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8:12

김민수(1979년 8월)

김민수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7번
김지훈
(1998~2001.4.15.)
김민수
(2002~2003)
곽정훈
(2004)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팀장
김민수
Kim Min Soo
출생 1979년 8월 1일 ([age(1979-08-01)]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휘문고 - 건국대[1]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8년 2차 12라운드 (전체 93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02~2003)
프런트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팀장 (2022~)
1. 개요2. 선수 경력3. 스카우트 경력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투수, 현 삼성 라이온즈의 스카우트팀장 겸 육성팀장.

2. 선수 경력

1998년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돼 대학 진학 후 2002년 입단했으나 단 한 번도 1군 등판을 하지 못하고 그대로 은퇴하였다.

3. 스카우트 경력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의 직원으로 입사해 스카우트를 맡고 있다. 2018 신인 드래프트부터는 최무영 스카우트팀장 대신 팀 대표로 선수 지명 발표도 한다. 최무영 팀장이 2022년을 끝으로 정년퇴직하면서 그 후임으로 스카우트팀장이 됐다.

전임 최무영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투타 양면에서 덩치가 큰 선수를 무조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김민수가 스카우트 팀장이 된 뒤에는 삼성 선수들의 평균 피지컬이 엄청나게 커졌다. 투수의 경우 타자를 압도할 수 있는 구위보다는 경기운영능력과 제구력을 보는 편이다. 다만 전임인 최무영과 다른 점은 체격과 구속을 많이 신경쓴다는 것이다.

피지컬 위주의 지명으로 인해 지명된 선수 전원이 키 180cm를 넘는 경우가 있다. 야수의 경우 투수와는 달리 운동능력을 많이 보는 편인데, 아무래도 야수의 경우 체격이 큰 즉전감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야수의 경우 대부분이 체격이 크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실링픽 위주로 구성된다.

또한 즉전감이라곤 해도 즉전감에 올인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인 경우가 박준용을 선택하며 "1라운드에 육선엽을 뽑았기 때문에 즉전감을 우선시했다"라고 발표한 것이다. 육선엽은 실링픽으로 분류된다.

일단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1라픽인 이호성과 육선엽은 몰라도 그 뒤의 즉전감인 박권후박준용이 심하게 무너지며 2라운더 아래의 성과가 몹시 좋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다. 단 스카우트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호성은 장염, 박준용은 사설 레슨 등의 이슈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호성을 얼리픽이라고 비판하는 일각의 시각과는 달리 이호성 뒤에 뽑은 투수들의 데뷔 시즌 성적도 썩 좋은 편이 아니다. 오히려 이호성은 입단 당시에는 의외로 2라급 투수로 여겨진 것치고 좋은 직구를 던져 평이 좋았으며, 이후 부진은 삼성 투수파트의 코칭 문제가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2]

스카우트라는 직책이 이상원이나 최무영처럼 대세를 거스르고 이해할 수 없는 소신만을 내밀며 일부러 역배를 거는 수준이 아닌 이상, 대부분은 결과론이 될 수밖에 없는 직책이다. 2022년 팀장이 된 이후 지명 직후에 나쁜 평가를 들은 적은 없다. 김민수가 비판받는 원인으로는 삼성의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은 픽이 나온다는 점,[3] 그리고 이상원급의 혹평을 받는 최무영 시절에 아래에서 오랫동안 함께 일해왔던 인물이라는 점이 크다.

다만 2025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이종열 단장과 신인픽 기조를 두고 갈등이 생겼었는데, 당일 아침까지 의견 대립이 팽팽하다가 결국 이 단장이 주도권을 쥐고 삼성이 정말 오랜만에 홍대픽을 하지 않고 최고의 드래프트를 했다는 평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이종열 단장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이유로 여론이 나빠졌다.

그러나 지난 2년간의 아쉬운 드래프트 성과를 넘어서 25시즌의 좋은 드래프트에 기여했다는 평도 있다. 정작 드래프트 종료 직후에는 적잖이 험악했던 여론과 달리 결과 자체가 좋아서 불만이 크게 들리진 않는 편이다. 해당 선수들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는 지난 2년의 드래프트와 똑같이 결과론이라는 의견이 일단은 더 많다.[4]

4. 관련 문서


[1] 1998학번[2] 애초에 이호성을 2023년에 뽑았을 때 자체는 또 우완 피네스 피처냐며 걱정하는 여론이 많았는데, 사실 입단한 직후의 모습은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을 뿐더러 투구폼도 괜찮고 피지컬도 좋아서 삼성의 처참한 투수육성 파트를 감안하면 변화구를 더 붙이고 스태미너만 키우면 되겠다는 성공한 스카우팅이라는 여론이 훨씬 많았다. 그러나 삼성의 투수육성파트그런 선수조차 망가뜨릴 정도로 답이 없었고, 스태미너를 늘리기는커녕 2년동안 고교 시절에 만들어둔 몸은 장염으로 다 망가진데다 선발 수업을 한답시고 기존의 투구폼의 장점을 없애 몸통회전을 죽이고 팔로만 던지게 하는 충격적인 무툴 투수로 전락시켜 기어코 삼성 팬덤이 가장 우려했던 이호성의 예상 성장치에서 저점의 모습으로 전락시켰다. 즉 이호성은 스카우팅보단 육성 문제가 클 것이라는 게 중론.[3] 사실 이호성은 삼성의 처참한 투수육성 시스템을 누구보다 잘 고려한 즉전감 투수였으나 끔찍한 투수육성때문에 2년만에 큰 부침을 겪었다. 이후 홍준학이 단장에서 사임의사를 표하고 육성 기조를 시작할 2024년 드래프트에서는 1라운더로 실링픽 육선엽을 뽑았고 2025년에는 좌완 투수가 없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본인은 실링픽에 가까운 김태현을 뽑자고 주장했으며 결과적으로 즉전감인 배찬승을 뽑는 등 어쨌거나 팀 플랜에는 따르는 지명을 하고 있긴 하다.[4] 공교롭게도 김민수보다도 훨씬 최악으로 평가되던 이상원 역시 이번 드래프트는 지명권이 많다는 걸 감안해도 홍대픽이 좀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은 지명을 했다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