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0:13:47

교육위원회

교문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대통령 소속 위원회에 대한 내용은 국가교육위원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과거에 같은 이름을 가졌던 북한의 국가 행정조직에 대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성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및 상설특별위원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8em"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
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림축산식품
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겸임 상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는 비상설 특별위원회로서 존속한다.
}}}}}}}}}
 
파일:교육위원회 로고.svg

대한민국 국회 교육위원회
敎育委員會 | Education Committee
<colbgcolor=#f5f5f5,#2d2f34> 약칭 교육위
위원장
파일:zsdkl3gasdg.svg
김영호 (3선, 서울 서대문구 을)
간사
파일:zsdkl3gasdg.svg
문정복 (재선, 경기 시흥시 갑)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정훈 (재선, 서울 마포구 갑)
구성 위원 16인/16인, 3개 소위원회
교섭단체
파일:zsdkl3gasdg.svg
9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인
비교섭단체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인
공식 사이트 교육위원회
1. 개요2. 상세3. 소관 기관
3.1. 교육부3.2. 국가교육위원회3.3. 국립대학교3.4. 교육청
4. 소위원회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6. 역대 위원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회상임위원회. 약칭은 교육위이다.

교육위원회는 교육부 소관에 속하는 사항을 담당한다(국회법 제37조 제1항 제6호).

문교부가 있던 시설인 1980년대 까지는 문교위원회였고 문교부가 교육부로 개칭되자 문교위도 교육위원회로 바뀌었고 2008년까지는 교육위원회였으나,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가 해산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 분야를 받아와 교육과학기술위원회로 운영되다가, 2013년에 舊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문화체육관광분야를 받아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로 운영되었다. 그래서 약칭이 교문위였다.
2018년 7월 10일, 20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 협상 과정에서 교육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로 분리하기로 합의했다.이것이 상임위원장 몫 나누기인 것은 아니다. 윤리위를 비상설로 전환해 상설 위원회는 18개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도 편법이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1]

2. 상세

원래 참여정부 때까지만 해도 국회 상임위는 교육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로 각각이 독립된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없애고 교육과학기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를 만드는 과정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가 공중분해되었고, 그러다 박근혜 정부 들어 사실상 과학기술부의 후신인 미래창조과학부가 만들어지면서 국회 상임위 구성이 제대로 꼬이며 가뜩이나 덩치가 큰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산하 기관이 교육위로 와서 붙어버리게 된 게 지금의 현실이다.

그래도 교육 분야와 문화체육 분야가 한 상임위에 모인 덕분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졌을 때 게이트의 실체가 밝혀지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면 2016년 여름 교육계의 이슈 중 하나였던 이화여자대학교 미래라이프대학 신설 반대 시위 사건을 파헤치는 와중에 정유라 특혜 의혹이 나왔는데, 이미 문체부 쪽에서 한참 최순실에 대해 다루고 있던 터라 (이제 내막이 서서히 드러나던 시점이라 그렇게 큰 관심까지는 못 끌고 있었음에도) 야당 의원들이 사안의 중대함을 바로 알아차리고 이대 사건에서 이미 의원들과 정보를 교류하던 반대파 교수들을 통해 그걸 깊게 파헤칠 수 있었던 것.

위원장은 과거 제헌 국회부터 제12대 국회까지는 모두 권위주의 정권의 반공교육으로 인해 보수정당 출신이 문교위원장, 문교공보위원장을 차지했지만 제13대 국회에서 모두 야당이던 평화민주당, 민주당 출신이 문교공보위원장을 차지했다. 이후 문화공보위원회가 분리되고, 14대 국회에서도 교육위원장은 민주당이 차지했다. 그러다 교육위원장은 15대~17대 국회에서도 계속 신한국당 - 한나라당 출신이 맡았던 적이 있지만, 18대 국회부터는 민주당계 정당 차지가 되었다. 이후 민주당계 정당이 계속 교과위와 교문위를 맡았다. 20대 국회 초반기까지도 민주당계 정당이 교문위를 차지했지만 하반기 국회에서는 10년 만에 보수정당인 바른미래당이 교육위원회를 차지했다. 이후 미래통합당이 위원장을 탈환했다. 21대 국회에서도 계속 맡을 것으로 보였으나 더불어민주당이 21대 국회 상반기의 모든 상임위원장을 차지하게 되면서 민주당이 탈환했지만, 여야합의로 인해 국민의힘이 다시 탈환했고 후반기 국회에서는 다시 더불어민주당이 위원장 직을 맡았다.

3. 소관 기관

3.1. 교육부

3.2. 국가교육위원회

3.3. 국립대학교

3.4. 교육청

4. 소위원회

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파일:국회휘장.svg 교육위원회
<rowcolor=#fff> 구분 의원 소속 정당 선수
위원장 <colbgcolor=#fff,#1c1d1f> 김영호
파일:zsdkl3gasdg.svg
3선
간사 문정복
파일:zsdkl3gasdg.svg
재선
간사 조정훈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위원 고민정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김문수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김준혁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박성준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백승아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정을호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진선미
파일:zsdkl3gasdg.svg
4선
위원 김대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김민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김용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서지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정성국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강경숙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6. 역대 위원장

이 위원회는 교육위원회를 전신으로 하지만, 2008년 정부부처 개편을 맞아서 교육인적자원부가 과학기술부를 합병하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위의 과학기술분야를 이관받았다. 이후 2013년에 정부부처를 다시 개편하면서,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문화체육관광 분야를 이관받고, 동시에 과학기술분야를 내주면서 사실상 17대 국회 시절의 과기정위를 부활시키고, 교육위에 문광위를 합병시킨 모양새가 되었다가 재분리되었다. 따라서 교육위의 위원장만 적도록 한다.
회기 성명 정당 선수
교육과학기술위원장
15대 후반 함종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선
16대 전반 이규택
후반 윤영탁
17대 전반 황우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반 권철현
18대 전반 김부겸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종걸
후반 변재일 재선
19대 전반 신학용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선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19대 전반 신학용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3선
후반 설훈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박주선[2]
20대 전반 유성엽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3]
교육위원회[4]
20대 후반 이찬열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홍문표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1대 전반 유기홍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해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후반 유기홍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민 재선
22대 전반 김영호
파일:zsdkl3gasdg.svg
3선

[1] 분리 필요성이 제기되는 산자중기위, 국토위의 분할까지는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에 나눠먹기라는 여론을 의식한 절충안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위원장 수 증가를 목적으로 교문위 분할을 주장한 평화와 정의의 상임위원장 수요는 정개특위 위원장이라는 변칙적 방법으로 해소하였다.[2] 설훈과 박주선 두 의원은, 위원장직을 1년씩 나눠서 맡기로 애초에 합의했으나, 위원장직을 승계받은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박주선 의원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있다가 국민의당에 합류했다.[3] 2018년 연초에 국민의당을 탈당하고 민주평화당에 합류했다.[4] 문화체육관광분야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로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