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9·20대 함진규 | → | 제21·22대 문정복 | → | 현직 |
문정복 관련 틀 | |||||||||||||||||||||||||||||||||||||||||||||||||||||||||||||||||||||||||||||||||||||||||||||||||||||||||||||||||||||||||||||||||||||||||||||||||||||||||||||||||||||||||||||||||||||||||||||||||||||||||||||||||||||||||||||||||||||||||||||||||||||||||||||||||||||||||||||||||||||||||||||||||||||||||||||||||||||||||||||||||||||||||||||||||||||||||||||||||||||||||||||||||||||||||||||||||||||||||||||||||||||||||||||||||||||||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1·22대 국회의원 문정복 文貞福 | Moon Jeong-bog | |||
| |||
출생 | 1967년 1월 10일[1] ([age(1967-01-10)]세) | ||
경기도 화성군 (現 경기도 화성시) | |||
거주지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 시흥은행푸르지오4차아파트 | ||
본관 | 남평 문씨[2] | ||
현직 | 제22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시흥시 갑 지역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위 정책위원 더불어민주당 예산결산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교육 정조위원장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솔리나) | |
가족 | 배우자 최상철[3], 딸 최서현, 아들 최규현 반려묘 살구, 앵두 | ||
신체 | 155cm, A형 | ||
MBTI | ENFP | ||
학력 | 노진국민학교 (졸업) 장안여자중학교 (졸업) 삼괴고등학교 (졸업)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 /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책과학 / 석사) | ||
소속 정당 | |||
지역구 | 경기 시흥시 갑 | ||
의원 선수 | 2 | ||
의원 대수 | 21, 22 | ||
소속 위원회 | 교육위원회 (간사) | ||
경력 | 백원우 국회의원 보좌관 희망세상지역아동센터 원장 제6-7대 경기 시흥시의회 의원 (민선 5·6기 /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제6대 경기 시흥시의회 전반기 도시환경위원회 위원장 제7대 경기 시흥시의회 전반기 도시환경위원회 위원장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기획위원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문재인 정부) 더불어민주당 시흥시 갑 지역위원장 제21대 국회의원 (경기 시흥시 갑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더불어민주당 대외협력위원장 제22대 국회의원 (경기 시흥시 갑 /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간사 더불어민주당 예산결산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교육 정조위원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2. 생애
1967년 1월 10일, 경기도 화성시(당시 경기도 화성군)에서 출생했다. 노진초등학교, 장안여자중학교, 삼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20년 2월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3부 야간대를 졸업하였고 2020년 3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 등록하여 2023년에 졸업하였다.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결혼한 뒤 시흥시로 이주하였다. 딸이 3살이던 1992년 3월 실시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정구 국회의원의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치와 인연을 맺었다.
2007년 백원우 국회의원의 4급 보좌관이 되어, 2008년 국정감사에서 보건복지가족부 이봉화 차관의 쌀 직불금 불법수령을 밝혀냈다. # 결국, 이봉화 차관은 보건복지부 차관직을 자진 사퇴하였다. # 그 해 백원우 의원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선정 2008년 우수 국정감사의원으로 뽑혔다. #
2009년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희망세상지역아동센터를 열고 원장이 되었다. 2010년 7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흥시 시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시의원 임기 중 시흥시의회 도시환경위원장을 두 차례 역임하였다.
2017년 문재인을 지지하는 여성들의 전국 모임인 여민포럼을 조직하고 사무총장이 되었다. 2017년 9월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에 임명되었고, 2018년 7월부터 더불어민주당 시흥 갑 지역위원장을 맡아 활동했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남동부 연장과 관련하여, ▲인천대공원~광명 12.8㎞ ▲인천대공원~독산 13.9㎞ ▲인천대공원~매화 8.6㎞ 중 ‘독산연장선’이 B/C(경제성) 0.83, AHP(정책적 분석) 0.515로 사업타당성이 가장 높지만 GTX-B, 월곶-판교선을 반영할 경우 경제성이 0.55로 추락한다는 결과가 발표되자 , 2019년 12월 12일 "신독산-신림" 추가 연장을 제안했다. #
2020년 3월, 더불어민주당 당내 경선에서 승리해 시흥시 갑 지역구 후보로 공천되었다.# 본선에서 지역구 현역 의원이었던 미래통합당 함진규 의원을 6.82%p 차로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에 임명되었다.#
위 경력에서 알 수 있듯이 법조인, 전문직 종사자, 교수, 기업인 등 사회 각계의 엘리트 외부영입을 통해 인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대한민국 국회에서 매우 보기 드문 풀뿌리형 국회의원이다.[4] 학력이나 정치참여 이전 경력에서 별다른 특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흥시 기반이 탄탄한 제정구 국회의원의 선거운동원으로 시작하여 지역정치 활동 - 국회의원 보좌관 - 기초의회 의원 - 지역위원장 - 국회의원 당선 코스를 거쳤는데, 미국 하원이나 유럽 각국의 국회의원들 중에서는 이런 지역밀착형 전업 정치인으로 커리어를 시작하는 경우가 꽤 많으나, 한국에서는 매우 찾아보기 어렵다.
친명 정치인이기도 한데 김지호에 따르면 , 이재명 당대표 첫번째 당선 이후에 의원총회에서 당대표 사퇴하고 비대위 짜자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앞장서서 반대 의견을 냈다고 한다.
23년 3월 9일경, 정순신 국가수사본부장 후보자의 아들 정모군의 학교폭력에 관련된 일로 열린 교육위원회 현안질회에서 너무나도 무책임하고 성의없는 고은정 반포고등학교 교장[5]의 발언에 잠시 할말을 잃은 듯 기가 막히고 어이없다라는 듯한 표정을 짓더니[6], 아주 작정한듯 문자 그대로 반포교 여교장에게 맹폭을 가했다.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기록 삭제한 반포고등학교....이유 물었더니 돌아온 황당 답변
2023년 5월 15일 은계호수공원에서 열렸던 은계호수축제의 일부 불법 노점상 상인들과 고성을 지르며 다투는 모습을 보여줬다.
2023년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문정복의원 등 10인)을 입법예고가 되었으나 배치율 47프로에 못미치는 학교의 전문상담교사를 사회복지사들로 대체할 수 있다는 취지의 법률로 수많은 지탄을 받고 있다. 엄연히 전문상담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영역은 다른데 학교폭력 등으로 심리 정신적 문제로 고통받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장에서 상담이라는 전문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분야를 더 좁히게 되는 근시안적인 이익단체만을 바라본 법안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정복 의원실과의 통화내용을 보면 문정복 의원뿐만 아니라 문정복 의원실 보좌진 또한 상대에 대한 예의가 좋지 않다.
실제로 합리성이 떨어지는 정책인 것으로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이자 실제 종사자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이가 문제를 제기하자 똑같은 말만하니까 전화를 끊는 다는 식으로 응대하며 그 어떤 의원실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국민에 대한 응대방식을 보여줬다.
이 법안에 반대하는 한 교사가 의원실과 통화한 내용이다.
질: 이 법안을 발의한 연유는?
답: 학교에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 수가 적다. 그래서 복지사를 배치하려고 한다.
질: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가 적으면 그들을 충원할 법을 발의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답: 교원들이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 증원을 반대한다. 그래서 그들을 충원하기 어렵다고 한다.
질: 교원이 반대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답: 수원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수원시청에서 받은 의견이다.
질: 어디서 그것을 확인하면 되나?
답: 수원시장실에 전화해서 이 법률과 관련된 것을 문의하라.
질: 그렇다면 교원들이 복지사가 상담교사 자리에 배치되는 것은 찬성한다는 것이냐?
답: 별다른 이견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안다. 상담교사들이 그들을 대신해서 복지사를 배치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복지사들이 학교에 있는 정신질환자인 학생들을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복지사들을 정신질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입법예고했다.
질: 그것이 가능하다는 근거는 무엇이냐?
답: 누구든 입법을 제안하면 된다.
질: 법을 그렇게 간단하게 제안할 수 있는 것이냐? 상담과 복지는 전문성이 다른 영역이다. 심리상담을 전공한 사람들도 복지에 대해서 공부한다. 그렇지만 복지사로서 일을 하지는 않는다. 전문적 영역이란 엄연히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담을 복지사들이 대체할 수 있다면, 복지를 상담사들이 대체할 수도 있다는 것이냐?
답: 그것을 원한다면 제안하라. 우리가 입법예고하겠다.
질: 제안하면 명확한 근거와 연구도 없이 다 입법예고할 수 있다는 것이냐?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이런 식으리 법률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냐?
답: 이것이 우리의 일이다. 더 이상은 같은 말만 되풀이 하는 것 같으니 먼저 끊겠다.
답: 학교에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 수가 적다. 그래서 복지사를 배치하려고 한다.
질: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가 적으면 그들을 충원할 법을 발의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답: 교원들이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 증원을 반대한다. 그래서 그들을 충원하기 어렵다고 한다.
질: 교원이 반대한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답: 수원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수원시청에서 받은 의견이다.
질: 어디서 그것을 확인하면 되나?
답: 수원시장실에 전화해서 이 법률과 관련된 것을 문의하라.
질: 그렇다면 교원들이 복지사가 상담교사 자리에 배치되는 것은 찬성한다는 것이냐?
답: 별다른 이견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안다. 상담교사들이 그들을 대신해서 복지사를 배치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복지사들이 학교에 있는 정신질환자인 학생들을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복지사들을 정신질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입법예고했다.
질: 그것이 가능하다는 근거는 무엇이냐?
답: 누구든 입법을 제안하면 된다.
질: 법을 그렇게 간단하게 제안할 수 있는 것이냐? 상담과 복지는 전문성이 다른 영역이다. 심리상담을 전공한 사람들도 복지에 대해서 공부한다. 그렇지만 복지사로서 일을 하지는 않는다. 전문적 영역이란 엄연히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담을 복지사들이 대체할 수 있다면, 복지를 상담사들이 대체할 수도 있다는 것이냐?
답: 그것을 원한다면 제안하라. 우리가 입법예고하겠다.
질: 제안하면 명확한 근거와 연구도 없이 다 입법예고할 수 있다는 것이냐?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이런 식으리 법률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냐?
답: 이것이 우리의 일이다. 더 이상은 같은 말만 되풀이 하는 것 같으니 먼저 끊겠다.
이 법안에 관한 발의의도가 무엇인지는 의원실에서는 알고 있겠지만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심리지원과는 동떨어진 정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논란 및 사건사고
4.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152484>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시흥 가 | [[민주당(2008년)| | 9,597 (23.92%) | 당선 (2위) | 초선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정치민주연합| | 12,266 (27.93%) | 재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시흥 갑 | | 68,653 (51.71%) | 당선 (1위) | 초선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88,676 (60.81%) | 재선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5회 지선 (경기 시흥시 가선거구) | 6회 지선 (경기 시흥시 가선거구) | |
| | |
21대 총선 (경기 시흥시 갑) | 22대 총선 (경기 시흥시 갑) | }}}}}}}}} |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수원 무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박광온 | 김진표 | |
김태년 | 윤영찬 | 안철수 | 김병욱 | 오영환 | |
부천 갑 | |||||
김민철 | 강득구 | 민병덕 | 이재정 | 김경협 | |
부천 을 | 부천 병 | 부천 정 | 광명 갑 | 광명 을 | |
설훈 | 김상희 | 서영석 | 임오경 | 양기대 | |
평택 갑 | 평택 을 | ||||
홍기원 | 유의동 | 김성원 | 전해철 | 김철민 | |
고양 갑 | 고양 을 | 고양 병 | |||
고영인 | 김남국 | 심상정 | 한준호 | 홍정민 | |
고양 정 | 구리 | ||||
이용우 | 이소영 | 윤호중 | 조응천 | 김한정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김용민 | 안민석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 용인 갑 | 용인 을 | 용인 병 | 용인 정 | |
최종윤 | 공석 | 김민기 | 정춘숙 | 이탄희 | |
파주 갑 | 파주 을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
윤후덕 | 박정 | 송석준 | 김학용 | 김주영 | |
김포 을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광주 갑 | |
박상혁 | 송옥주 | 이원욱 | 권칠승 | 소병훈 | |
광주 을 | 양주 | ||||
공석 | 정성호 | 최춘식 | 공석 | ||
* 안성 이규민 당선 무효 (2021.9.30.) * 성남 분당 갑 김은혜 사퇴 (2022.4.29.) * 여주·양평 김선교 당선무효 (2023.5.18.) * 용인 갑 정찬민 의원직 상실 (2023.8.18.) * 광주 을 임종성 의원직 상실 (2024.2.8.) | |||||
◀ 제20대 제22대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안철수 | |
김은혜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김성원 |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송석준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이준석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
소병훈 | 안태준 | 김용태 | 김선교 | |
◀ 제21대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강득구 | 강민정 | 강병원 | 강선우 | 강준현 |
강훈식 | 고민정 | 고영인 | 고용진 | 권인숙 | |
권칠승 | 기동민 | 김경만 | 김경협 | 김교흥 | |
김남국 | 김두관 | 김민기 | 김민석 | 김민철 | |
김병기 | 김병욱 | 김병주 | 김상희 | 김성주 | |
김성환 | 김수흥 | 김승남 | 김승원 | 김영배 | |
김영진 | 김영호 | 김용민 | 김원이 | 김윤덕 | |
김의겸 | 김정호 | 김주영 | 김철민 | 김태년 | |
김한규 | 김한정 | 김홍걸 | 김회재 | 남인순 | |
노웅래 | 도종환 | 맹성규 | 문정복 | 문진석 | |
민병덕 | 민형배 | 민홍철 | 박광온 | 박범계 | |
박병석 | 박상혁 | 박성준 | 박용진 | 박재호 | |
박정 | 박주민 | 박찬대 | 박홍근 | 백혜련 | |
변재일 | 서동용 | 서삼석 | 서영교 | 서영석 | |
소병철 | 소병훈 | 송갑석 | 송기헌 | 송옥주 | |
송재호 | 신동근 | 신영대 | 신정훈 | 신현영 | |
안규백 | 안민석 | 안호영 | 양경숙 | 양기대 | |
양이원영 | 어기구 | 오기형 | 우상호 | 우원식 | |
위성곤 | 유기홍 | 유동수 | 유정주 | 윤건영 | |
윤영덕 | 윤영찬 | 윤재갑 | 윤준병 | 윤호중 | |
윤후덕 | 이개호 | 이동주 | 이병훈 | 이소영 | |
이수진 | 이용빈 | 이용선 | 이용우 | 이원택 | |
이인영 | 이장섭 | 이재명 | 이재정 | 이정문 | |
이탄희 | 이학영 | 이해식 | 이형석 | 인재근 | |
임오경 | 임호선 | 장경태 | 장철민 | 전용기 | |
전재수 | 전해철 | 정성호 | 정일영 | 정청래 | |
정춘숙 | 정태호 | 정필모 | 조승래 | 조오섭 | |
조정식 | 주철현 | 진선미 | 진성준 | 천준호 | |
최기상 | 최인호 | 최종윤 | 최혜영 | 한병도 | |
한정애 | 한준호 | 허숙정 | 허영 | 허종식 | |
홍기원 | 홍성국 | 홍익표 | 홍정민 | 황희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강득구 | 강선우 | 강유정 | 강준현 | 강훈식 |
고민정 | 곽상언 | 권칠승 | 권향엽 | 김교흥 | |
김기표 | 김남근 | 김남희 | 김동아 | 김문수 | |
김민석 | 김병기 | 김병주 | 김성환 | 김성회 | |
김승원 | 김영배 | 김영진 | 김영호 | 김영환 | |
김용만 | 김용민 | 김우영 | 김원이 | 김윤 | |
김윤덕 | 김정호 | 김주영 | 김준혁 | 김태년 | |
김태선 | 김한규 | 김현 | 김현정 | 남인순 | |
노종면 | 맹성규 | 모경종 | 문금주 | 문대림 | |
문정복 | 문진석 | 민병덕 | 민형배 | 민홍철 | |
박균택 | 박민규 | 박범계 | 박상혁 | 박선원 | |
박성준 | 박수현 | 박용갑 | 박정 | 박정현 | |
박주민 | 박지원 | 박지혜 | 박찬대 | 박해철 | |
박홍근 | 박홍배 | 박희승 | 백승아 | 백혜련 | |
복기왕 | 부승찬 | 서미화 | 서삼석 | 서영교 | |
서영석 | 소병훈 | 손명수 | 송기헌 | 송옥주 | |
송재봉 | 신영대 | 신정훈 | 안규백 | 안도걸 | |
안태준 | 안호영 | 양문석 | 양부남 | 어기구 | |
염태영 | 오기형 | 오세희 | 위성곤 | 위성락 | |
유동수 | 윤건영 | 윤종군 | 윤준병 | 윤호중 | |
윤후덕 | 이강일 | 이개호 | 이건태 | 이광희 | |
이기헌 | 이병진 | 이상식 | 이성윤 | 이소영 | |
이수진 | 이언주 | 이연희 | 이용선 | 이용우 | |
이원택 | 이인영 | 이재강 | 이재관 | 이재명 | |
이재정 | 이정문 | 이정헌 | 이춘석 | 이학영 | |
이해식 | 이훈기 | 임광현 | 임미애 | 임오경 | |
임호선 | 장경태 | 장종태 | 장철민 | 전용기 | |
전재수 | 전진숙 | 전현희 | 정동영 | 정성호 | |
정을호 | 정일영 | 정준호 | 정진욱 | 정청래 | |
정태호 | 조계원 | 조승래 | 조인철 | 조정식 | |
주철현 | 진선미 | 진성준 | 차지호 | 채현일 | |
천준호 | 최기상 | 최민희 | 추미애 | 한민수 | |
한병도 | 한정애 | 한준호 | 허성무 | 허영 | |
허종식 | 홍기원 | 황명선 | 황정아 | 황희 | }}}}}}}}} |
[1] 음력 1966년 11월 30일.[2] 순질공파 29세손.[3] 2021년 2월 7일 사망.[4] 더불어민주당 내 부울경 지역의 경우 이런 형태가 매우 흔하다. 민주당 세력이 약한 지역이다보니 박재호, 김경수, 전재수 같은 풀뿌리형 의원이 당선되는 경우가 매우 많은 것.[5] 참고로, 해당 학교장은 정군의 졸업 당시에도 학교장이었으며, 현안질의에서 보여주는 모습을 보면 정말 낙하산이 아닌가 할 만큼 무능한 모습, 그리고 김기춘 우병우를 생각나게 할 정도로 모릅니다 공개할 수 없습니다라는 답변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죽했겠으면, 시인, 국어교사 출신 도종환 의원에게 "교육자 맞아요?"라는 호통을 들었고, 유기홍 교육위원회 위원장 또한 이런 반포고 교장의 태도에 문자 그대로 질책했다.[6] 자세히 보면은 딱 보아도 화가 제대로 났다라는 것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