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03:18:46

안산시 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단원구/정치
,
,
,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강득구 민병덕 이재정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광명 갑 광명 을
박지혜 이재강 임오경 김남희
부천 갑 부천 을 부천 병 구리
서영석 김기표 이건태 윤호중
평택 갑 평택 을 평택 병
홍기원 이병진 김현정 이소영
하남 갑 하남 을
추미애 김용만 정성호 김성원
군포
양문석 김현 박해철 이학영
고양 갑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김성회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오산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차지호
시흥 갑 시흥 을 파주 갑 파주 을
문정복 조정식 윤후덕 박정
용인 갑 용인 을 용인 병 용인 정
이상식 손명수 부승찬 이언주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안산시 CI_White.svg 안산시의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록구
시청
단원구
안산시 갑 안산시 을 안산시 병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안산시 병
단원구 와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등
安山 丙
Ansan C
}}}
파일:국회선거구 안산시 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81,427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안산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안산시 일부
단원구 와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
신설년도 2024년
이전 선거구 안산시 단원구 갑, 안산시 단원구 을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해철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clearfix]

1. 개요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된 지역구.

안산시 내 재개발로 인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안산시 의석이 3석으로 통폐합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 단원구 갑 선거구에 단원구 을이 관할하던 초지동과 대부동을 넘겨받아 신설되었다.

안산의 3개 선거구 중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선거구이다. 이유는..

전체적으로 민주당이 강세이긴 한데 동별 성향은 다소 차이가 있다. 먼저 대부동은 아예 별개의 생활권인데다 읍면이나 다름없는 지역 특성상 노년층 비율이 안산에서 가장 높으며, 그런만큼 매번 보수 몰표가 나온다.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원곡동의 경우는 내국인 인구가 적은 편인데, 대부분이 50대 이상인지라 시가지 권역에서는 가장 접전으로 분류된다.

반면 연립주택 위주인데 40, 50대 인구가 많은 와동은 이 지역의 민주당 지지세를 가장 크게 뒷받침해주고 있으며, 초지역세권 개발과 신길지구가 들어선 초지동, 백운동, 신길동은 민주당이 10% 안팎의 우세를 보인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선거구
제17대 천정배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안산시 단원구 갑
제종길 안산시 단원구 을
제18대 천정배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안산시 단원구 갑
박순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안산시 단원구 을
제19대 김명연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안산시 단원구 갑
부좌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안산시 단원구 을
제20대 김명연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안산시 단원구 갑
박순자 안산시 단원구 을
제21대 고영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안산시 단원구 갑
김남국 안산시 단원구 을
제22대 박해철
파일:zsdkl3gasdg.svg
2024년 5월 30일 ~ (예정) 안산시 병

2.1. 안산시 단원구 갑, 안산시 단원구 을 (17~21대)

안산시 단원구 갑, 안산시 단원구 을 문서 참조.

2.2. 안산시 병 (22대~)

2.2.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안산시 병
단원구 와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초지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해철(朴海澈) 59,317 1위

파일:zsdkl3gasdg.svg
54.18% 당선[1]
2 김명연(金明淵) 47,175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3.09% 낙선
7 이혜숙(李惠淑) 2,982 3위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2.72% 낙선
선거인 수 181,427 투표율
61.09%
투표 수 110,841
무효표 수 1,367
22대 총선 경기 안산시 병 개표 결과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
2위)
투표율
(선거인/
표수)
후보 박해철 김명연
득표수
(득표율)
59,317
(54.18%)
47,175
(43.09%)
+12,142
(△11.09)
110,841
(61.09%)
와동 58.78% 38.53% △20.25 50.24
초지동 54.31% 42.60% △11.71 61.48
선부1동 51.83% 45.15% △6.68 64.26
선부2동 56.79% 40.78% △16.01 54.42
선부3동 54.08% 43.29% △10.79 58.50
대부동 35.53% 62.37% ▼26.84 62.65
원곡동 51.30% 46.75% △ 4.55 48.12
백운동 52.52% 44.82% △ 7.70 63.09
신길동 53.29% 44.50% △ 8.79 61.23
후보 박해철 김명연 격차
거소·선상투표 34.85% 60.58% ▼25.73
관외사전투표 59.82% 37.05% △22.77
재외투표 77.27% 19.31% △57.96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colbgcolor=#eee,#353535> 후보 박해철 김명연 격차
전체 55.4% 42.0% 13.4%p
더불어민주당박해철 노동대변인을 전략공천했다. 그러나 안산시 을 경선에 나서게 된 안산시 단원구 갑 현역 고영인 의원의 문제 제기로 인해서 안산 을과 통합 경선[2]했다. 그 결과 해당 문제를 제기한 고영인 의원은 탈락했고 박해철 노동대변인이 그대로 공천을 받게 되었다.[3]

국민의힘김명연 전 의원이 안산시 단원구 갑에 공천을 받았는데 선거구 획정에 따라 기존 지역구의 관할 지역들이 포함된 이 지역구로 승계되었다.

개혁신당에서는 이혜숙 정책위원회 부의장이 공천되었다.

개표 결과, 대부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박해철 노동대변인이 승리하였다. 그 외에 김명연 후보가 거소•선상 투표에서 승리해서 안산시 전체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유이하게 승리했다.
[1]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2] 김철민, 고영인, 김현 세 사람이 경선를 치르고 1위를 한 후보가 원하는 지역구를 선택하고 남은 지역구에는 박해철 후보를 전략공천하는 방식이다.[3] 김철민은 옛 상록구 을 현역 국회의원, 김현은 단원구 을에 출마한지라 둘 중 하나가 이겼으면 박해철을 굳이 이동할 필요가 없었고, 결국 민주당의 계획대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