패 | 절대로 뚫리지 않겠다는 영공방위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상징 |
4개의 색상 | 공군의 4대 핵심가치를 상징 |
3개의 줄 | 영공수호의 핵심사령부인 공군작전사, 공중전투사, 공중기동정찰사 3개 사령부의 상시 출격 가능의 전투력 표현 |
청색바탕 | 대한민국의 영공을 의미 |
태극문양 | 대한민국을 상징하며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의미 |
3. 편제
4. 출신인물
4.1. 역대 사령관
4.1.1. 남부전투사령관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AFF><color=#fff> 역대 남부전투사령관 ||
<rowcolor=#fff> 역대 | 이름 | 기수 | 비고 |
초대 | 이영하 소장 | 공사 22기 |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참모차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2대 | 윤재원 소장 | 공사 23기 | |
3대 | 오창환 소장 | 공사 25기 | 공군작전사령관, 공군사관학교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4대 | 이상길 소장 | 공사 26기 | |
5대 | 이영만 소장 | 공사 27기 | 공군작전사령관, 공군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 공군사관학교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6대 | 김영민 소장 | 공사 28기 | 공군사관학교장, 공군교육사령관,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7대 | 박재복 소장 | 공사 29기 | 공군작전사령관, 공군사관학교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8대 | 우정규 소장 | 공사 30기 | |
9대 | 정경두 소장 | 공사 30기 | 공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역임 후 대장 전역. 46대 국방부장관. |
10대 | 강구영 소장 | 공사 30기 | 공군교육사령관, 공군참모차장,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역임 후 중장 전역. |
11대 | 심청용 소장 | 공사 32기 | 이후 공군군수사령관 역임.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4.1.2. 공중전투사령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2F9AFF>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2F9AFF>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80,#7f7fff | |||||
초대 황성진 | 2대 노승환 | 3대 김준식 | 4대 최성천 | 5대 신옥철 | |
6대 박창규 | 7대 진영승 | 8대 공승배 | 9대 김준호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AFF><color=#fff> 역대 공군공중전투사령관 ||
<rowcolor=#fff>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최종보직 | 기타 |
초대 | 황성진 | 예) 중장 | 공사 33기 | 前 공군작전사령관 | # |
2대 | 노승환 | 예) 소장 | 공사 34기 | 前 공군교육사령관 | |
3대 | 김준식 | 예) 중장 | 공사 35기 | 前 공군작전사령관 | |
4대 | 최성천 | 예) 중장 | 공사 36기 | 前 공군작전사령관 | |
5대 | 신옥철 | 예) 중장 | 공사 36기 | 前 공군참모차장 | |
6대 | 박창규 | 소장 | 공사 38기 | 前 사령관 | |
7대 | 진영승 | 중장 | 공사 39기 | 現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장 | |
8대 | 공승배 | 소장 | 공사 39기 | 現 공군사관학교장 | |
9대 | 김준호 | 소장 | 공사 41기 | 現 사령관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근무환경
살고 있는 환경은 제11전투비행단이랑 거의 똑같다. 같은 기지에 사니까. 전투사령부가 더 아담한 자리에 살고 있을 뿐. 그리고 여긴 사령부라서 근무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군사경찰, 급양 등의 특기는 존재하지 않는다.[3] 그래서 몸이 편한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총무 등 행정업무 관련 특기를 받은 극소수의 병사가 배치된다.제11전투비행단 소속 병사들도 소수 근무한다. 청사 경비와 시설 관리를 위해 군사경찰/공병 병사들이 있다. 전투사 병사들과는 아저씨 관계지만, 서로 고생한다는 인식이 있어서인지 2020년 기준으로 사이가 우호적인 편이다.[4] 심지어 모 사령관께서 11비 소속 파견병사들과 공무직 근로자들만을 위해 간식을 선물한 적도 있었다! 병사들에겐 11비 병사들이 부대가 다른 아저씨지만 사령관에겐 11비 병사들도 편제상 직속부하다.
역시 상급부대답게 현재는 나름대로 다양해졌지만 예전에는 병사 대부분이 고학력자였다. 실제로 모 부서는 병사의 절반이 서울대 출신이었을 정도로 고학력자가 많았다.
공군 인트라넷의 병사 커뮤니티인 휴머니스트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만화 전생전역과 천하제일 정공대회[5]의 작가가 이 부대 행정과에서 근무했다. 작가의 개인 블로그에서 군 생활을 주제로 하는 만화를 구경할 수 있다.
6. 기타
6.1. 부대가
공중전투사령부가 |
(1절) 용감한 전우들이 여기에 모여 필승의 신념으로 굳게 뭉쳐서 하늘로 솟구치는 드높은 기상 보아라 우리가 저 하늘 지킨다 (2절) 정의와 사랑으로 여기에 모여 저 하늘 수호하는 날개가 되어 우주로 이어가는 보라매의 꿈 영원히 빛내리 공군의 이름을 (후렴) 아아↗ 조국과 함께 하는 대한의 보라매 하늘로 우주로 공중전투사령부[6] |
7. 여담
- 공군의 기능사령관 중에서 가장 핵심 보직에 해당되며 진급에 있어 공군 감찰실장과 더불어 중요 요직 중 하나이다. 실제로 개편 이후 가장 먼저 중장 진급자가 나온 사령부이다. 사실 그런 것 치고는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대장)으로 영전한 사람이 남부전투사령부 시절까지 합쳐도 정경두 장군 한 명 뿐인 게 특이한 점.[7] 물론 애초 공군은 대장 고정보직이 참모총장 한 명뿐인 것도 크다. 최성천 전 사령관이 중장 진급에 성공하여 공군사관학교장을 거쳐 공군작전사령관으로 영전하였으며, 후임 사령관인 동기 신옥철 소장도 중장 진급에 성공하였다.
- 예하 전투비행단을 관할하고, 국군의 공중 작전 상황(공중 무장 능력)과 훈련 상황을 밀착 관리하는 중요한 임무를 지닌 현장 지휘 부대이다.[8]
8. 관련 문서
[1] 비공식적으로 '공전사'나 '전투사' 등의 약칭도 쓰인다.[2] 2018년 말 정경두 당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은 김준식-최성천 사령관의 이취임식에 참석하기도 하였다.[3] 대구기지의 사령부급 부대들은 단순 지원업무를 제11전투비행단에 아웃소싱하고 있다. 차량이 필요하면 11비 수송대대에 배차를 넣고, 시설 유지관리는 공병대대의 도움을 받는 형태이다. 전투사 병사들은 식사 역시 11비 병사1식당에서 해결한다.[4] 전투사 소속 간부들 역시 이들을 잘 존중해주는 편이다. 업무 중 고충이 있는지 신경을 써준다거나, 사령부 행사를 하고 남은 부식을 나눠주시는 식으로 하고 있다.[5] 전국의 '정공' (정예공군) 장병들이 각자의 특기를 살린 기술로 격투를 벌인다는 내용이다. 바키 시리즈의 공군판이라고 보면 될 듯. 인트라넷에 올라온 만화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어떤 용자가 스캔본을 따서 일부 회차를 올려놨다. 사실 스캔본을 땄다기 보단 그냥 간부 없을 때 인쇄하면 된다.[6] 이름이 바뀌기 전에는 남부전투사령부 로 불렀다[7] 특이할 것도 없는 게 공군은 원래 연합합동작전이 중시되어 공군 내 작전보직보다도 합참 요직 경험자가 더 진급이 잘 된다. 예시로 소장급 최고 요직은 공본 정작부장도 전투사령관도 아닌 합참의 연습훈련부장이다.[8] 미군으로 치면 4스타급 부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