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닥터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한국 (원작) | 굿 닥터 (2013) | |||
줄거리 | 의학 용어 | ||||
미국 | The Good Doctor (2017) The Good Doctor 2 (2018) The Good Doctor 3 (2019) | The Good Doctor 4 (2020) The Good Doctor 5 (2021) The Good Doctor 6 (2022) | |||
일본 | グッド・ドクター (2018) | ||||
터키 | Mucize Doktor (2019) | Mucize Doktor 2 (2020) |
1. 개요2. 제 1회(2013. 08. 05)3. 제 2회(2013. 08. 06)4. 제 3회(2013. 08. 12)5. 제 4회(2013. 08. 13)6. 제 5회(2013. 08. 19)7. 제 6회(2013. 08. 20)8. 제 7회(2013. 08. 26)9. 제 8회(2013. 08. 27)10. 제 9회(2013. 09. 02)11. 제 10회(2013. 09. 03)12. 제 11회(2013. 09. 09)13. 제 12회(2013. 09. 10)14. 제 13회(2013. 09. 16)15. 제 14회(2013. 09. 17)16. 제 15회(2013. 09. 23)17. 제 16회(2013. 09. 24)18. 제 17회(2013. 09. 30)19. 제 18회(2013. 10. 01)20. 제 19회(2013. 10. 07)21. 제 20회(2013. 10. 08)
1. 개요
- 해당 의학 용어 정리에는 방송 중 좌측 하단에 설명이 나오는 용어외에 용어도 설명합니다.
- 정렬 순서는 시간순이며 좌측 하단에 설명이 나오지 않은 용어는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2. 제 1회(2013. 08. 05)
- 트라우마(Trauma) : 외상
- 카디악 어레스트(cardiac arrest) : 심장정지
-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 폐 조직의 손상으로 흉강 속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흉강 내 압력이 점점 높아지는 상태
- 벤틸레이션(Ventilation) : 환기, 환기량
- 하이포볼래믹 쇼크(Hypovolemic shock) : 저혈량성 쇼크
- IO 니들(Intraosseous needle) : 골간에 직접 주사하는 바늘
- IJ 컷다운(Internal Jugular vein cutdown) : 내경정맥 절개[1]
- 새츄레이션(Saturation) : 산소포화도
- 에코(Echo) :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의 약어
- 베리시얼 블리딩(Variceal bleeding) : 정맥류 출혈
- 에코카디오 그래피(Echocardiography) : 심장 초음파
- 페리카디얼 이퓨전(Pericardial effusion) : 심낭삼출. 심장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에 액체가 고이는 현상
- 심낭천자(Pericardiocentesis) : 심낭에 고인 액체를 주사바늘로 뽑아내는 것
- 외상성 심낭 압전 : 외상으로 인해 심낭에 고인 액체가 심장을 압박하는 것
- 어레스트(Cardiac Arrest) : 심정지. 심장박동이 정지해서 심장이 혈액을 방출할 수 없게 된 상태
- 테이블 데스(Table Death) : 수술대 위에서 사망함
- 제네럴 서전(General Surgeon) : 일반외과 의사
- 벡 트라이어드(Beck's Traiad) : Beck이 규정한 심낭 압전의 세가지 징후
- NICU : 신생아 집중 치료실
- 콜론 스터디 : 대장 조영검사
3. 제 2회(2013. 08. 06)
- 담관낭종 : 간에서 생성되는 담즙이 최종적으로 모여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총담관이 늘어나는 병으로 총담관과 췌관의 접합 이상으로 생기는 질혼. 제거하지 않으면 훗날 암으로 진행하게 되어 수술을 해야 하는 질환. 황달, 복통, 고열 등이 생김.
- 일레우스(ileus) : 장폐색.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
- 셉틱 쇼크(Septic Shock) : 패혈성 쇼크.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 체온이 38℃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혹은 36℃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호읍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의 증가 혹은 현저한 감소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이를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이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것일 때 패혈증이라고 하고 Sepsis에서 적절한 수액을 공급하였음에도 혈압이 떨어지거나 다른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하면 셉틱 쇼크라고 한다.
- 루앙와이 림(Roux-en-Y limb) : 장을 문합하는 방법의 일종.
- 보울컬러(Bowel Color) : 장 색깔.
- 헤타바이젠 : 소마토스타틴[2] 변형제제로 미국 세인트메딕사가 제조. 소아들에게 투약할 경우 담즙정체, 급성췌장염 및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음. 현재 미국에서 소아용으론 판매금지처분 중. 하지만 국내에서는 3월부터 시판, 임상투약 중.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주의를 요하며 소아에게 임상투약을 금지함.[3]
- 에소파거스(Esophagus) : 식도
- 게스트릭 베릭스(Gastric varix, 胃靜脈瘤) : 위정맥류
4. 제 3회(2013. 08. 12)
- 서혜부 탈장(Inguinal Hernia, 鼠蹊部 脫腸) : 복막 안에 있어야 할 장기가 서혜부(사타구니) 주위를 통해 빠져나오는 것.
- 장감돈(Strangulation, 腸嵌頓) : 장이 병적으로 생긴 틈을 탈출한 채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는 상태.
-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 壞死性 腸炎) : 장관의 점막 및 점막하층의 괴사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게 많다. 생후 2주까지는 복푸팽만, 구토, 혈변 등으로 나타나며 중증인 경우에는 복막염, 장관의 천공으로 죽음에 이르게 됨.
- 프리에어(Free air) : 창자 속에 있어야할 공기가 창자 밖으로 나와 있는 상태로 장천공을 의미함.
- 아티팩트(Artifact) : 초음파 사진 상의 오류로 생기는 허상.
- 오투니드(0₂need) : 산소 의존도.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代謝性 酸症) : 체내용액에 산성 물질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
- 스크럽 널스(Scrub Nurse) : 수술실 소독 간호사.
- 서큘레이팅 널스(Circulating Nurse) : 수술실 순회 간호사.
- 트레이츠 리가먼트(Treitz ligament): 십이지장에서 공장(십이지장 다음에 있는 소장)으로 넘어가는 부위에 붙어있는 조직. 이것을 기준으로 위장관을 상부와 하부로 나눔. 소장의 길이를 잴 때 트레이츠 리가먼트에서부터 몇 CM이라고 측정함.
- 소장루(Small Intestine Fistula, 小腸瘻) : 소장의 일부를 꺼내 변이 나오는 통로는 만드는 것.
- PICC(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 말초삽입 중심정맥관. 보통 중심정맥관 삽입은 쇄골하정맥을 이용하지만 PICC의 경우에는 팔 부분에 끼우기 때문에 시술시 위험도도 적고 중심정맥관보다 더 오래 유지할수 있다.
- CBD 퍼포레이션(Common Bile Duct Perforation) : 담도 천공. 담도에 선천적인 구멍으로 인해 담즙 누출이 되는 현상.
- 담도공장문합술(Hepaticojejunostomy) : 담도와 공장을 접합시켜 잇는 수술. 주로 담도에 손상이 이을 경우(잘리거나 천공되거나) 공장을 잘라서 담도와 이어주게 되고 아래쪽에서는 공장과 공장을 접합시켜 이어줌. 루앙 와이 림을 올려주는 수술과 같다고 보면 됨.
5. 제 4회(2013. 08. 13)
- 소장루(Small Intestine Fistula, 小腸瘻) : 소장의 일부를 꺼내 변이 나오는 통로는 만드는 것.
- PDS 6-0 : 봉합사의 종류로 6-0은 실의 굵기. 숫자가 높을수록 실이 가늘어짐.
- 아티팩트(Artifact) : 초음파 사진 상의 오류로 생기는 허상.
- NS(Neurosurgery) : 신경외과.
- 인투(Intussusception) : 장중첩증.
- 흡인성 폐렴 : 음식물 또는 구토한 토사물이 기관 내에 들어가 생기는 폐렴.
- 어레인지 : 수술실을 잡거나 예약함.
- 아트로핀 : 부교감신경차단제. 나팔꽃 등 가지과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이고 스코폴라민과 함께 벨라돈나 알칼로이드로 일컬어 진다. 부교감신경 차단작용을 나타내고, 여러가지 분비선억제, 동공산대, 안내압상승, 평활근이완, 심박수 증대 등의 작용을 볼 수 있다. 다량이고 중추신경계에 흥분, 뒤에 마비를 가져오고, 발양, 환각, 뒤에 기면, 체온하강, 호흡마비를 가져 온다.
- 도수정복 : 손으로 직접 장기를 원 위치로 돌려놓는 것.
- 하행대장 : 복부 왼쪽에서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대장 .
- DC기 : Direct Current Defibrillator 또는 Defibrillation & Cardioversion, 일반적으로는 디피브릴레이션의 뜻만 따와 제세동기라 칭함.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실빈박 등의 부정맥을 보이는 심장에 고압전류를 극히 단시간 통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기.
6. 제 5회(2013. 08. 19)
- WBC(white blood cell) : 백혈구 수치.
- CRP : C 반응성 단백,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 CMV(Cytomegalovirus) : 거대세포 바이러스.
- 스콥(Scope) : 복강경 수술시 필요한 카메라.
- 압뻬 베이스 (Appe Base) : 충수돌기가 시작되는 부위.
7. 제 6회(2013. 08. 20)
- 발적 : 피부가 붉게 변하고 피가 고이는 증상.
- 요막관기형 : 태아 때 방광과 배꼽을 연결하는 관이 퇴화되지 않고 염증을 일으키는 선천적 기형.
- 인트라 옵 쏘노(Intra OP sono) : 수술 도중 초음파를 보는 것.
8. 제 7회(2013. 08. 26)
9. 제 8회(2013. 08. 27)
- 연부조직 : 근육, 지방, 혈관, 섬유 등 신체의 연골과 뼈 부분을 제외한 조직.
- 임파선염 : 임파선이 비대해지거나 염증이 생기는 증상.
- 갑상선염(Thyroiditis) : 갑상선의 급성 세균성 감염으로부터 만성 자가면역성 갑상선염까지 다양한 형태의 염증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병의 우너인에 따라 급성 갑상선염, 아급성 갑상선염,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무통성 갑상선염 등으로 나뉜다.
- 갑상선(甲狀腺) = 갑상샘(Thyroid gland) : 목 앞 중앙에 위치한 내분기관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칼시토닌(혈액 속의 칼슘 량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
- 이상와 누공(梨像窪瘻孔) :
영문 : 피리폼(Pirform(Pear-Shaped)) + 사이노스(Sinus)+ 피스툴라(Fistula)
한문 : 배 梨, 모양 像 + 웅덩이 窪 + 부스럼 瘻, 구멍 孔
이상와(조롱막오목이라고도 하며 하인두(후두인도) 내부의 양쪽으로 위치한 배 모양의 웅덩이) 내에 비정상적인 구멍이 있어 이 부분으로 염증이 생기고 갑상선 주위의 반복적인 경부 농양이 발생하는 증상으로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 - 3th, 4th 브랜키얼 클레프트 아노멀리(3th, 4th brandchial cleft anormaly) : 3, 4번째 새열기형, 선천성 희귀 질환으로 소아에서 잦은 상기도 감염 인후염 감상선 부위 통증 등을 유발하며 단순 치료할 경우 증상이 반복적으로 계속되고 심한 경우 갑상선 염증 소견도 동반한다. 농양배농하고 다른 새열기형처럼 수술하면 안된다. 누공의 위치가 다른 새열기형 보다 복잡하게 지나가고 염증 유착의 범위가 넓어 수술 시 신경 손상의 우려가 있음. 추가 검사로는 스왈로잉 에소파고그래피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 포인트는 피리폼사이노스에서 피스툴라 입구를 성공적으로 절제, 봉합하여 막는 것이다. 간혹 갑상선 일부를 부분 절제해아 하는 경우도 있음. 수술 후 고음을 낼 수 없음.
- 상기도 감염(上氣道感染) : 기도는 비강·인두·후두·기관·기관지·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로도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인두·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영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 새열기형(brandchial cleft anormaly) : 아가미틈새기형, 인두틈새기형, 태아의 분화 과정에서 목에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의 일종.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염증이 동반되기도 함.
- 누공 : 신체 내에 비정상적으로 생긴 통로.
- 스왈로잉 에소파고그래피(Swallowing Esophagography) : 조영제를 삼키고 인후부-상부 식도에 압력을 가해 곁길을 찾아내는 특수촬영술.
- 상후두신경(Superior Laryngeal Nerve) : 머리에서 인두(입안과 식도 사이에 있는 소화기관)의 옆으로 내려오는 신경으로 갑상선 제거술 등의 수술 도중 신경의 손상시 고음의 발성에 문제가 생기며 양측의 신경이 모두 손상되었을 경우 단순히 쉰목소리가 나는 것에서 생명에 지장을 받을 수도 있음.
- 이부프로펜(Ibuprofen) : 아스피린과 더불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의 대표적 성분으로서 체내의 통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을 만드는 COX-2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통증을 줄여주는 작용을 한다. 상품명으로는 부루펜·이부펜·도시펜·나르펜·에드빌·모트린 등이 알려져 있다. 진통과 해열 효과 외에 염증을 가라앉히는 소염 효과도 있다. 비슷한 진통·해열 효과를 지닌 아세트아미노펜에 비하여 작용시간이 길고, 간에 미치는 영향이 덜하며, 생리통에는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기·두통·치통·근육통·생리통·해열과 가벼운 신경통의 통증제거 등에는 일반의약품으로 사용되고, 류머티즘 등의 중급 통증치료제로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들과 마찬가지로 위장출혈의 위험성이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여러 가지를 동시에 복용하거나 장기 투여 또는 복용중 음주를 하는 경우에는 위장출혈의 위험성이 커진다. 또 뇌졸중이나 심장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이 관절염이나 두통의 진통제로 이부프로펜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이부프로펜이 아스피린의 혈전 용해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오히려 심장병 발생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보고도 있다. 한편, 미국식품의약국(FDA)은 2009년 이부프로펜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제품 라벨에 위장출혈 등 잠재적 위험에 대한 경고를 포함하도록 결정하였다. 출처
10. 제 9회(2013. 09. 02)
- TA(Traffic Accident) : 교통사고.
- 혈복강 : 복부 내에 피가 고이는 현상.
- RBC(Red Blood Cell) : 적혈구.
- FFP(Fresh Frozen Plasma) : 신선동결혈장, 플라스틱의 2중백 등에 채혈한 혈액을 6시간 이내에 고속원침하고 상청의 혈장을 분리백에 옮겨 -40℃ 냉동고에 넣어서 동결시킨 것으로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4℃ 보존에서는 곧 소모하는 혈장응고 제Ⅴ, 제Ⅷ인자 등이 반정도 보존되는 것에 특색이 있다. 사용시에는 37℃ 실온에서 해동수주(輸注)한다. 원래는 출혈경향이 있는 쇼크, 응고장애 등에 적응이 되는데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공급에 대해서 사용되고 그 사용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으로 공급증가가 요망된다. 출처
- PC(Platelet Concentrate) : 혈소판농축액(血小板濃縮液), 농축혈소판이라고도 한다. 혈액성분 제제의 일종. 200㎖의 전혈을 가볍게 원심분리해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하고, 이것을 더욱 원심해서 혈소판을 용기밑에 가라앉히고 상청(上清)의 혈장 약 10~15㎖을 남기고 제거해 혈소판을 농축한 것이다. 혈소판 감소증 때문에 출혈경향이 생긴경우의 치료에 사용된다. 출처
11. 제 10회(2013. 09. 03)
- 식도조영검사[4] : 에소파고그래피(Esophagography).
- 인후근: 목구멍의 근충을 만드는 골격근
- 선천성 림프관종(Congenital Lymphangioma) : 드물지만 가장 흔한 태아 종양의 하나이다. 선천성 림프관종은 림프관의 증식으로 인한 것으로 단순형 림프관종(Simple Lymphangioma), 해면형 림프간종(Cavernous Lymphangioma) 및 낭형 림프관종(Cystic Hygroma) 등으로 분류된다. 선천성 림프관종이 호발 부위로는 약 75%가 두경부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25%중 2/3은 액와부, 1/3은 몸통이나 사지에 발생한다.
- 두경부 : 머리 및 목 부위.
- 엑시트 프로시저(Exit Procedure) : 분만 중 자궁 외 치료. 태아의 상부만을 자궁 외로 분만시킨 상태에서 태반을 통한 제대혈류(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에 의지한 채 태아에게 기도삽관을 시도하는 것.
- 낭종 : 액체 또는 반 액체 물질이 들어있는 혹 형태의 주머니.
- NPO(Nulli Per OS) : 금식
- 소노그래피(Sonography): 초음파 검사.
- 가스트로스키시스(Gastroschisis) : 태아 복벽의 균열로 인한 탈장
- 옴팔로씰 : 태아의 장기가 탯줄을 통해 탈장되어 있는 상태.
- 공통점 : 배꼽의 위치와 형태는 정상이면서 배꼽 우측 위에 작은 피부결손으로 소장 및 대장이 바깥으로 나온 것은 유사하다.
- 차이점 : 가스트로스키시스의 경우에는 탈출된 장기를 싸고 있는 막이 없으며 저체중아나 미숙아의 빈도가 높다.
12. 제 11회(2013. 09. 09)
13. 제 12회(2013. 09. 10)
- 기관환: 기관벽에 고리모양으로 이어진 16~20개의 연골
- 조기양막파열 : 진통 전 양막이 먼저 파열돼 양수가 흐르는 상태
- 대사성산증: 체내용액에 산성 물질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
- 소아위중유염: 어린아이의 위에 열이 남아있어 대변이 누렇고 사지가 따뜻하여 몸에 열이나는 병
- 태변성 복막염: 태아 출생전 장 천공에 의해 태변이 복강내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화학성 복막염
14. 제 13회(2013. 09. 16)
- 동맥관개존: 출생 전 열려있던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올려있는 선천성 기형
- 해리성 장애: 이미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중요한 정보를 갑자기 회생시키지 못하는 상태
- 카데바: 해부를 위해 방부처리한 시신
- INCARTA: 탑승자 교통사고
- 하대장맥: 인체 내의 정맥 중 최대의 정맥으로서 흉부 이하 하반신의 혈액을 모으는 정액의 본줄기
- 멀티플 립 프랙치: 다수의 갈비뼈 골절
15. 제 14회(2013. 09. 17)
- 소장폐색: 소장이 막혀 내용물을 통과하지 못하는 기관
- 췌장가성낭종 : 염증으로 인해 2차적으로 생긴 섬유조직이 췌장에 생기는 병.
16. 제 15회(2013. 09. 23)
- 뇌수종: 뇌척수액이 뇌와 척수에 과도하게 고여있는 상태
- VP Shunt : 뇌실과 복강 사이에 션트 Shunt 라는 유연한 튜브를 삽입해 과도 분비된 뇌 척수액을 복강에서 흡수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
- PTSD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7. 제 16회(2013. 09. 24)
- 천미골종양 : 꼬리뼈 부위에 발생하는 종양.
18. 제 17회(2013. 09. 30)
- 폐혈성 쇼크: 미생물에 감염된 혈액이 순환하며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킨 것
- 캐모포트: 항암치료와 같은 장기간 약물주입이 필요하거나 수혈과 채혈을 자주 할 경우 삽입하는 중심정맥관
19. 제 18회(2013. 10. 01)
- 카테터 : 관 모양 기구의 일반적 명칭의 하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의 것이 있음.
- 펄스 스트림 슈처: 쌈지봉합, 절개부분 주위를 꿰매고 그것을 죄어 봉합하는 방법
- 터널링: 피부 아래에 카테터를 터널형태로 삽입하는 것
20. 제 19회(2013. 10. 07)
- 단단문합 : 장이나 혈관의 끝과 끝을 연결하는 문합술.
- 악성림프종 : 혈액암의 일종으로, 림프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
- 도너 (Donor): 이식공여자
- 리시피언트 (Recipeint): 이식수여자
- D.I.C : 혈소판과 혈액 응고인자가 감소하여 출혈을 일으키는 질환.
21. 제 20회(2013. 10. 08)
- 피브리노겐 : 척추동물의 혈장 속에 존재하며 혈액응고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
- 헤파린 : 항응고작용을 가진 황산화 무코 다당류의 일종. 피를 묽게 만들며 혈전을 방지한다.
[1] 소아는 혈관이 얇은데다가 과다출혈의 경우 말초혈관이 수축해 혈관 찾기가 거의 불가능, 소아의 혈관을 찾지못하고 IO 니들이 없다면 내경정맥을 절개하여 직접수액을 주도록 해야한다.[2]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의 분비와 소화관에서의 영양 흡수를 제어하는 호르몬으로, 뇌의 시상하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소화관의 내분비 세포에서 생산된다.[3] 주간 메디차일드 4월호 16페이지 기사라고 한다. 그러나 헤타바이젠, 세인트메딕사, 주간 메디차일드 모두 실제 검색으로는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셋 모두 극중에서만 존재하는 설정인 듯. '주간'인데 왜 4'월'호 인걸까?[4] 극 중에서는 식도조영사진이라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