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7:02:44

김갑수(시인)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김갑수
金甲洙 | Kim Kap Soo
파일:external/monthly.chosun.com/1503_426.jpg
출생 1959년 1월 19일 ([age(1959-01-19)]세)
서울특별시[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시인, 평론가
학력 경복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 석사 수료)
경력 세종사이버대학교 초빙교수
교보문고 북멘터 전문위원
국제신문 칼럼니스트
종교 불교
등단 1984년 시 '저녁산책'

1. 개요2. 생애3. 비판 및 논란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시인, 문화 평론가.

Hi-Fi 오디오 매니아이자 클래식 음악 애호가로 유명하다. 학부생 때부터 LP판 오디오를 모아서 지금은 지하 작업실에 LP판과 오디오 스피커 등을 모아 놓았다고 하며, 록 음악도 상당히 좋아한다고 한다. 더불어 커피 애호가로도 유명하다.

2. 생애

1959년 1월 19일, 서울특별시에서 실향민 부모님 사이의 3남매 중 둘째로 태어나 어렸을 때 부족함 없이 자랐다고 한다. 심지어 그의 집에 자동차까지 있었을 정도란다. 중학교 때부터 음악을 좋아했으며, 당시 팝송을 많이 들었는데, 친한 친구와 AFKN을 들으며 지식을 쌓았으며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경복고등학교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4년 시 "저녁산책"으로 등단하여 시집 "세월의 거지"를 비롯하여 음악, 문학 평론집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였으며 신문 등에 문화평론과 칼럼도 연재하였다.

100분 토론 등을 비롯하여 TV의 토론이나 평론 관련 프로그램에 활발하게 출연하였으며, 종합편성채널 출범 이후 종편의 패널로 '반론 갑수'라는 캐릭터를 구축하며, 아궁이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고 있고, 지금은 하차한 황금알, 강적들에도 고정 출연했었다. 특히 황금알에서는 희한하게도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같은 기믹으로 출연. 진영 스탠스를 보면 진보 쪽 인사이면서 종합편성채널 방송에 자주 나온다.

2살 위의 배우 김갑수와는 이름의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이다. '김갑수 만나서 반갑다'라는 제목으로 사진을 찍기도 했다.[2]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공공연히 개고기 문화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여러 매체를 통해서 오디오 덕후임을 인정했다. 때문에 강적들에서 커피머신으로 인해 부르주아 좌파라고 불린다.

강적들에서 초창기엔 박종진에게 "갑수 선생님은 끝까지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라고 농담삼아 한소리 들었다.[3]

김어준의 파파 이스에서 종편계의 이종격투가 스타일로, 종편에서도 친노를 자처하며 보수 평론가들의 색깔론을 참지 않고 아수라장 토론 스타일이 좌파 액세서리로 매우 좋아 한다고 자평하는 듯하다. 출연료도 다른 패널보다 0 하나는 더 받았다고 한다.[4][5] 다만 문재인 정부 이후 진중권 등 평론가들로 인해 종편 입지가 그 이전 만큼은 아니다.

3. 비판 및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갑수(시인\)/비판 및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서울토박이라고 한다.[2] 동아일보 김갑식 기자와 시인 김갑수, 그리고 배우 김갑수의 회동을 다룬(...) 진기한 기사도 존재한다.[3] 하술하겠지만 농담이라고만 할 수도 없다. 60이 훌쩍 넘은 나이를 먹으며 잘못을 인정하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욕을 들어먹지 않을 정도로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기술만 늘었다. 아래 논란만 봐도,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한 경우가 없다시피 하다.[4] 다만 이건 김갑수가 딱히 대단한 논객이어서는 아니다. 원래 종편은 진보 패널들이 출연을 꺼리기에 출연료를 더 부르는 게 일상. 흙탕물에서 이전투구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김갑수 스타일 상 프로그램의 흥행 자체는 오히려 점잖게 말하는 이들보다 더 낫기 때문에 다른 진보 패널보다 조금 더 받는 정도인 건 맞는 듯. 말하자면 공중파에서 전원책 같은 느낌으로 보면 된다.[5] 전원책은 대중적 호불호와 별개로 공중파에서 개인의 이슈 때문에 별로 선호하지 않았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서 보수 패널의 섭외가 늘었다.[6] 당연히 부자지간에도 정치관은 다를 수 있으니 특이하거나 신기할 건 없다. 당장 권철현 전 주일대사의 최측근은 2018년 부산시장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오거돈 후보를 지지했는데, 정작 그의 셋째 아들인 권성주 전 의원의 경우 이성권 당시 바른미래당 후보를 지지했다.[7] 게다가 유승민 전 의원은 보수성향 정치인치고는 복지 제도의 확대와 노동권 강화를 외치는 등으로 진보성향 인사들과도 접점이 많은 사람이라서, 진보 성향 유권자들에게도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19대 대통령 선거 시절 정당 여론조사에서 심상정 지지층이 다음 순위로 문재인이 아닌 유승민을 선택하는 결과가 나온 적도 꽤 있었다. 하기야 당시 JTBC손석희도 '거 참 희한하네요'라고 하긴 했다만.[8] 검증된 것은 별로 없다.는 평이 있지만,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고, 작업실에서 이준석 의원과의 만남도 전했다. 평론의 여부와 관계없이 종편에서 정치 평론 이력이 많은 만큼 정치인들과 교류가 있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