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2:15:31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795><tablebgcolor=#fff795> 파일:극장판 짱구는 못말려.svg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000> 1기 2기 3기 4기 5기
<rowcolor=#000> 6기 7기 8기 9기 10기
어른제국의 역습
<rowcolor=#000>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rowcolor=#000>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rowcolor=#000>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rowcolor=#000>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rowcolor=#000> 31기 32기 33기 34기 35기
우리들의 공룡일기 초화려! 작열하는 떡잎마을 댄서즈
<rowcolor=#000> 3D 극장판
}}}}}}}}} ||
'''[[크레용 신짱/극장판|
극장판
짱구는 말려]]: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4ba2f, 0px 1px #f4ba2f, -1px 0px #f4ba2f, 0px -1px #f4ba2f, 1px 1px #f4ba2f, 1px -1px #f4ba2f, -1px -1px #f4ba2f, -1px 1px #f4ba2f; color: #109829; display: inline-block"''' (2015)
映画
クレヨン
しんちゃん
:
オラの
[ruby(引越, ruby=ひっこ)]し[ruby(物語, ruby=ものがたり)]
〜サボテン[ruby(大襲撃, ruby=だいしゅうげき)]〜
파일:aa6353305d855e3598f6a4d3838bda1eeae66fbd2.jpg파일:39a583ce19707c66e8ad719846b88fd366f390d166.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판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zasfgbfd00002.jpg파일:257777411135.jpg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시리즈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
<colbgcolor=#f4eee2><colcolor=#109829> 장르 애니메이션, 가족, 일상, 코미디, 재난, 액션, 미스터리, 판타지, 크리처, 호러, 괴수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각본 우에노 키미코
원작 우스이 요시토
캐릭터 디자인 스에요시 유이치로
주연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일본 국기.svg 야지마 아키코, 나라하시 미키, 후지와라 케이지, 코오로기 사토미, 마시바 마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남, 강희선, 김환진, 여민정, 장경희, 정혜옥}}}
제작사 신에이 동화
테레비 아사히
ADK
후타바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미디어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4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월 7일[1]
상영 시간 104분
월드 박스오피스 $33,120,366 (출처)
일본 박스오피스 22.9억 엔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02,538명
국내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80242795|▶]]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륜 G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영화 정보)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주제가7. 평가8. 흥행9. 명대사10. 기타

1. 개요

ありがとうカスカベ。さようならカスカベ。
고마워 카스카베. 안녕 카스카베.

선인장 괴물? 다 덤벼!
크레용 신짱 극장판 시리즈의 23번째 작품. 한국에서는 전작들보다 개봉 시기가 빠르게 2016년 1월 7일에 개봉하였다. 어린이날 시즌에 맞추어 개봉하는 이전 극장판들과는 다르게 겨울방학 시즌을 노리는 듯.[2] 타사 성우로는 안장혁이 캐스팅되었으며, 담당 PD는 황태훈 PD.

감독은 하시모토 마사카즈. 전전작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의 감독으로, 2년만에 크레용 신짱 극장판 감독을 다시 맡게 되었다.

이 극장판 개봉을 맞이해 방영된 TV판 에피소드 3편이 방영되었다.(2015년 3월 6일, 4월 17일, 5월 1일 방영)[3]

국내에선 3월 6일 방영분이 스페셜2016에서 '엄마, 아빠는 이렇게 집을 사셨어요!'편으로, 4월 17일 방영분이 17기 3화에서 '죽순 괴물이 나타났어요'편으로 방영되었다. 5월 1일 방영분도 17기 4화 '흰둥이의 숨겨진 이별 이야기'편으로 방영되었다.[4]

노하라 일가가 이사가는 편이라 그런지 극장판에서는 처음으로 등장한 인물도 있었다. 특히 미사에의 동생이자 신노스케의 작은이모인 코야마 무사에가 첫 등장이자 미사에의 가족 중 가장 먼저 등장했고 미사에의 친구인 혼다 케이코도 그녀의 아들인 혼다 히토시와 함께 처음으로 등장했다.[5]

오오하라 나나코는 11기 이후 오랜만에 등장하면서 신노스케가 떠나기 전 뽀뽀를 해줬다.

이 때는 카스카베 방위대의 활약은 없었지만 카자마 토오루가 유일하게 활약했다고 볼 수 있는 극장판이다. 토오루의 제안으로 카스카베 방위대의 마크가 달린 베지를 만들었는데 노하라 신노스케가 멕시코로 길게 출장을 가는 바람에 5명이 전부 가슴에 달고 다같이 뭉친 모습을 아쉽게도 보지 못했다. 더군다나 토오루는 노하라 일가가 떠나기 전에 단체 사진에서도 빠졌지만 떠나기 전에 그들을 배웅해주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토오루가 마무리로 등장하면서 엔딩을 장식한다.[6]

2. 예고편

1차 예고편
2차 예고편[7]
국내판 예고편

3. 시놉시스

멕시코의 마다쿠엘요바카[8][9][10] 마을에서 발견된 신종 선인장의 열매에 매우 맛있는 꿀이 들어 있어서 후타바사에서 이를 이용해 수입을 올리고자 마을 회장에게 협조를 구하기 위해 히로시가 멕시코로 전근을 가게 된다. 그러나 마을 회장은 히로시의 제안을 강력하게 거절하는데다가 난데없이 신종 선인장에서 나온 작은 선인장들이 사람을 잡아먹기 시작하는데...[11]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등장인물#|]][[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줄거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줄거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줄거리#|]][[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OP
キミに100パーセント
너에게 100퍼센트
Full ver.
<colbgcolor=#f4eee2><colcolor=#109829> 노래 캬리 파뮤파뮤
작사 나카타 야스타카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キミが出してる力はほんと
네가 내는 힘은 정말
키미가 다시테루 치카라와 혼또

キミの本気の何パーセント
너의 진심의 몇 퍼센트
키미노 혼키노 난파센토

いつか全力100パーセント
언젠가 전력 100퍼센트
이츠카 젠료쿠 햐쿠파센토

それはつかれちゃうけど
그건 지칠 테지만
소레와 츠카레챠우케도

”ありがとう”っていう気持ちと
"고마워"라는 마음과
아리가톳테 이우 키모치토

”ごめんなさい”っていう気持ちは
"미안해"라는 마음은
고멘나사잇테 이우 키모치와

ちゃんと伝えたほうがいいよね
제대로 전하는 편이 좋아
챤토 츠타에타 호오가 이이요네

正直になれるかな
솔직해질 수 있을까
쇼지키니 나레루카나


明日から本気だすから
내일부터 최선을 다할 테니까
아시타카라 혼키다스카라

ねえねえねむねむ
있지 있지 졸려 졸려
네에 네에 네무 네무

ぐっすりしてからのほうがいい
푹 자고 나서 하는 게 좋아
굿스리 시테카라노 호오가 이이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내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そんな気持ちの何パーセントも
그런 마음의 몇 퍼센트도
손나 키모치노 난파센토모

練習が足りないけど
연습이 부족하지만
렌슈가 타리나이케도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나의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いつも変わらず元気でみんな
언제나 변함없이 기운찬 모습으로 모두
이츠모 카와라즈 겡키데 민나

笑顔になれるよ
미소짓게 될 거야
에가오니 나레루요


キミが出してる力はほんと
네가 내는 힘은 정말
키미가 다시테루 치카라와 혼또

キミの本気の何パーセント
너의 진심의 몇 퍼센트
키미노 혼키노 난파센토

いつも全力100パーセント
언제나 전력 100퍼센트
이츠모 젠료쿠 햐쿠파센토

それはつかれちゃうけど
그렇게는 지칠 테지만
소레와 츠카레챠우케도

”今だゾ”っていうこの時
"지금"이라는 이때
이마다좃테 이우 코노토키

照れちゃうけれどね言わなきゃ
쑥쓰럽지만 말해야 해
테레챠우 케레도네 이와나캬

ちゃんと伝わるって信じたら
제대로 전해질 것이라고 믿는다면
챤토 츠타와룻테 신지타라

きっと素直になれるよ
분명 솔직해질거야
킷토 스나오니 나레루요


明日から本気だすから
내일부터 최선을 다할 테니까
아시타카라 혼키다스카라

ねえねえねむねむ
있지 있지 졸려 졸려
네에 네에 네무 네무

ぐっすりしてからのほうがいい
푹 자고 나서 하는 게 좋아
굿스리 시테카라노 호오가 이이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내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そんな気持ちの何パーセントも
그런 마음의 몇 퍼센트도
손나 키모치노 난파센토모

練習が足りないけど
연습이 부족하지만
렌슈가 타리나이케도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나의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いつも変わらず元気でみんな
언제나 변함없이 기운찬 모습으로 모두
이츠모 카와라즈 겡키데 민나

笑顔になれるよ
미소짓게 될 거야
에가오니 나레루요


1 2 3 ではじめよう
1 2 3 로 시작하자
완 투 쓰리 데 하지메요오

キミにキミにキミに100パーセント
너에게 너에게 너에게 100퍼센트
키미니 키미니 키미니 햐쿠파센토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내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そんな気持ちの何パーセントも
그런 마음의 몇 퍼센트도
손나 키모치노 난파센토모

練習が足りないけど
연습이 부족하지만
렌슈가 타리나이케도

ボクの気持ちの100パーセント
나의 마음의 100퍼센트
보쿠노 키모치노 햐쿠파센토

届け届けキミに
닿아라 닿아라 너에게
토도케 토도케 키미니

いつも変わらず元気でみんな
언제나 변함없이 기운찬 모습으로 모두
이츠모 카와라즈 겡키데 민나

笑顔になれるよ
미소짓게 될 거야
에가오니 나레루요
}}}}}}}}} ||
ED
OLA!!
MV ver.
Full ver.
<colbgcolor=#f4eee2><colcolor=#109829> 노래 유즈
작사 키타가와 유우진
작곡
편곡 마에야마다 켄이치
키타가와 유우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15기, 21기 엔딩 만큼은 아니지만 이 곡도 짱구 극장판 엔딩곡들 중에서는 상당히 명곡이라는 평이 많다. 배경이 멕시코인 만큼 특유의 라틴 느낌을 잘 녹여내면서 극찬하는 이들이 많다.

7.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95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3.4 / 5.0


일단 전작에 이어 이번에도 작품성과 흥행 모두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제2의 황금기에 포함 될 수 있는 극장판이다.

네이버 영화에서는 8.2~8.5점으로 꽤 호평받았는데, 영화 어플 사이트 왓챠에서는 5점 만점 3.1점으로 혹평이 주류 의견이다. 일본 야후!에서는 5점 만점 4.22점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일본 영화 사이트 '에이가닷컴'에서는 5점 만점에 3.5점을 받았는데, 전작이 3.9점, 전국시대 편이 4.1점임을 고려하면 다소 낮은 점수이다. 물론 전작과 전국시대 편은 역대급 편이기도 하고 다른 짱구 극장판들과 비교하면 평균 정도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역대 최고 흥행 수익을 올렸다.

예고편에서 보듯 불고기로드를 연상케 하는 코믹한 장면과는 다르게 이번 극장판의 컨셉은 서바이벌이다. 전체적으로 이전 극장판들과는 다른 느낌의 극장판으로, 매우 진지한 극장판이며 이전 극장판들과는 다른 매우 웅장하고 큰 스케일로 진행되며 마치 블록버스터 영화 한 편을 본거 같은 느낌을 준다. 특히 호쾌한 액션씬은 역대 극장판 뿐만 아니라 여느 유명 애니 못지 않은 박진감을 준다. 특히 버스 액션씬이 백미.

기본적으로 14기와 같이 은은하게 무서운 분위기로 시작하지만 중간에 개그로 빠지지 않고 마지막까지 스릴, 액션 페이스를 유지한다. 18기, 22기와 함께 암울한 소재를 크레신에 잘 녹아들게 한 극장판이다. 물론 앞에서는 저렇게 말했지만 짱구 극장판인것은 변하지 않아서 중간중간에 개그씬이 포함되어 있으니 부담없이 볼 수 있다.

다만 호러 분위기가 있다고 해도 호러보다는 생존, 블록버스터의 비중이 더 커서 크게 공포스럽지는 않다.[12] 액션씬도 매우 잘 나왔으며 약간 작위적인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스토리의 진행을 방해할 정도로 거슬리는 수준은 아니다. 스케일이 크레용 신짱 극장판 사상 최대 규모이다 보니 다른 극장판보다 러닝 타임이 약 10분 정도 길며 역대 3번째이다.

극 초반부에 짧게 나오는 원래 집에서의 추억을 회상하는 장면과 중간중간 나오는 신노스케의 일침도 이 극장판의 백미 중 하나이다.

같이 살아남은 생존자들이 민폐 캐릭터에서 든든한 아군으로 성장해 가는 게 이 극장판의 또 다른 묘미. 단, 감동보다는 웅장한 스케일에서 나오는 박진감과 스펙터클한 액션 등으로 승부하는 극장판이다 보니 전작 같은 감동계를 기대한 사람들은 실망하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게다가 한국에서는 묘하게 반응이 싸늘하다.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극장 애니메이션들보다 높은 평점을 받고 작품성이 로봇아빠 이상이라는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은 재미없다는 반응이 생각보다 많이 보인다.

다만 호러, 공포 분위기라는 소식을 듣고 14기급의 분위기와 연출을 기대하고 보면 실망할 수 있다. 앞서 말했듯 서바이벌에 비중이 더 클 뿐더러 대부분의 연출이 공포보다는 박진감과 스릴 위주의 장면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 생존 영화라는 큰 틀에 스릴과 공포 분위기가 약간 가미된 것에 가깝다. 다만 엄연히 공포 영화가 아니여서 호러에 초점을 둘 필요도 없을 뿐더러 다른 부분에서 호평을 받는 부분이 더 많은 명작이다. 오히려 짱구 극장판 중 공포면에서 넘사벽인 14기가 독특한 케이스.[13]

또한 어른아이 할 것 없이 눈물을 쏟게 했던 몇몇 극장판들의 내용을 기대한다면 좀 실망할 수는 있다. 초반부에 이별이라는 소재를 써서 감동을 주기는 했지만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아니며, 사실은 전체적인 분위기를 긴장감과 유머로 끌고 가는 작품. 식인 선인장에게 쫓기며 그 위기를 극복하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믹 + 스릴러에 가깝다. 비록 9기, 10기, 22기의 깊은 감동까지 가는 극장판은 아니나, 초반부와 결말 에필로그의 친구와의 이별과 재회, 중후반부의 뭔가 모났던 선인장 마을 인물들의 성장을 다룬 두 가지 이야기가 맞물려 잔잔하지만 깊은 감동을 자아내는 수작 극장판이다.

종합하면 꽤나 재밌는 킬링타임용 영화이지만, 좋은 평가를 받은 타 극장판들과의 비교, 특히 크레용 신짱의 극장판 중 손꼽히는 극장판인 로봇아빠 편 직후에 개봉돼 비교되어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은 경향이 있는 영화. 드라마가 약할 뿐이지 어린아이들이 접하기 힘든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의 클리셰들을 어린이용 서바이벌 애니메이션으로서 훌륭하게 해석, 승화시켰기 때문에 작품의 의의도 훌륭한 편. 특히 이런 장르들이 으레 그렇듯 등장인물들이 퇴보를 하며 괴물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리는 것이 보통인데 짱구는 못말려는 되려 아이들 눈에 맞춰 성장하는 인물들을 보여준다는 것이 특징. 어른들 입장으로선 지겹게 봐 온 클리셰들이 장르에 맞지 않게 아주 밋밋하고 희망적으로 디자인되어 재미를 느끼기 어려울 수 있지만, 이런 클리셰들을 처음 접하게 되는 아이들은 재밌게 보기 좋다.

진짜 단점은 딱히 짱구 극장판일 이유가 없는 스토리라는 점이다. 주역을 제외한 캐릭터들을 홀대하는 거야 극장판의 전통이지만 이 영화는 정도가 심해 짱구 가족을 제외한 모든 레귤러들을 배제시키고 오리지널 캐릭터들로 전개를 하니 굳이 짱구 극장판일 이유가 없어진다. 게다가 식인 식물을 상대하는 좀비물이라는 컨셉 속에서 크레용 신짱 특유의 기상천외한 전개나 의외의 발상, 독특한 악역 같은 테이스트는 사라졌으며 주역들의 활동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배경은 그들이 나설 수 있는 활약처마저 없애버렸다. 공기나 마찬가지인 짱아의 역할은 안나와도 그만인 수준이며 내용과 관계도 없는데 중간중간에 투입된 흰둥이 씬은 관람을 방해하기까지 한다. 심지어 영화가 끝나도 봉미선, 신영식이 어떤 활약을 했는지 떠오르는 관객이 없을 듯하며 주인공마저 그 자리에 짱구가 있든 아무 감자머리 소년이 있든 별 상관없는 영화가 되어버렸다.

8. 흥행

2023년 9월 전까지 역대 최고 흥행작이였다.[14] 일본에서는 2기 이후 처음으로 수입이 20억엔을 넘었고, 6월 28일을 기점으로 1위였던 1기 극장판의 수익인 22.2억엔을 넘어 크레용 신짱 극장판 역대 수입 1위에 등극했다. 최종 수입은 22.9억엔.

한국에선 2016년 1월 7일 개봉해 7위에 올랐다. 이틀동안 전국 34,652명을 기록했는데 일단 전작 로봇아빠의 역습보다는 흥행이 좋다.[15] 그리고 개봉 첫 주에 1월 10일까지 전국 396개관에서 2388회 상영하여 11만 6167명을 동원하였으며, 8억 7044만 4800원을 벌었다. 개봉 이전 성적까지 합치면 총 관객 수는 11만 6842명이며, 총 매출액은 8억 7616만 6800원이다. 주말 박스오피스에선 《굿 다이노》, 《몬스터 호텔 2》와 같은 애니메이션 경쟁에 밀려 7위로 데뷔했으나, 평일 성적을 합친 주간 박스오피스에선 8위로 데뷔했다. 역시 단기간 흥행에서는 짱구 극장판 최대 국내 흥행작인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의 흥행보다는 부족한 추세이다.[16] 총 관객 수는 20만 2538명. 관객 20만명이 넘지 못한 B급 음식 서바이벌과 로봇아빠의 역습에 비해 상당히 잘 나온 관람객 수이다.

2023년에 개봉한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이 23억엔을 돌파하면서 이 극장판의 흥행 기록을 넘어서게 되었다.

9. 명대사

당신 혼자만 참으면 되는줄 알아요? 우린 뭐 감정도 없어요?
- 노하라 미사에
짱구 말처럼 난 가족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니까.
- 노하라 히로시
네 식구 같이 가는 거에요. 가족은 같이 있어야 하니까.
- 노하라 미사에
잘 있거라 소중한 추억이 깃든 우리 집이여.
- 노하라 히로시
사쿠라다 네네: 이걸 갖고 있으면 전세계 어디를 가더라도 우리는 영원한 떡잎마을 방위대야.
노하라 신노스케: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영원한 떡잎마을 방위대다!
떡잎마을 여러분 이 짱구 여러분을 절대로 잊을 때까지 안 잊을께요. 그럼 다시 만날 때까지 안녕.
- 노하라 신노스케
좋아 여기서 새로 시작하는 거야. 신형만 가족은 전세계 어디에서도 파이어!
- 노하라 히로시
네네 로드리게스: 무서워요. 지금도 무서워요. 하지만 이젠 더 이상 겁쟁이로 살고 싶지 않아요.
난 말이죠. 그래도 난 말이죠. 머꼬또머고블라의 자랑스러운 독수리 레인보우 가면이니까!
마리아치: 그래요 같이 가요. 당신은 더 이상 겁쟁이가 아니에요. 용감무쌍한 영웅이에요.
우린 이제 머꼬또머거블라 방위대에요. 가자 머꼬또머거블라 방위대 파이어!
- 노하라 신노스케
우리 가족과 마을 사람들은 내가 지킨다.
- 노하라 히로시
포기하지마 절대로 포기하지마. 내가 바로 머꼬또머거블라 방위대 대장이다!
- 즈야카오 에라이
짱구 넌 최고의 남자야.
- 카롤리나

10. 기타


[1] 처음으로 1년의 텀을 깨고 9개월 만에 개봉하였다.[2] 2014년 5월 개봉한 21기 극장판은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2015년 5월 개봉한 22기 극장판은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개봉으로 인해 영화관 확보에 실패해 흥행 부진을 당해 개봉시기를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1기 극장판도 일본에서 나름 흥행을 했었고 22기 극장판은 일본에서는 역대 4위였는데 한국에서는 흥행에 실패한 탓에 더더욱 비교가 된다.[3] 3월 6일은 스페셜 방영분으로 노하라 가가 현재의 집으로 이사가는 과정이 담긴 에피소드, 4월 17일은 유치원에서 죽순이 나타나 공격한 에피소드(죽순이 공격하는 것과 선인장이 공격하는 것이 비슷하다.), 5월 1일은 시로가 멕시코로 이사가면서 그동안 봤던 강아지에 대한 에피소드다. 이 에피소드는 TV판 최초로 극장판과 연계되는 에피소드이다.[4] 이 에피소드의 타이틀 카드가 나오기 전에 나오는 극장판 일부분 영상이 편집없이 한국에서도 그대로 방영되었다. 하지만 이 당시에는 CJ가 배급을 담당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내레이션 멘트에서는 극장판 언급 없이 '어느 짱구는 못말려 특별판'이라고 바꾸어서 말했다.[5] 즉 미사에 주변인물들이 다 첫 등장한 극장판이다.[6] 아무래도 토오루가 14기에서 유일하게 활약을 못했던 대신에 이 극장판에서 조금이라도 활약한 것으로 추정된다.[7] 1차 예고편과 약간 차이가 있다. 카스카베 방위대 뱃지가 1차에서는 캔뱃지지만 2차에서는 골판지로 되어 있으며, 멕시코에서 결심을 할 때 히로시와 미사에의 복장이 1차보다 좀 더 수수해졌다. 여담으로 1차에서 신짱네 가족이 흰둥이와 함께 쇼핑 카트를 몰고 선인장들에게서 도망치는 모습, 2차에서 히로시와 미사에가 여왕 선인장에게 붙잡혀 가는 모습은 본편에서 나오지 않는다.[8] 원작에서는 일본식 발음으로 '마다쿠에루요바카(マダクエルヨバカ)'라고 읽는데, 이는 일본어로 '아직 먹을 수 있어, 바보.'라는 뜻이다. 한국판에서도 먹는다는 의미를 살려 '머꼬또머거블라' 마을로 번역.[9] 멕시코의 실제지명인 쿠에르나바카(Cuernavaca)가 일본어로 '먹지 마, 바보(쿠에루나, 바카)'와 발음이 같은데 이에 대답하듯 '아직 먹을 수 있어, 바보'라는 뜻의 'まだ くえるよ ばか'를 카타카나로 바꿔 표기하여 만든 말장난 지명. 이번 극장판은 원작자인 우스이 요시토가 사망한지 상당한 시간이 흐른 시점이지만 그가 크레용 신짱 시리즈에서 꾸준히 즐겨 사용하던 싱겁지만 인상적인 심볼로써의 말장난 개그 페이소스 및 전반적인 작품 성향을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나름대로 잘 지켜나가고 있는 것인 셈.[10] 영어권에서 종종 영화 소개문에 마르데켈리요바카(Mardequellyovaca)라는 이름이 제시되는데, 이 이름을 제시한 소개문의 출처가 위키피디아로 명시되어 있으나 정작 위키피디아에서는 이런 이름을 제시한 적이 없고 원래 이름인 Madakueruyobaka라고 표기한다.[11] 선인장 열매의 모양은 아마도 용과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 같다. 실제 용과의 원산지도 멕시코이다.[12] 14기의 곤약 클론 인간들은 인간의 모습이여서 팔이 으깨지거나 얼굴이 뭉개지는 등 호러 분위기가 더 강하다. 이번 극장판은 선인장이 총에 맞아봤자 그냥 선인장의 뽀얀 속살(...)이나 단면만 보이고 공포라고 해 봤자 그냥 선인장이 구멍으로 사람을 꿀꺽 하는 정도 밖에 없다.[13] 다만 짱구네 가족 시점으로 본다면 이 영화가 14기 보다 더 공포스러울 것이다.[14] 이전 역대 흥행 1위가 첫 극장판인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인데 이는 무려 극장판 시리즈가 첫 번째로 나오고 22년 간 깨지지 않았던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깬 극장판인 셈이다.[15] 흥행작인 전작은《어벤져스 2》와 같은 경쟁작들로 인해서 아쉬운 면이 있다.[16] 그런데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는 반대로 일본에서는 7기와 맞먹는 9.8억 엔이라는 처참한 흥행 수익을 거두며 대실패를 하였다.[17] 춤추는 대수사선의 패러디[18] 후에 카스카베 방위대 배지는 25기 습격!! 외계인 덩덩이의 엔딩 컷에서 시리리와 카스카베 방위대가 달고 있는 배지로 재등장하는데, 색깔이 주황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바뀌었다.[19] 극장판끼리는 평행우주라서 설정이 달라도 딱히 상관은 없다. 1기의 액션가면은 진짜지만 8기의 액션가면은 배우인걸 생각하면 편하다. 설정 오류라는 게 오래된 작품일수록 많이 생긴다. 원작에서도 단독 주택에 대한 설정 오류는 무수히 많은 편이다. 예를 들어 "1998년에 무슨 일이 있었나?"편에선 1살짜리 신짱이 살던 곳은 지금과 같은 단독 주택이었다. 그러나 "나는 두살이에요"편에선 신짱은 2살이지만 살고 있는 곳은 작은 맨션이었다.[20] 남아시아스리랑카몰디브가 모티브로 추정된다.[21]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이나 우즈베키스탄이 모티브로 추정된다.[22] 아이셔 레몬의 부모님인 플럼과 라임의 생김새만 봐도 알 수 있는데 아버지 플럼은 튀르크 계통의 황인이고 어머니 라임은 러시아인의 외모를 가지고 있고 공화국의 전통 복장이 중앙아시아 전통 복장(특히 우즈베키스탄)에 가깝고 전통 건축물의 외양이 전형적인 실크로드형 도시의 모습이다.[23] 작중에서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라고 정확하게 명시했다.[24] 멕시코에서는 스페인어가 공용어이며, 최다 모어 국가이다.[25] 이런 연출은 로베르토 맥과이어의 경우와 동일하다.[26] 학여울역이 같은 케이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