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3:49:18

글로벌 마치 어게인스트 차일드 래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1906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윌리엄 랜들 크리머 국제법학회 베르타 폰 주트너 시어도어 루스벨트
<rowcolor=#cd9f51> 1907 190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에르네스토 모네타 루이 르노 클라스 아르놀드손 프레드리크 바예르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국제평화국 알프레트 프리트
<rowcolor=#cd9f51> 1911 1912 1913 19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토비아스 아서르 엘리후 루트 앙리 라퐁텐 국제적십자위원회
<rowcolor=#cd9f51> 1919 1920 192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우드로 윌슨 레옹 부르주아 얄마르 브란팅 크리스티안 랑에
<rowcolor=#cd9f51> 1922 1925 19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리드쇼프 난센 오스틴 체임벌린 찰스 G. 도스 아리스티드 브리앙
<rowcolor=#cd9f51> 1926 1927 1929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페르디낭 뷔송 루트비히 크비데 프랭크 켈로그
<rowcolor=#cd9f51> 1930 1931 1933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나탄 셰데르블롬 제인 애덤스 니컬러스 버틀러 노먼 에인절
<rowcolor=#cd9f51> 1934 1935 1936 193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아서 헨더슨 카를 폰 오시에츠키 카를로스 라마스 로버트 세실
<rowcolor=#cd9f51> 1938 1944 1945 1946
파일:국제연맹기(1939).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국제적십자위원회 코델 헐 에밀리 그린 볼치
<rowcolor=#cd9f51> 1946 1947 1949 195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Quaker_star-T.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존 모트 퀘이커 봉사협회 존 보이드 오어 랠프 번치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195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UN기.svg
레옹 주오 알베르트 슈바이처 조지 마셜 유엔난민기구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도미니크 피르 필립 노엘베이커 앨버트 루툴리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1964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적십자 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라이너스 폴링 국제적십자위원회 마틴 루터 킹
<rowcolor=#cd9f51> 1965 1968 1969 1970
파일:유니세프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세프 르네 카생 국제노동기구 노먼 볼로그
<rowcolor=#cd9f51> 1971 1973 197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빌리 브란트 헨리 키신저 레득토
(수상 거부)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숀 맥브라이드 안드레이 사하로프 베티 윌리엄스 메어리드 코리건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국제앰네스티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마더 테레사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돌포 에스키벨 유엔난민기구 알바 뮈르달 알폰소 가르시아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레흐 바웬사 데즈먼드 투투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엘리 비젤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UN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오스카르 아리아스 유엔 평화유지군 달라이 라마 14세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cd9f51> 1991 1992 1993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아웅 산 수 치 리고베르타 멘추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rowcolor=#cd9f51> 1994 199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프 로트블랫
<rowcolor=#cd9f51> 1995 1996 1997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퍼그워시 회의 카를로스 벨로 조제 하무스오르타 조디 윌리엄스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
지뢰금지국제운동 존 흄 데이비드 트림블 국경없는의사회
<rowcolor=#cd9f51> 2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중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

1. 개요2. 주요 영역
2.1. 아동 노동 및 인신매매2.2. 교육2.3. 공급망에서 아동 노동 문제 해결
2.3.1. 우간다2.3.2. 방글라데시
2.4.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3. 활동 방식
3.1. 애드버킷3.2. 정책 연구3.3. 역량 강화3.4. 인식 제고3.5. 파트너쉽 구축3.6. 목소리 동원하기
4. 역사
4.1. 1998년 행진4.2. 2000년대~2020년대
4.2.1. 월드컵 캠페인(2002)4.2.2. 코코아 캠페인(2003)4.2.3. 2003년~2005년 고위급 원탁회의와 기관 협력4.2.4. 2010년 헤이그 글로벌 아동 노동 회의와 로드맵 2016(2010)4.2.5. SDGs 목표 채택을 위한 캠페인 (2015)
4.3. 2020년대 이후
5. 파트너

1. 개요

글로벌 마치 어게인스트 차일드 래버(Global march against child labour)는 1998년 전 세계적으로 아동 노동을 근절하기 위해 국제적인 캠페인으로 시작하여 이후 지속을 위해 자리잡은 NGO이다.

노동조합, 시민단체, 개인들이 연대하여 103여 개국에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정부에 강력한 대책을 촉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운동은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 182호 채택 등 아동 노동 근절을 위한 국제적 정책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후 현재도 교육을 통한 아동 보호와 노동법 강화 등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궁극적으로 모든 아동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노동 착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주요 영역

2.1. 아동 노동 및 인신매매

'아동 노동'이라는 용어는 종종 아동의 유년시절, 자유로운 존재와 교육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는 노동,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해를 끼치는 노동으로 정의된다. 이는 아동에게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또는 도덕적으로 위험하고 해로우며 학교 교육을 방해하는 노동을 말한다.

매일 약 1억 5,200만 명의 어린이[1]가 농장, 들판, 공장, 집, 거리, 전장에서 아동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이 중 6,400만 명이 소녀이고 8,800만 명이 소년이다.

이 총계 중에서 무려 7,300만 명이 위험한 일에 종사하고 있으며, 아이들은 일의 본질이나 환경 때문에 착취적인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아동 노동자가 가장 많은 곳은 아프리카이다. 또한 추산에 따르면 아동 노동자 총 수의 71%가 전 세계 농업 관행에도 종사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제182호 에 따르면 , “가장 나쁜 형태의 아동노동”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인신매매와 아동 노동에 취약한 어린이를 만드는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마치는 입법 검토 및 개혁을 포함한 법률, 정책 및 서비스를 강화하고, 최소 노동 기준을 수립하고,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지원하도록 정부를 지원한다. 글로벌 마치는 또한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인신매매와 아동 노동에 대한 어린이의 취약성을 악화시키는 규범과 관행을 최소단위 마을에서 근원부터 바로 변경한다.

2.2. 교육

교육은 계층, 성별, 인종, 경제적 및 사회적 조건, 장애, 문화 등에 관계없이 누구도 거부할 수 없는 기본적인 인권이다. 어린 시절에 최대한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배우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에게도 어떤 기회가 주어질지 결정한다.

완전히 교육받은 사회는 빈곤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1억 5,200만 명의 아동 노동자[2]가 교육을 받을 권리를 거부당하고 있다. 다른 많은 잔여 요인 외에도 교육의 부재는 아동을 착취적이고 노예적인 조건으로 몰아넣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글로벌 마치는 아동 노동 근절의 구체적 요인으로서 교육의 가치를 강조한 ILO 138 최소 연령 협약을 지지한다.이 협약은 취업 진입 허용 연령이 "의무 교육 완료 연령보다 낮아서는 안 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15세보다 낮아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다.[3]

ILO 협약 138은 13세에서 15세 사이의 아동이 다음과 같은 가벼운 작업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한다.
글로벌 마치는 모든 어린이가 성별, 인종, 종교, 사회적 또는 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무료, 의무적, 양질, 포괄적이고 공평한 교육을 받을 수 있을 때에만 아동의 경제적 착취를 종식시킬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따라서 글로벌 마치는 모든 사람에게 무상, 양질, 포용적, 공평하고 의무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데 강력한 옹호하며, 그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 글로벌마치는 100개국 이상의 NGO와 교사 노조를 대표하는 Global Campaign for Education(GCE) 의 설립에 기여했다. 글로벌 마치는 또한 교사 협회의 글로벌 연합인 Education International(EI) 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 글로벌 마치 이사회에도 대표가 있다.

2.3. 공급망에서 아동 노동 문제 해결

농업은 업무 관련 사망, 비치명적 사고 및 직업병 측면에서 가장 위험한 세 부문 중 하나이다. 위험한 작업에 종사하는 5~17세 아동의 약 59%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농업 지역 사회는 농장 소득 감소, 성별 기반 규범, 교육 및 적절한 생계 기회에 대한 접근성 부족 등 아동 노동이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아동 노동을 근절하기 위해 글로벌 마치는 지역 사회에서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음은 글로벌 마치 개입의 우수 사례이다.

2.3.1. 우간다

2.3.2. 방글라데시


2.4.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2015년 9월 25일 , 세계 지도자들은 향후 15년간의 유명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채택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세계 지도자들이 합의한 17개 목표와 169개 타겟으로, 2030년까지 빈곤을 종식시키고, 불평등과 불의에 맞서 싸우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러한 목표는 2000년에 채택된 8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대체한다. MDGs의 전반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아동 노동, 노예 제도, 인신매매 종식과 현재 포함된 많은 다른 목표에 대한 목표를 포함하지 않았었다.

전 세계의 다양한 아동 권리 기구에서 수년간 광범위한 옹호 활동을 통해 세 가지 주요 목표와 타겟이 SDGs의 일부로 구체화되어 아동 권리를 증진하기 위한 명확한 의제를 제공했다. 글로벌 마치의 네트워크도 수년간의 로비 활동과 캠페인을 통해 마침내 모든 형태의 노예 제도, 인신매매 및 아동 노동을 근절하는 데 전념하는 타겟인 8.7을 얻을 수 있었다. 글로벌 마치의 활동과 관련된 세 가지 목표와 타겟은 조직의 중심적인 전략적 프레임워크와 장기 계획을 형성하며 다음과 같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글로벌마치는 SDGs 목표 8.7을 달성하기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인 얼라이언스 8.7 의 글로벌 조정 그룹을 통해 아동 노동, 현대 노예 제도, 인신매매를 종식시키기 위한 가장 강력한 옹호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3. 활동 방식

3.1. 애드버킷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1.png

글로벌 마치는 아동 노동과 인신매매 문제를 강조하고, 이 세대에서 이를 근절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식과 증거에 기반한 옹호 활동을 펼치며, 모든 사람을 위한 양질이고 포괄적이며 공평한 교육을 장려한다.

3.2. 정책 연구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3.png


증거 기반 연구는 모든 글로벌마치 활동의 기초이다.활동이 신뢰할 수 있고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가치가 있도록 하기 위해, 글로벌마치는 아동 노동, 인신매매, 노예 제도, 교육 문제에 대한 전체적인 지식을 구축하기 위해 현장 및 2차 연구를 수행한다.

글로벌 마치는 관심 있는 이슈에 대한 연구, 모범 사례, 정책 논문, 분석, 브리핑 및 교훈을 수집, 관리 및 배포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옹호, 경험 공유, 교육 및 역량 구축과 대중 인식 제고를 위한 데이터 및 정보 기반을 구축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글로벌 마치는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아동 노동 옹호자들과 교류, 국가적, 국제적, 정부 기관에서 아동 권리를 증진하는 데 사용되는 정책 논문, 연구 자료, 옹호 툴킷, 매뉴얼 및 기타 지식 자료를 개발한다.

3.3. 역량 강화

여러 대륙의 국가에 광범위한 활동을 펼치는 국제기구인 글로벌마치는 자체 지식과 경험적 증거를 활용해 전 세계 파트너들의 역량을 구축해 각국의 아동노동, 노예제도, 인신매매, 문맹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와 사회적 파트너들이 해당 국가의 취약계층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설계하고 이행하도록 지원한다.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6.png

글로벌 마치는 지역 기반 접근 방식을 취하며, 로비 활동과 아동 권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옹호 활동을 위해 지역, 국가 및 국제 파트너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동 노동, 인신매매, 노예 제도를 근절하고 모든 이니셔티브에 대한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변화 또는 수립을 목표로 한다.

3.4. 인식 제고

아동 노동은 종종 위험에 대한 인식 부족과 무지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아동 노동, 노예 제도, 인신매매 문제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글로벌마치 업무의 핵심 부분을 형성한다.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4.png

시민사회, 노동조합, 교사 조직으로 구성된 가장 크고 대표적인 국제 기구로서, 전 세계에서 아동노동을 근절하기 위해 뭉친 글로벌 마치는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일반 대중, 가족, 어린이, 청소년, 여성, 교사, 지역 사회, 정부, 의원, 비정부 기구, 기업 및 기타 이해 관계자들 사이에서 아동노동, 노예제도, 인신매매를 예방하고 생존자를 보호하고 새로운 아동 친화적 정책을 개선하고 수립하며 이러한 형태의 아동폭력이 없는 세상을 옹호하기 위해 노력한다.

글로벌 마치는 전 세계적으로 창의적인 협업을 구축하고 다양한 미디어와 기회를 활용해, 전 세계 어린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글로벌 마치의 홍보 활동을 동원하고 확대하고자 한다.

3.5. 파트너쉽 구축

1억 5,200만 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아동 노동을 종식시키는 것은 큰 과제이므로, 글로벌마치 혼자서는 이를 이룰 수 없다. 따라서 글로벌 마치는 어린이들이 어린 시절을 즐길 수 있도록 열정을 공유하는 모든 사람들과 협력한다. 이러한 노력에서 글로벌 마치는 아동 권리 기구, 노동 조합, 교사 협회, 기관, 유엔 기관, 정부, 의원, 기업 및 개인과 같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를 하나로 모으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2025년까지 아동 노동 종식을 옹호하기 위한 결과를 최적화하고 도달 범위를 극대하고 있다.

글로벌 마치는 정책, 프로그램, 파트너십에 대한 관대한 제도적 지원을 받고 조정하며, 오늘날 글로벌 마치는 140개국에 걸쳐 시민 사회 조직과 노동조합의 글로벌 네트워크로 존재한다.

글로벌 마치는 국제노동기구(ILO), 특히 아동노동 근절 국제프로그램(IPEC) 및 기타 유엔 기관, 국제 NGO 및 아동 권리를 위해 노력하는 다른 조직과 장기간 협력해 왔다.

3.6. 목소리 동원하기

글로벌 마치는 한 사람의 목소리의 힘이 불평등과 불의에 맞서 싸우고 서로와 가장 취약한 어린이를 위해 선행을 행한다는 말을 퍼뜨림으로써 사회에 더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글로벌 마치의 수많은 집중 캠페인은 아동 노동 종식과 관련하여 사람들 사이에서 지식, 행동 및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파장 효과를 만들어냈다. 그 과정에서 글로벌 마치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목소리를 모아 어떤 아이도 힘든 노동에 착취당하지 않고, 모든 아이가 무상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고, 모든 아이가 인신매매로부터 보호받고 어린 시절을 즐길 수 있는 세상을 요구했다.

이렇게 동원된 목소리는 다시 목소리를 내고, 행동을 촉구하고, 정부에 도전하고, 아동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바꾸고 만들어냈다.

4. 역사

4.1. 1998년 행진

1990년대에 아동 노동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었고 특히 빈곤 지역에서 아동들이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는 현실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에 따라 카일라시 사티아르티라는 인도 출신의 아동 권리 운동가가 이끄는 여러 NGO와 시민 단체들이 힘을 합쳐, 아동 노동 근절을 위한 국제적인 행진,글로벌 마치 어게인스트 차일드 래버(GMACL)을 계획한다.
아동 노동에 대한 협약 채택을 요구하기 위해 1998년 1월 1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시작해 103개국을 횡단했다.
8만 킬로미터에 이른 행진은 ILO 총회 기간인 1998년 6월 1일에 ILO 본부 제네바에 도착하며 5개월의 행진과 700만명의 지지와 함께 아동 노동에 대한 인식 개선과 문제 해결 의지를 보여줬다.
파일:글로벌마치.jpg

그리고 그 다음 해,제182호 가장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 협약(1999년)은 ILO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1999년 채택된 ILO 협약 182는 아동 노동의 최악의 형태를 금지하고,이를 없애기 위한 긴급 조치를 권고한 국제 협약이다.GMACL은 이 협약의 이행을 돕기 위해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아동 노동 근절을 위한 정책 및 법적 개혁을 추진했다.이러한 노력으로 협약 182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비준된 ILO협약이 되었으며,수많은 국가들이 이를 따르면서 각국의 법적 및 사회적 환경이 변화하기 시작했다.그리고 2020년에는 통가가 최종적으로 비준함으로써 ILO협약 182는 ILO역사상 최초로 모든 회원국이 비준한 협약이 되었다.

다음은 2014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카일라시 사티아르티가 제 182호 가혹한 형태의 아동노동 협약(1999년)에 대해 설명하는 영상이다.

4.2. 2000년대~2020년대

2000년대 초반부터 Global March는 교육과 홍보 캠페인을 통해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국제적 인식을 높이고, 정부,NGO, 다국적 기업들과 협력하여 아동 노동 근절을 위한 노력을 확대했다.

특히 2002년 ILO와 GMACL은 매년 6월 12일을 세계 아동 노동 반대의 날(World Day Against Child Labour)로 지정하고, 아동 노동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캠페인과 행사들을 진행했다. 이 날은 매년 아동 노동의 해악을 알리고 국제 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촉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4]

4.2.1. 월드컵 캠페인(2002)

Global March는 2002년 FIFA 월드컵을 맞이하여 스포츠 용품 산업에서 아동 노동 문제를 부각시키기 위한 World Cup Campaign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축구용품 제조 과정에서 아동 노동이 사용되는 문제를 조명하고,아동 노동이 사용된 제품을 대체하고, 관련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지도록 요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따라서 스포츠 용품 산업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끌어냈고,ILO 협약 182호을 바탕으로 국제 협약을 통해 아동 노동 문제 해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단순한 단기적 행사에 지나지 않고 2006년,2010년 월드컵에서도 캠페인을 진행했다.

4.2.2. 코코아 캠페인(2003)

2000년과 2001년에 코코아 생산에서 널리 퍼진 아동 노예 제도와 아동 매매를 보고하는 다큐멘터리가 화제가 됐다.코코아 산업에서 아동들은 보호자의 동의 없이 인신매매 형태로 코코아 농장으로 보내지거나,생계를 위해 강제로 농장으로 보내졌다.아동들은 보호 장비 없이 날카로운 도구와 중장비를 다뤘고,살충제와 같은 유해 화학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됐다.하루에 12시간 이상 일하는 경우도 흔했고,학교를 다닐 기회를 잃고 기본 교육에서 소외됐다.

이러한 아동 노동 실태는 국제사회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고,미국에서는 코코아 재배에 아농 노예 노동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라벨을 부착하게 하는 법안을 승인하려고 했으나 코코아 산업의 반대 로비에 의해 무산되었다.
이후 법안 제출자였던 엘리엇 엥겔과 상원 의원 통 하킨은 ILO 협약 182 가장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과 ILO 협약 29에 따라 하킨-엥겔 의정서를 만들었다.

하킨-엥겔 의정는 코코아 산업에서 가장 가혹한 형태의 아동 노동ILO 협약 182를 근절하기 위한 자발적인 공공-민간 협정이다.법안으로 기업에게 강제하지 못하자 일종의 협상의 형태로 어떤 법적 의미도 없으나 엥겔의 재입법 위협에 어느정도 규제력을 가지게 됐다.
이러한 배경 속 하킨-엥겔 의정서의 이행을 감시하고 확립하기 위해 2003년에 Global March는 코코아 캠페인(Cocoa Campaign)을 전개했다.

이 캠페인은 코코아 생산 과정에서 아동들이 착취당하는 현실을 조명하고, 초콜릿 기업들이 아동 노동을 퇴출하고 윤리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도록 촉구했다. 이 활동은 이후 International Cocoa Initiative 설립과 지속에 기여했다.

4.2.3. 2003년~2005년 고위급 원탁회의와 기관 협력

글로벌 마치는 2003년,2004년,2005년 아동 노동과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위급 원탁회의를 열었다.
고위급 원탁회의는 아동 노동과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태스크포스(Global Task Force on Child Labour and Education)를 조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태스크포스에는 ILO, UNESCO, UNICEF, UNDP, 세계은행, Education International, Global March가 참여했다.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2.png

협업의 주요 목표는 아동 노동이 교육, 특히 보편적 초등교육 및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달성에 미치는 방해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회의에 참여한 각 기관은 아동 노동을 줄이는 데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동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후 태스크포스는 각국 정부에 아동 노동 근절과 교육 보장을 위한 법적 개선을 촉구했으며, 국제사회에서도 이를 지지하도록 독려했다.이 협업으로 인해 아동 노동 문제가 SDGs의 일부로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후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목표와 긴밀하게 연결됐다.

4.2.4. 2010년 헤이그 글로벌 아동 노동 회의와 로드맵 2016(2010)

네덜란드 정부와 ILO가 주최한 이 회의에는 97개국에서 온 450명 이상의 정부, 노동자 단체, 고용주 단체, 비정부기구(NGO) 대표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1999년 ILO 협약 182(아동 노동의 최악의 형태 금지 협약) 이후의 진전을 평가하고, 2016년까지 아동 노동의 최악의 형태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Global March는 로드맵 2016(Roadmap 2016)을 채택하여 아동 노동의 최악의 형태를 2016년까지 종식하자는 목표를 세웠다.

로드맵은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아동 노동 근절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아동들이 안전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무료 초등교육 제공과 학교 인프라 강화를 권장했다.특히 빈곤 지역에서는 아동이 생계 때문에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로드맵은 사회적 보호 프로그램과 빈곤 가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청년층 및 성인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가족 부양 구조 개선을 촉구했다.구체적 이행을 위해 로드맵은 각국 정부가 아동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도입하고, 필요한 자원을 할당할 것을 요구했다. 예산 확보, 관련 법 개정, 그리고 모니터링 및 집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포함한다.모니터링과 집행을 위해 국제 NGO, 다국적 기업, UN 기구 간 협력을 통한 아동 노동 근절이 강조되었다.

특히 로드맵은 ILO와 유엔, 세계은행 등 주요 국제기구들이 협력하여 아동 노동을 사회적 및 경제적 개발 목표와 연계하게 했다.로드 맵은 이후 아동 노동 근절 활동의 지침서 역할을 했습니다. 각국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자국 내 정책을 개정했으며, 2015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목표 8.7에 아동 노동 근절을 포함시키는 데 기여했다.

4.2.5. SDGs 목표 채택을 위한 캠페인 (2015)

글로벌 마치는 2015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에 아동 노동 및 아동 노예 근절을 포함시키기 위해 활발히 로비 활동을 했다.특히, 글로벌 마치 회장 카일라시 사티아르티(Kailash Satyarthi)는 55만 명 이상의 서명이 담긴 청원을 유엔에 제출하여 아동 노동 근절이 SDGs 프레임워크에 포함될 것을 요구했다. 파일:카일라시 사티아르티 그리고 반기문.jpg
노벨평화상 수상자 카일라시 사티아르티가 반기문 총장에게 55만명의 서명 청원을 전달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국제 사회는 아동 노동 문제가 SDGs의 성공에 필수적인 부분임을 인식하게 됐고, 각국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우선시하도록 장려하는 결과를 낳았다.

SDGs 목표 8.7은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아동 노동, 강제 노동, 현대 노예제, 인신매매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착취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2025년까지 아동 노동을 완전히 종식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제시한다.. 이 목표는 빈곤과 불평등을 줄이고,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SDGs 목표 8의 가지 목표이다.

이는 Global March와 협력 단체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반영된 결과이다. Global March는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아동들이 학대와 착취에서 벗어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부와 협력했다.

4.3. 2020년대 이후

COVID-19 팬데믹이 아동 노동 근절 운동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지만, 글로벌 마치는 여전히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학교 폐쇄와 경제적 어려움이 증가하면서 많은 가정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자녀를 노동에 내몰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고, 글로벌 마치 이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쳤다.

파일:글로벌마치나무위키자료5.png

2020년에 GMACL은 팬데믹이 아동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시민 사회 단체와 협력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조사 결과, 팬데믹으로 인해 학교가 폐쇄되고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아동 노동이 증가할 우려가 높아졌다. GMACL은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아동들이 학교로 돌아가도록 지원하고 사회적 안전망 강화를 촉구하며, 교육과 건강 지원을 포함한 필수 서비스를 제공했다.​

2021년은 "아동 노동 근절의 해"로 지정되었으며, GMACL은 이 해를 맞아 아동 노동을 완전히 근절하기 위한 세계적인 캠페인을 강화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다시 증가할 위험이 있는 아동 노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협력을 강화하고, 더 많은 자원을 모으는 활동을 진행했다.

5. 파트너

===# 영어권 아프리카(Anglophone Africa) #======# 프랑스어권 아프리카(Francophone Africa) #======# 아시아 #======# 중앙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북아메리카 #======# 유럽 #======# UN기구 #===
지금까지 글로벌 마치와 협력했던 UN에이전시 목록이다.

[1] Global Estimates of Child Labour: Recent Trends 2012-2016, ILO[2] 세계 아동 노동 추산: 최근 추세 2012-2016, ILO[3] C138, 2.3[4] 2024년에도 역시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