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0:15:11

나타(원신)/세부 지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나타(원신)|나타(원신)]]

파일:원신 로고.svg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지역
{{{#!wiki style="margin: -5px -11px;"
[[몬드|{{{#!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바람과 목가의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원신 몬드성.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원신_몬드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리월|{{{#!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바위와 계약의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원신 리월항.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리월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이나즈마(원신)|{{{#!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번개와 영원의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원신 이나즈마성.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이나즈마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수메르(원신)|{{{#!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심오한 지식이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원신 수메르성.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수메르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폰타인|{{{#!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춤추는 샘의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원신 폰타인성.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폰타인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나타(원신)|{{{#!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불타는 각축과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나타 경기장.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나타_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스네즈나야|{{{#!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스네즈나야 건물-1.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켄리아|{{{#!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2
{{{#!wiki style="margin-top: -4px"
파일:켄리아멸망.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특수 지역
{{{#!wiki style="margin: -5px -11px;"
[[드래곤 스파인|{{{#!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드래곤 스파인 전경.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원신_드래곤 스파인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층암거연|{{{#!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층암거연_지상.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층암거연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연하궁|{{{#!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연하궁_내부.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연하궁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침옥 협곡|{{{#!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침옥 협곡.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침옥협곡 인장.webp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지난날의 바다|{{{#!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지난날의 바다.jp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지난날의 바다 인장.webp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태고의 신성한 산|{{{#!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태고의 신성한 산_.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태고의 신성한 산 인장.webp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기타 지역
{{{#!wiki style="margin: -5px -11px;"
[[셀레스티아(원신)|{{{#!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원신 셀레스티아 임시 2.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파일:미공개된 국장.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금사과 제도|{{{#!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금사과 제도 2.8.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금사과 제도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유리빛 신기루|{{{#!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유리빛 신기루.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유리빛 신기루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시뮬랑카|{{{#!wiki style="width: 25%; max-width: 189.6px;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0,0,0,0.1) solid 1px;"
파일:시뮬랑카.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일:원신_시뮬랑카 아이콘.p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2px;" }}}}}}]]
}}}
}}}}}}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6c6c,#010101><tablebgcolor=#ff6c6c,#010101> 파일:원신_나타_아이콘.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1 [[나타(원신)|{{{#ffffff,#e0e0e0 '''나타'''}}}]]}}}[br]{{{-2 [[나타(원신)/세부 지역|{{{#ffffff,#e0e0e0 세부 지역}}}]] ・ [[원신/등장인물/나타|{{{#ffffff,#e0e0e0 등장인물}}}]] ・ [[원신/설정/나타|{{{#ffffff,#e0e0e0 설정}}}]] ・ [[원신/임무/마신 임무/제5장|{{{#ffffff,#e0e0e0 스토리}}}]] ・ [[원신/OST#나타 테마곡|{{{#ffffff,#e0e0e0 OST}}}]]}}} 
}}}

1. 개요2. 굳센 바위 협곡
2.1. 「메아리 아이」2.2. 솟구친 언덕2.3. 웅크린 석산 아래2.4. 유황 결정 지맥
2.4.1. 바위의 고향
2.5. 이별과 서약의 전당
2.5.1. 재앙이 시작된 경계
3. 웅크린 석산
3.1. 「나무살이」3.2. 불 탈취자의 비밀섬3.3. 선조의 사당3.4. 색바위 정상3.5. 열소 채굴 연구소3.6. 오래된 발굴처
4. 샘솟는 땅
4.1. 「샘물 무리」4.2. 영혼 벽 동굴4.3. 용해 수역
4.3.1. 부유 정토계
5. 불들의 잔
5.1. 밤혼 시련소5.2. 성화 경기장(★)
5.2.1. 성화 경기장·추웬 시장5.2.2. 성화 경기장·전사 휴식처5.2.3. 성화 경기장·팍스 신전
5.3. 장작 언덕
6. 거울벽산
6.1. 어스름 계곡6.2. 「연기 주인」
6.2.1. 수수께끼 땅의 제단
6.3. 열풍 시험장6.4. 표류깃 해만
7. 깃가지 절벽
7.1. 「꽃깃회」7.2. 침식된 석실
7.2.1. 형광풀 동굴
8. 오치카나타9. 풍요의 들판
9.1. 고대 산길9.2. 고대 유물 발굴지9.3. 「비옥한 터전」
9.3.1. 화산 터널
9.4. 용암의 균열9.5. 화산 유적지9.6. 「하늘불 왕관」
10. 태고의 신성한 산11. 미구현 지역
11.1. 밤의 신의 나라11.2. 잿더미 바다11.3. 열화의 나라

1. 개요

나타(원신)의 세부 지역을 정리한 문서. 캐서린을 비롯한 주요 시설이 있는 곳은 항목에 (★) 표시.

2. 굳센 바위 협곡

파일:원신_굳센 바위 협곡.png
굳센 바위 협곡
Tequemecan Valle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quemecan Valley
파일:스페인 국기.svg Cañón Tequemecan
파일:중국 국기.svg [ruby(坚岩隘谷, ruby=Jiānyán Àigǔ)]
파일:일본 국기.svg テケメカンの[ruby(谷,ruby=たに)]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알록달록한 뭇 산.png
오래전, 열소 각인의 모든 글자와 구조에 정통한 지혜로운 자가 있었다. 그는 각인에 담긴 다양한 의미를 흩날리는 선의 형태로 표현했다. 지혜로운 자는 거대한 절벽이란 도화지 위에, 열소를 염료로 형형색색 다채로운 그림을 그렸고, 이것이 오늘날 나타 그라피티의 기원이라고 한다
알록달록한 뭇 산
Among the Painted Peak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mong the Painted Peaks
파일:스페인 국기.svg Entre montañas policromad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在彩绘群山之中,ruby=Zàicǎihuì Qúnshān zhī Zhōng)]
파일:일본 국기.svg ラクガキが[ruby(彩,ruby=いろど)]る[ruby(山々,ruby=やまやま)]
}}} }}} ||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테퀘메칸(Tequemecan)나와틀어로 돌을 뜻하는 단어다.

2.1. 「메아리 아이」

「메아리 아이」
Children of Echo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hildren of Echoes
파일:스페인 국기.svg ástagos del E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回声之子,ruby=Huíshēng zhī Zi)]
파일:일본 국기.svg こだまの[ruby(子,ruby=こ)]
파일:원신_메아리가 울리는 곳.png
메아리가 울리는 곳
Land of Many Echo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Land of Many Echoes
파일:스페인 국기.svg La tierra del e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回声作响之地,ruby=Huíshēng Zuòxiǎng zhī De)]
파일:일본 국기.svg こだまの[ruby(響,ruby=ひび)]く[ruby(地,ruby=ち)]
산룡과 함께 생활하는 「메아리 아이」 부족의 마을. 협곡 곳곳에서 장인들의 망치 소리와 보석을 찾는 사람들이 바위를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온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나나치카얀의 본거지. 크고 아름다운 드릴이 상징처럼 벽에 걸려있으며 협곡에 세워진 주황빛의 건축물들이 특징이다. 무후루 보석점의 도제인 이믹스로부터 3일에 한 번씩 철광, 백철, 수정덩이, 응축 결정, 수정 열매를 최대 10개까지 구매할 수 있다.

2.2. 솟구친 언덕

솟구친 언덕
Cerro Tepeacac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erro Tepeacac
파일:스페인 국기.svg Tepeacac Rise
파일:중국 국기.svg [ruby(隆崛坡,ruby=Lóngjué-pō)]
파일:일본 국기.svg テペアカク[ruby(坂,ruby=ざか)]
파일:원신_풍요로운 어미나무.png
풍요로운 어미나무
Mother Tree of Fruitful Plent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other Tree of Fruitful Plenty
파일:스페인 국기.svg El feraz árbol madre
파일:중국 국기.svg [ruby(硕果累累的母树,ruby=Shuòguǒlěilěi de Mǔshù
)]
파일:일본 국기.svg [ruby(実,ruby=みの)]り[ruby(豊,ruby=ゆた)]かな[ruby(母樹,ruby=ぼじゅ)]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화염류탄 뿌리.png
화염류탄 뿌리
The Roots of the Flamegranate Tre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he Roots of the Flamegranate Tree
파일:스페인 국기.svg El sistema radicular del flamigranad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火榴树根,ruby=Huǒ Liú Shùgēn)]
파일:일본 국기.svg フレイムグレネードの[ruby(樹,ruby=き)]の[ruby(根本,ruby=ねもと)]
}}} }}} ||
물가에 자라는 열매는 화염류탄 열매라고 불리는데, 모든 화염류탄 열매가 이 거대한 어미나무의 작은 줄기일 뿐이라고 한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웅크린 석산 북서쪽에 위치한 언덕. 낮은 편이라 대부분의 식물이 자라기 좋은 환경이다. 많은 용들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한다.
나타에서는 언덕을 「뭇 산의 시작점」으로 부르기도 한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은 테파아칵(Tepeacac)이라고 번역했는데 테피아카(Tepeaca)멕시코푸에블라 주에 있는 실제 도시의 이름이다. 나와틀어 단어 테페틀(tepetl, )과 야카틀(yacatl, 코끝)을 합친 단어를 스페인어로 현지화한 것이다.

거대한 푸른 화염탄이 달린 나무가 있는데 월드 임무 숙성 문제를 클리어하면 푸른 열매가 붉게 익는다.

2.3. 웅크린 석산 아래

파일:원신_웅크린 석산 아래.png
웅크린 석산 아래

이곳에서 식탐의 숲룡 산왕을 토벌할 수 있다.

2.4. 유황 결정 지맥

유황 결정 지맥
Sulfurous Vein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ulfurous Veins
파일:스페인 국기.svg Montañas Cristasulfúric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硫晶支脉,ruby=Liújīng Zhīmài)]
파일:일본 국기.svg [ruby(硫晶,ruby=りゅうしょう)]の[ruby(支脈,ruby=しみゃく)]
파일:원신_금빛 문양이 감도는 기둥.png
금빛 문양이 감도는 기둥
Pins of Rock Entwined With Golden Run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Pins of Rock Entwined With Golden Runes
파일:스페인 국기.svg Columna rocosa con inscripciones dorad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金文萦绕的岩钉,ruby=Jīnwén Yíngrào de Yándī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金紋,ruby=きんもん)]の[ruby(纏,ruby=まと)]う[ruby(岩柱,ruby=がんちゅう)]
「그림자 바늘」이라 불리는 거대한 고체 연소 기둥. 전설에 따르면 「메아리 아이」의 대영혼이 부족 용사들의 피와 살을 빌려 만든 후에 높은 곳에 매달아, 어두운 시절을 봉인했다고 전해진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사방에 직각 모양의 기둥으로 둘러싸인 곳으로 지하에 심연을 봉인한 흔적이 있다.

2.4.1. 바위의 고향

바위의 고향
Land of Myriad Megalith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Land of Myriad Megaliths
파일:스페인 국기.svg Tierra de los Megalitos
파일:중국 국기.svg [ruby(众岩之里,ruby=Zhòngyán zhī Lǐ)]
파일:일본 국기.svg [ruby(万岩,ruby=ばんがん)]の[ruby(地,ruby=ち)]
파일:원신_변화하는 결정 기둥 석실.png
변화하는 결정 기둥 석실
Stone Chamber of Shifting Crystal Pillar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tone Chamber of Shifting Crystal Pillars
파일:스페인 국기.svg La cámara rocosa de los pilares móvil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晶柱迁动的石室,ruby=Jīngzhù Qiāndòng de Shíshì)]
파일:일본 국기.svg [ruby(動,ruby=うご)]く[ruby(晶柱,ruby=しょうちゅう)]の[ruby(石室,ruby=せきしつ)]
「투쟁은 어디에서 끝날 것인가, 공포는 어디에서 무력해질 것인가?」
「신체를 잃고 떠도는 영혼이여, 너 자신에게서 자신을 해방시켜라. 저편에 자리한 것은 영원히 황량한 낙원이니」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월드 임무 뭇 산의 그림자 진행중 열리는 지역으로 500년 전 유황 결정 지맥에 들이닥친 심연의 군세를 봉인한 곳이다.

켄리아의 전사였던 스바이냐와 엘르아살이 500년 전 나타, 그 중에서도 메아리 아이 부족과 당시 장로인 트라오레를 돕기 위해 심연과 싸우다가 지하에 스스로를 봉인한 상태로 있었다. 누구의 접근도 막기 위해 둘은 나타를 침략한 오명을 뒤집어 쓰기로 하고 500년 넘게 심연의 침식에 죽지도 못하고 고통받고 있었다. 이를 발견한 여행자는 둘의 침식을 정화하고 영면에 들게 해주며 같이 동행한 티투가 이 오명을 벗어주고자 둘의 이야기를 그대로 전하기로 한다.

2.5. 이별과 서약의 전당

이별과 서약의 전당
Hall of Parting Vow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Hall of Parting Vows
파일:스페인 국기.svg Salón del Juramento Dividid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分道誓约之厅,ruby=Fēndào Shìyuē zhī Tī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双路,ruby=そうろ)]・[ruby(誓,ruby=ちか)]いの[ruby(間,ruby=ま)]
파일:원신_맹세의 벽화.png
맹세의 벽화
Mural of Sworn Pledg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ural of Sworn Pledges
파일:스페인 국기.svg Mural del jurament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立誓的壁画,ruby=Lìshì de Bìhuà)]
파일:일본 국기.svg [ruby(誓,ruby=ちか)]いの[ruby(壁画,ruby=へきが)]
「스발란케, 이곳에서 맹세하라…」
「중생을 지키기 위해 땅을 띄운 자여, 중생을 밝히기 위해 불씨를 수여한 자여…」
「그대의 민족이 불을 거슬러 다시 돌아올 때, 그 누구도 막을 수 없으리라!」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여행자와 페이몬이 첫 번째 통첩의 금원반을 얻기 위해 방문하는 곳으로 꼬마 용과의 유대를 시험하는 곳이기도 하다. 벽화에 새겨진 인물은 스발란케왁샤클라훈우바칸으로 슈코아틀을 쓰러뜨린 뒤 각자 슈코아틀의 눈동자를 나눈 순간을 묘사한 벽화이다.

2.5.1. 재앙이 시작된 경계

파일:원신_재앙이 시작된 경계.png
재앙이 시작된 경계
Catastrophe's Edg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atastrophe's Edge
파일:스페인 국기.svg Frontera de la Catástrof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始灾的边界,ruby=Shǐzāi de Biānjiè)]
파일:일본 국기.svg [ruby(原初,ruby=げんしょ)]の[ruby(災境,ruby=さいきょう)]

월드 임무 약속과 망각 사이에서를 진행 할 때 후반부, 황금 늑대왕까지 처치하고 시련이 끝나면 도달할 수 있는 곳으로 여기서 원반을 얻은 여행자는 다음 여정의 목적지가 오치카나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실제로 이곳에 있는 건축물들의 양식은 오치카나타의 양식과 매우 흡사하다.

3. 웅크린 석산

파일:원신_웅크린 석산.png
웅크린 석산
Coatepec Mountai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oatepec Mountain
파일:스페인 국기.svg Monte Coatepec
파일:중국 국기.svg [ruby(踞石山, ruby=Jùshíshān)]
파일:일본 국기.svg コアテペック[ruby(山,ruby=さん)]
우뚝 솟은 기이한 산. 「나무 살이」 부족의 터전이기도 하다.
전설에 따르면 「나무 살이」 용사와 숲룡 백 마리가 백 개의 밧줄로 백일에 걸쳐 신앙을 상징하는 「흑요석 토템 기둥」을 지금의 장소로 옮겼다고 한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코아테펙(Coatepec)멕시코의 베라크루즈주에 있는 실제 도시 이름이다. 나와틀어뱀의 언덕이라는 뜻이다.

3.1. 「나무살이」

「나무 살이」
Scions of the Canop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cions of the Canopy
파일:스페인 국기.svg Retoños Arbóreos
파일:중국 국기.svg [ruby(悬木人,ruby=Xuánmù-rén)]
파일:일본 국기.svg [ruby(懸木,ruby=かがりぎ)]の[ruby(民,ruby=たみ)]
파일:원신_절벽에 매달린 부락.png
절벽에 매달린 부락
Canopy of the Clifftop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anopy of the Clifftops
파일:스페인 국기.svg El asentamiento entre precipicios
파일:중국 국기.svg [ruby(崖壁空悬的聚落,ruby=Yábì Kōngxuán de Jùluò)]
파일:일본 국기.svg [ruby(懸崖,ruby=けんがい)]の[ruby(里,ruby=さと)]
숲룡과 함께 생활하는 부족의 마을. 그들의 선조는 밧줄과 갈고리로 거대한 나무를 이곳에 매달았고, 부족은 이로 인해 「나무 살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위칠틀란의 본거지. 절벽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상태로 건축된 마을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살이가 풀 원소를 대표하는 나타 부족이다보니 수메르의 간다르바 성곽이 생각난다는 반응도 있었다.

나타의 통신 및 운송을 담당하고 있으며 나무살이 소속의 전달꾼들은 나타 전역에 배치되어 소식을 전하거나 물품을 배송한다. 이런 전달꾼들을 관리하는 전달꾼의 집도 이곳에 있다.

워프 포인트와 부락사이 길에 과거 마비카가 가족과 함게 살았던 집이 있었다.

3.2. 불 탈취자의 비밀섬

불 탈취자의 비밀섬
Firethief's Secret Isl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Firethief's Secret Isle
파일:스페인 국기.svg Isla Secreta del Robafuego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窃火者密岛,ruby=Qièhuǒzhě Mì Dǎo)]
파일:일본 국기.svg [ruby(盗炎者,ruby=とうえんしゃ)]の[ruby(秘島,ruby=ひとう)]
파일:원신_고난 끝에 도달한 비밀섬.png
고난 끝에 도달한 비밀섬
Venture to a Secret Isl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Venture to a Secret Isle
파일:스페인 국기.svg Islote secreto
파일:중국 국기.svg [ruby(跋涉而至的秘屿,ruby=Báshèérzhì de Mì Y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長旅,ruby=ながたび)]の[ruby(末,ruby=すえ)]の[ruby(秘島,ruby=ひとう)]
「힘을 좇는 보잘것없는 종족이여, 너희가 갈망하는 것을 위해 어떤 대가를 치를 것인가? 또 어떤 희생을 감당하려 하는가?」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처음에는 이동은 가능하지만 맵에는 표시되지 않으며, 섬에 있는 기믹을 풀고 난 후에 맵에 표시된다.

문구의 말투나 섬의 이름으로 볼때 이 섬은 왁샤클라훈우바칸과 관련있는 곳으로 추정된다.

3.3. 선조의 사당

선조의 사당
Ancestral Templ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ncestral Temple
파일:스페인 국기.svg Santuario Atávi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祖遗庙宇,ruby=Zǔyí Miàoy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先人,ruby=せんじん)]の[ruby(神殿,ruby=しんでん)]
파일:원신_고대 선조의 사당.png
고대 선조의 사당
Temple of Ancient Forebear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mple of Ancient Forebears
파일:스페인 국기.svg El templo de los ancestros
파일:중국 국기.svg [ruby(远古先民的庙宇,ruby=Yuǎngǔ Xiānmín de Miàoy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遠,ruby=とお)]き[ruby(先人,ruby=せんじん)]の[ruby(神殿,ruby=しんでん)]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남겨진 사당의 제단.png
남겨진 사당의 제단
}}} }}} ||
대지가 씨앗을 거부하는 시대. 꽃은 시들고 아무도 대지로부터 배를 채울 음식을 구할 수 없던 그때, 바로 이곳에서 옛 선조가 밤의 신에게 계시를 청하기 시작했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먼 옛날 대지가 오롯이 인간의 것이 아니었던 시절, 원시 원소의 힘은 토양의 양분을 앗아갔다.
나타의 선조는 이곳에서 그들의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모든 것을 바꿀 계시를 내려달라고 빌었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나무살이 부족들이 수호해왔던 유적으로 여행자가 당도하기 전에는 봉인되어 있어 금지 구역이자 성지로 지정됐었다. 유적 지에는 제단이 있는데 밤의 신을 모시는 제단으로 고대에는 이런 도구를 통해 밤의 신의 나라와 접촉했었는데 오늘날에는 부족과 밤의 신의 나라가 안정적인 연결을 맺어 더 이상 매개체가 필요하지 않아 나무살이 측에서 보호하고 있다.

3.4. 색바위 정상

파일:원신_색바위 정상.png
색바위 정상
Teticpac Peak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ticpac Peak
파일:스페인 국기.svg Cima Teticpac
파일:중국 국기.svg [ruby(彩石顶,ruby=Cǎishí Dǐ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彩晶,ruby=さいしょう)]の[ruby(頂,ruby=いただき)]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그림 속에 펼쳐진 세상.png
그림이 그려진 벽화로 탄생한 세계일까? 아니면 의도를 가진 붓끝에 가려진 세계일까?
그림 속에 펼쳐진 세상
Where the Painted Realm Unfold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Where the Painted Realm Unfolds
파일:스페인 국기.svg El mundo de las pintur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画境开辟之所,ruby=Huàjìng Kāipì zhī Suǒ)]
파일:일본 국기.svg ラクガキで[ruby(拓,ruby=ひら)]かれた[ruby(地,ruby=ち)]
}}} }}} ||

영어/유럽판 번역명인 테틱팍(Teticpac)나와틀어의 테틀(tetl, 큰 바위)과 이크팍(-icpac, ~위 건물)을 합친 말이다.

5.0 버전의 나타 전 지역을 돌아다니다보면 그라피티가 그려진 돌 파편을 총 6개까지 얻을 수 있는데 전부 얻으면 돌 파편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걸 가지고 워프 포인트 바로 오른쪽에 가면 파편을 놓을 수 있는데 놓으면 벽이 사라져 매니투들이 있는 비밀 장소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3.5. 열소 채굴 연구소

파일:원신_열소 채굴 연구소.png
열소 채굴 연구소
Phlogiston Extraction Research Center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Phlogiston Extraction Research Center
파일:스페인 국기.svg Laboratorio de Extracción de Flogist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燃素开采研究所,ruby=Ránsù Kāicǎi Yánjiūsuǒ)]
파일:일본 국기.svg [ruby(燃素採掘研究所,ruby=ねんそさいくつけんきゅうじょ)]
웅크린 석산의 동북쪽에 위치한 협곡 깊숙이 위치한 우인단 주둔 연구소로, 우인단 소굴이라는 걸 대놓고 드러내듯 협곡 주변에 경비를 서고 있는 우인단 적들이 즐비해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용들이 우리에 갇혀있으며 몇몇 용들은 힘을 잃고 쓰러져있다. 들어가면서 열쇠를 주워 우리에 갇힌 용들을 풀어줄 수 있으며 더욱 깊숙이 들어가면 맵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워프 포인트를 해금할 수 있다. 불의 신의 눈동자도 이곳에 3개 있다.

퍼즐을 풀어 장치를 정지시키면 우인단원들이 몰려오고, 풀어준 용들과 함께 이들을 쓰러트리면 「정의로운 반항」 업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연구소 내 주둔 일지 [ 펼치기 · 접기 ]
>(이곳에 주둔한 병사의 일지인 것 같다)

나는 정말 이해가 안 된다. 왜 나타의 용을 잡으려고 이런 수고를 해야 하는 걸까…
열소, 특수 체질, 고체, 액체? 노모코노프 님은 이것들에 대해 잘 아는 것 같다.
듣자 하니 우인단에 입단하기 전에는 기술자였다고 한다.
그는 매번 설명했지만, 내 머리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휴,
스네즈나야에서 보낸 「불의 물」이나 확인해 봐야겠다.

열소 연구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분은 우리에게 알려주시지 않았다.
음… 며칠 전에 그분을 따라 온 나타 사람이 좀 수상하긴 했지만, 그분의 판단을 믿고 신경 쓰지 않기로 했다…
「불의 물」이나 마시고 자자!

「다음엔 꼭 주의해야 해. 우리에 갇히지 말고」
젠장, 바실리의 그 득의양양한 모습을 다른 녀석들에게 보여주고 싶군.
그 녀석은 평소엔 제법 마음에 드는데, 일할 때는 너무 엄격하고 진지해진다니까,
시시하기는!
그리고 오늘은 마실 「불의 물」이 없네. 망할 바실리 녀석, 내가 몰래 숨겨둔 걸 압수해 가다니.

히든 워프 포인트가 있는 만큼 카피타노에 대한 떡밥이 꽤 있다, 장치를 정지시키기 전 용에게 빙의해 우리에 갇힌 용에게 말을 걸면 "검은 사람, 털이 까만색, 더워 더워"라고 하며, 나타 지방 전설이기도 한 이색 삼연성의 노모코모프를 언급한 주둔 일지에 "그 분을 따라 온 나타 사람"이 언급되는데 여기서 언급되는 나타 사람이 올로룬으로 추정된다.

3.6. 오래된 발굴처

파일:원신_오래된 발굴처.png
오래된 발굴처

숨겨진 동굴로 이곳을 쭉 내려가다보면 아틀라틀의 가호에게 도전할 수 있는 흑요석 토템이 있다.

4. 샘솟는 땅

파일:원신_샘솟는 땅.png
샘솟는 땅
Toyac Spring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oyac Springs
파일:스페인 국기.svg Manantiales Toyac
파일:중국 국기.svg [ruby(涌流地, ruby=Yǒngliú Dì)]
파일:일본 국기.svg トヤック[ruby(源泉地,ruby=げんせんち)]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토약(Toyac)강에 있는이라는 뜻을 가진 나와틀어 단어인 아토약(Atoyac)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4.1. 「샘물 무리」

「샘물 무리」
People of the Spring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People of the Springs
파일:스페인 국기.svg Pueblo de los Manantial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流泉之众,ruby=Liúquán zhī Zhò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流泉,ruby=りゅうせん)]の[ruby(衆,ruby=しゅう)]
파일:원신_흐르는 물과 온천의 고장.png
흐르는 물과 온천의 고장
Home of Hot Springs and Flowing Water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Home of Hot Springs and Flowing Waters
파일:스페인 국기.svg La tierra de los arroyos y las aguas termal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流水与温泉之乡,ruby=Liúshuǐ yǔ Wēnquán zhī Xiā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流水,ruby=りゅうすい)]と[ruby(温泉,ruby=おんせん)]の[ruby(郷,ruby=さと)]
어룡과 함께 생활하는 부족. 온천과 평화로운 음악으로 유명한 「샘물 무리」 부족은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메즈틀리의 본거지. 건물 모티브는 호주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로 해변가에 즐비하게 늘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타 최고의 휴양지라는 명성에 맞게 음악도 바캉스 느낌이 물씬 풍기며,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도 눈에 띈다. 그 중엔 무려 멜뤼진도 있을 정도.

이나즈마성에 있는 아이사 대중탕은 사장인 아이카와 스스무가 과거 나타를 여행할 때 화산 온천을 체험한 후에 이나즈마에 돌아와 개업하면서 자리잡은 건데 샘물 무리에 있는 온천이 바로 이나즈마 온천 문화에 크게 영향을 준 주인공이다. 나타 마신 임무 1막 후반부에서 말라니의 제안을 따라 온천욕을 하며 휴식을 취하는 장면이 나온다.

5.3 버전 업데이트로 선율이 흐르는 악보가 추가되면서 젬베 악기점에서 젬베우쿨렐레를 구입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5.4 버전 업데이트로 유메미즈키 미즈키가 출시되면서 말라니의 가게의 맞은 편에 미즈키의 가게인 「유메미즈키의 힐링 쉼터」가 추가 되었다. '민트 찹쌀떡'이라는 이름의 작은 바쿠 요괴가 카운터를 보고 있다. 미즈키가 나타로 유학오면서 말라니와 친구가 되어 가게를 여는데 도움을 줬고 곧 아이사 대중탕 나타 분점도 오픈할 예정이라고 한다.

4.2. 영혼 벽 동굴

파일:원신_영혼 벽 동굴.png
영혼 벽 동굴
Spiritwall Cav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piritwall Cave
파일:스페인 국기.svg Caverna de los murales espiritual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灵壁的洞窟,ruby=:íngbì de Dòngkū)]
파일:일본 국기.svg スピリット・ウォールの[ruby(洞窟,ruby=どうくつ)]

매니투와 관련된 퍼즐들로 가득한 장소로 퍼즐들을 풀면서 나아가면 총 7마리의 매니투들과 함께 끝에 거대한 그라피티가 덜 완성된 곳에 가는데 이곳에서 그라피티가 완성되면 진귀한 보물상자 2개와 화려한 보물상자 1개를 열 수 있다.

4.3. 용해 수역

파일:원신_용해 수역.png
용해 수역
Ameyalco Water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meyalco Waters
파일:스페인 국기.svg Delta Ameyal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溶水域,ruby=Róngshuǐyù)]
파일:일본 국기.svg アメヤルコの[ruby(水域,ruby=すいいき)]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지하의 화염 강.png
지하의 화염 강
Underground Lava River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Underground Lava River
파일:스페인 국기.svg Río de magma subterráneo
파일:중국 국기.svg [ruby(流炎地下河,ruby=Liúyán Dìxiàhé)]
파일:일본 국기.svg [ruby(地下,ruby=ちか)]マグマ[ruby(流,ruby=りゅう)]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신_들판 아래 동굴.png
들판 아래 동굴
}}} }}} ||
샘물과 앞바다가 이어져 형성된 수역.
이곳의 수온은 다른 지역의 앞바다보다 높으며, 이는 지하의 마그마 동굴과 관련이 있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아메얄코(Ameyalco)나와틀어봄에 혹은 자연스러운 봄이라는 뜻이다.

지상은 어룡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푸른 바다가 남쪽으로 펼쳐져 있고 주위 환경 또한 푸른 색으로 뒤덮여있지만 지하는 반대로 지하 열소 마그마로 가득한 곳이다. 5.2 버전 업데이트로 지하에서 비밀근원 기계·구축기를 토벌하거나 열소 위장 외뿔어용암 역류어를 낚을 수 있게 됐다.

4.3.1. 부유 정토계

부유 정토계
The Upper Sanctum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he Upper Sanctum
파일:스페인 국기.svg Mundo Superior
파일:중국 국기.svg [ruby(浮土静界,ruby=Fútǔ Jìngjiè)]
파일:일본 국기.svg [ruby(静寂,ruby=せいじゃく)]の[ruby(浮遊島,ruby=ふゆうとう)]
파일:원신_인적이 끊긴 정토.png
인적이 끊긴 정토
Plane of Pure Desolatio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Plane of Pure Desolation
파일:스페인 국기.svg Tierra de nadie
파일:중국 국기.svg [ruby(渺无人迹的净土,ruby=Miǎowúrénjī de Jìngt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寂寥,ruby=せきりょう)]の[ruby(浄土,ruby=じょうど)]
공중에 숨겨진 정토, 그 문은 굳게 닫혀있다. 과거 모든 것을 불쌍히 여기던 현자가 위대한 자에게 비술을 전수했다고 한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비법을 숨겨버렸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월드 임무 불에서 건진 꿈 진행 중 도달할 수 있는 곳으로 땅 자체가 열소의 힘으로 합쳐져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땅 자체가 왁샤클라훈우바칸이 만든 땅이라 금빛 문양을 여기에도 남겨놨다. 맨 끝에 도달하면 거대한 온천이 있는데 열소를 통해 모든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비약을 만들기 위해 치키야가 이곳에 머무르며 방법을 찾기로 한다.

원목 재료 중 복숭아야자나무 원목을 획득할 수 있는 곳인데 꽃봉오리가 맺힌 나무들이 복숭아야자나무이다.

5. 불들의 잔

파일:원신_불들의 잔.png
불들의 잔
Basin of Unnumbered Flam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Basin of Unnumbered Flames
파일:스페인 국기.svg Cuenca Multiflama
파일:중국 국기.svg [ruby(万火之瓯,ruby=Wànhuǒ zhī Ōu)]
파일:일본 국기.svg [ruby(万火,ruby=ばんか)]のほとぎ
성화 경기장의 소재지.
「용 유물 연구 협회」 회원들이 한때 지형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곳의 분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수년 전에 거대한 무언가가 추락해 형성된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그 거대한 것이 무엇인지는 아무도 정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만약 유구한 성화가 말을 할 수 있다면 정답을 알려주지 않았을까. 하지만 성화 비석의 뜨거운 불꽃은 타오르기만 할 뿐, 누구에게도 답해주지 않았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나타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곳, 성화 경기장이 이곳에 있으며 설명문에서 보듯이 자연적으로 생긴게 아니다. 지하에 있는 밤의 신의 나라에 한천의 못이 있는걸로 봐선 아마 한천의 못이 떨어지면서 생긴 분지인듯하다.

5.1. 밤혼 시련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밤혼 시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밤혼 시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밤혼 시련#밤혼 시련소|밤혼 시련소]][[밤혼 시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밤혼 시련소
Chamber of Night's Trial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hamber of Night's Trial
파일:스페인 국기.svg Cámara de la Prueba Noctámbula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夜魂试炼之所,ruby=Yèhún Shìliàn zhī Suǒ)]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夜魂,ruby=やこん)]の[ruby(試練場,ruby=しれんじょう)]

5.2. 성화 경기장(★)

성화 경기장
Stadium of the Sacred Flam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tadium of the Sacred Flame
파일:스페인 국기.svg Arena Sacrofueg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圣火竞技场,ruby=Shènghuǒ Jìngjì-chǎ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聖火競技場,ruby=せいかきょうぎじょう)]
파일:원신_승리와 명예를 추구하는 전장.png
승리와 명예를 추구하는 전장
Arena of Glory and Triumph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rena of Glory and Triumph
파일:스페인 국기.svg La arena de la victoria y el honor
파일:중국 국기.svg [ruby(追逐胜利与荣耀的战场,ruby=Zhuīzhú Shènglì yǔ Róngyào de Zhànchǎ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勝利,ruby=しょうり)]と[ruby(栄誉,ruby=えいよ)]を[ruby(求,ruby=もと)]める[ruby(戦場,ruby=せんじょう)]
이곳에서 명예와 승리를 위해 분쟁의 불을 밝혀라. 그리하면, 모든 영혼의 불꽃이 성화가 되어 영원히 타오를 테니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위치상으로나 설정상으로나 나타의 중심지. 부족별 평판 NPC를 제외하고 각 국가마다 있는 핵심 기능은 모두 이 곳에 있다.

5.2.1. 성화 경기장·추웬 시장

파일:원신_성화 경기장·추웬 시장.png
성화 경기장·추웬 시장
Stadium of the Sacred Flame: Chuwen Fair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tadium of the Sacred Flame: Chuwen Fair
파일:스페인 국기.svg Arena Sacrofuego - Mercado Chuwen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圣火竞技场,ruby=Shènghuǒ Jìngjì-chǎng)]・[ruby(楚汶市集,ruby=Chǔwèn Shìjí)]
파일:일본 국기.svg [ruby(聖火競技場,ruby=せいかきょうぎじょう)]・チュエンマーケット

추웬(Chuwen)마야 문명에서 쓰이던 마야력 중 종교력인 촐킨(Tzolk'in)에 적힌 날 중 12번째 날을 의미한다.[1] 연금술 합성대와 캐서린, 인장 교환 상점 역할을 하는 용 유물 연구 협회도 이곳에 있어서 자주 들르게 될 곳이다.

5.2.2. 성화 경기장·전사 휴식처

파일:원신_성화 경기장·전사 휴식처.png
성화 경기장·전사 휴식처
Stadium of the Sacred Flame: Warrior's Rest Area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tadium of the Sacred Flame: Warrior's Rest Area
파일:스페인 국기.svg Arena Sacrofuego - Zona de descans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圣火竞技场,ruby=Shènghuǒ Jìngjì-chǎng)]・[ruby(战士休憩处,ruby=Zhànshì Xiūqì-ch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聖火競技場,ruby=せいかきょうぎじょう)]・[ruby(戦士休憩処,ruby=せんしきゅうけいじょ)]

파일:원신_자칸 먹거리 노점.png
자칸 먹거리 노점
Zakan's Street Bite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Zakan's Street Bites
파일:스페인 국기.svg Cantina Zakán
파일:중국 국기.svg [ruby(扎坎小吃摊,ruby=Zaquin Xiǎochītān)]
파일:일본 국기.svg ザカンの[ruby(屋台,ruby=やたい)]

파일:원신_피로의 집.png
피로의 집
Weary In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Weary Inn
파일:스페인 국기.svg Posada de la Lasitud
파일:중국 국기.svg [ruby(倦意之屋,ruby=Juànyì zhī Wū)]
파일:일본 국기.svg [ruby(草臥,ruby=くたびれ)]の[ruby(家,ruby=いえ)]

추웬 시장 바로 아래층에 있는 구역으로 창카가 운영하는 자칸 먹거리 노점이 있어 옆에 있는 요리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옆에는 바로 피로의 집으로 갈 수 있는 입구도 있다.

피로의 집 OST인 Campa timoyetzticah, Cempaxochitl?[2]이 흥겹기로 유명하다.

5.2.3. 성화 경기장·팍스 신전

파일:원신_성화 경기장·팍스 신전.png
성화 경기장·팍스 신전
Stadium of the Sacred Flame: Temple of Pax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tadium of the Sacred Flame: Temple of Pax
파일:스페인 국기.svg Arena Sacrofuego - Templo de Pax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圣火竞技场,ruby=Shènghuǒ Jìngjì-chǎng)]・[ruby(帕克斯神庙,ruby=Pàkèsī Shénmiào)]
파일:일본 국기.svg [ruby(聖火競技場,ruby=せいかきょうぎじょう)]・パックス[ruby(神殿,ruby=しんでん)]

파일:원신_회의소.png
회의소
Speaker's Chamber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peaker's Chamber
파일:스페인 국기.svg Cámara Asambleari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话事处,ruby=Huàshìch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談議室,ruby=だんぎしつ)]」

파일:원신_불벼림 석륜.png
불벼림 석륜
Tablet of Tona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ablet of Tona
파일:스페인 국기.svg Rueda del Tona
파일:중국 국기.svg [ruby(煅石之轮,ruby=Duànshí zhī Lún)]
파일:일본 국기.svg [ruby(灼石,ruby=しゃくせき)]の[ruby(円盤,ruby=えんばん)]
팍스(Pax)마야 문명에서 쓰이던 마야력 중 태양력인 하아브(Haab)에 적힌 달 중 12번째 달을 의미한다.[3] 불벼림 석륜의 영어/유럽판 명칭으로 사용된 토나(Tona)나와틀어빛나는, 따뜻하게라는 뜻이다.

회의소는 마비카가 집무를 보는 곳인데 필요한 안건이 있으면 이곳에 여섯 부족의 대표들이 모여서 회의를 한다. 회의소에는 마비카의 사무실이 따로 있는데 원래는 그동안 모은 기념품들과 가족 사진이 있었지만 카치나를 구하기 위해 성화에 자신의 기념품을 전부 태워버려 방에 빈 공간이 남게 된다.

불벼림 석륜은 지역별로 있는 인장 공양 콘텐츠로 인장을 공양하기 위해 자주 방문하게 될 곳이다. 불벼림 석륜에는 케이타라는 NPC가 서있는데 불벼림 석륜이 나타의 각 부족과 성화가 연결됐다는 상징이며 모든 나타 사람들은 성화를 통해 다른 부족원과 용, 불의 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해준다. 그래서 석륜 앞에서 기도하면 성화의 가호를 받을 수 있다고.

5.3. 장작 언덕

파일:원신_장작 언덕.png
장작 언덕
Huitztli Hill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Huitztli Hill
파일:스페인 국기.svg Colina Huitztli
파일:중국 국기.svg [ruby(柴薪之丘,ruby=Cháixīn zhī Qiū)]
파일:일본 국기.svg ウィッツトリの[ruby(丘,ruby=おか)]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안개산 심장부.png
안개산 심장부
}}} }}} ||
현지 부족인들이 「연기 두렁」이라고도 부르는 언덕. 연기가 자주 피어오르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 툴란 대화산에서 흐르는 마그마가 이곳을 통과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고 한다.
이곳의 온도는 열소를 자주 접하는 부족 사람들에게도 매우 높은 편이라서, 무리를 떠나 홀로 지내는 이종 깃룡의 거처가 되었다
탐색 파견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위칠틀리(Huitztli)나와틀어가시 혹은 줄기를 뜻한다. 지하로 가면 황금불꽃의 깃룡 폭군을 토벌할 수 있다.

6. 거울벽산

파일:원신_거울벽산.png
거울벽산
Tezcatepetonco Rang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zcatepetonco Range
파일:스페인 국기.svg Meseta Tezcatepeton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镜璧山,ruby=Jìngbì-shān)]
파일:일본 국기.svg テスカテペトン[ruby(山脈,ruby=さんみゃく)]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거울벽산 앞에서.png
「위대한 제사장이 손에 쥔 거울을 이곳에 두자, 칠흑의 격류를 막아내는 산이 되었노라」
거울벽산 앞에서
Before the Tezcatepetonco Rang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Before the Tezcatepetonco Range
파일:스페인 국기.svg Ante la Meseta Tezcatepeton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在镜璧之山前,ruby=Zài Jìngbì zhī Shānqián)]
파일:일본 국기.svg テスカテペトン[ruby(山脈,ruby=さんみゃく)]の[ruby(前,ruby=さき)]で
}}} }}} ||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테츠카테페톤코(Tezcatepetonco)나와틀어산 위의 거울이라는 뜻이다.

6.1. 어스름 계곡

파일:원신_어스름 계곡.png
어스름 계곡
Xalac Val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Xalac Vale
파일:스페인 국기.svg Valle Xalac
파일:중국 국기.svg [ruby(漫曛谷,ruby=Mànxūngǔ)]
파일:일본 국기.svg シャラクの[ruby(谷,ruby=たに)]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은밀한 수행처.png
은밀한 수행처
}}} }}} ||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잘락(Xalac)나와틀어 중 잘리(xalli, 모래)와 아틀(atl, )을 합친 단어다.

연기 주인의 영토답게 곳곳에 올로룬시틀라리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그라피티가 그려져있다. 이걸 이용해 광물을 폭탄으로 터뜨리거나 열기구를 소환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5.3 버전 업데이트로 수수께끼의 영력 수행자를 토벌할 수 있게 됐다.

6.2. 「연기 주인」

「연기 주인」
Masters of the Night-Wind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asters of the Night-Wind
파일:스페인 국기.svg Augures Vientonocturn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烟谜主,ruby=Yīnmízh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謎煙,ruby=めいえん)]の[ruby(主,ruby=あるじ)]
파일:원신_연기와 수수께끼가 피어오르는 산기슭.png
연기와 수수께끼가 피어오르는 산기슭
The Foothills Where the Night-Wind and Riddles Grow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he Foothills Where the Night-Wind and Riddles Grow
파일:스페인 국기.svg Las montañas del viento nocturno y los enigm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迷烟与谜语生长的山麓,ruby=Míyān yǔ Míyǔ Shēngzhǎng de Shānl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迷煙,ruby=めいえん)]と[ruby(謎,ruby=なぞ)]の[ruby(育,ruby=そだ)]つ[ruby(麓,ruby=ふもと)]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거대한 영력 그라피티.png
이런 규모의 그라피티를 유지하려면 대를 거듭한 노력이 필요하다. 거대한 그라피티 아래에서 잠자던 누군가는 꿈속에서 거대한 새가 날개를 펴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거대한 영력 그라피티
Great Nightspirit Graffiti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Great Nightspirit Graffiti
파일:스페인 국기.svg Gran pintada mística
파일:중국 국기.svg [ruby(灵谜的大涂鸦,ruby=Língmí de Dà-túyā)]
파일:일본 국기.svg [ruby(謎霊,ruby=めいれい)]の[ruby(巨大,ruby=きょだい)]なラクガキ
}}} }}} ||
명룡과 함께 생활하는 「연기 주인」 부족의 마을. 여섯 부족 중에서 가장 신비로운 이 부족원들은 밤마다 자신의 용과 함께 형광빛 문양을 따라 고요한 밤의 나라의 메아리에 귀 기울인다고 한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믹틀란의 본거지. 건물 자체가 거대한 향로처럼 우뚝 솟아있으며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의 평판임무는 흑요석 제단에서 받을 수 있는데 지하에 있으며 거울을 통해서도 갈 수 있다. 본래 아무나 갈 수 없는 곳이라고.

거대한 영력 그라피티는 최초로 대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전망 포인트로 처음 상호작용하면 여행자가 앉은채로 그라피티에 깃든 의지와 대화를 하게 된다. 의지가 알려준 수수께끼 세 곳을 풀고 돌아오면 침식된 힘이 밤의 신의 나라로 돌아갔다며 보상으로 화려한 보물상자를 주고 화룡점정? 업적이 달성된다.

6.2.1. 수수께끼 땅의 제단

수수께끼 땅의 제단
Sacrificial Altar of Enigmatic Land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acrificial Altar of Enigmatic Land
파일:스페인 국기.svg Altar Terramísti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谜土祭祀场,ruby=Mítǔ Jìsì-chǎng)]
파일:일본 국기.svg [ruby(謎土,ruby=めいど)]の[ruby(祭祀場,ruby=さいしじょう)]
파일:원신_길 잃은 밤빛의 제단.png
길 잃은 밤빛의 제단
Ceremonial Site Lost in Night’s Dim Light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eremonial Site Lost in Night’s Dim Light
파일:스페인 국기.svg Altar bajo la tenue luz de la lun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迷途夜色的祭祀所,ruby=Mítú Yè Sè de Jìsì-suǒ)]
파일:일본 국기.svg [ruby(迷,ruby=まよ)]える[ruby(夜,ruby=よる)]の[ruby(祭祀場,ruby=さいしじょう)]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직조소.png
「직조소」
"Chamber of Weaving"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hamber of Weaving"
파일:스페인 국기.svg Cámara del Telar
파일:중국 국기.svg 「[ruby(编织处,ruby=Biānzhī-chǔ)]」
파일:일본 국기.svg 「[ruby(織,ruby=お)]りの[ruby(間,ruby=ま)]」
}}} }}} ||
시험을 통해 「영력 교감」 능력을 지닌 것으로 판정된 「연기 주인」 부족원은 어릴 때부터 이곳에서 수행을 쌓으며 밤혼의 말을 정확히 해독하는 방법을 배워 나간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연기 주인의 흑요석 제단. 거울이나 워프 포인트 기준 12시 방향 지상층에 있는 동굴 입구를 통해 진입할 수 있다. 주변에는 명룡이 명상하거나 제사장을 포함한 부족민들이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3. 열풍 시험장

파일:원신_열풍 시험장.png
열풍 시험장
Scorchwind Trial Ground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corchwind Trial Grounds
파일:스페인 국기.svg Zona de Pruebas Vientopíri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焚风试炼处,ruby=Fénfēng Shìliàn-ch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風炎,ruby=ふうえん)]の[ruby(試練場,ruby=しれんじょう)]

열풍 시험장 근처의 특정 필드는 드래곤 스파인이나 이나즈마의 무상도의 협곡과 유사한 특수 구역인 '기체 열소 구역'이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윈드 필드도 일반적인 윈드 필드와 달리 열풍으로 되어 있으며, 깃룡에 빙의한 상태나 꽃깃회 소속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닌 경우 필드에 진입하자마자 지속적으로 HP가 감소하는데[4], 감소 속도가 빠른데다 한번에 감소되는 양도 상당해서 HP가 높은 캐릭터라도 멋모르고 진입했다가 순식간에 비명횡사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6.4. 표류깃 해만

표류깃 해만
Tecoloapan Ba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ecoloapan Bay
파일:스페인 국기.svg Bahía Tecoloapán
파일:중국 국기.svg [ruby(浮羽之湾,ruby=Fúyǔ zhī Wān)]
파일:일본 국기.svg テコロアパン[ruby(湾,ruby=わん)]
파일:원신_잃어버린 제단.png
잃어버린 제단
Lost Ceremonial Sit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Lost Ceremonial Site
파일:스페인 국기.svg Altar Olvidad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失落祭祀所,ruby=Shīluò Jìsì-suǒ)]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失,ruby=うしな)]われた[ruby(祭祀場,ruby=さいしじょう)]
한때 안개로 뒤덮인 이 섬은 원래 우뚝 솟은 제단이었다. 하지만 사람들을 현혹하는 악념을 봉인하기 위해 결국 침몰시킬 수밖에 없었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테콜로아판(Tecoloapan)나와틀어 중 테콜로틀(tecolotl, 부엉이)과 아틀(atl, )을 합친 단어이다.

처음에는 맵상에 안개로 덮여있다가 월드 임무 '표류깃 해안의 미스터리'를 완료하면 안개가 걷힌다.

7. 깃가지 절벽

파일:원신_깃가지 절벽.png
깃가지 절벽
Quahuacan Cli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Quahuacan Cliff
파일:스페인 국기.svg Riscal Quahuacán
파일:중국 국기.svg [ruby(翘枝崖,ruby=Qiáozhīyá)]
파일:일본 국기.svg クァワカン[ruby(断崖,ruby=だんがい)]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쿠아우아칸(Quahuacan)나와틀어 단어 중 독수리를 뜻하는 쿠아위틀(cuahuitl)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7.1. 「꽃깃회」

「꽃깃회」
Flower-Feather Cla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Flower-Feather Clan
파일:스페인 국기.svg Tribu Plumaflor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花羽会,ruby=Huāyǔhuì)]
파일:일본 국기.svg [ruby(花翼,ruby=かよく)]の[ruby(集,ruby=つどい)]
파일:원신_꽃과 깃이 엮이는 곳.png
꽃과 깃이 엮이는 곳
Where Feathers Are Intertwined Like Flower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Where Feathers Are Intertwined Like Flowers
파일:스페인 국기.svg Donde las plumas brotan como flor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翎羽如花相结之处,ruby=Língyǔ Rúhuā Xiāngjié zhī Ch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花,ruby=はな)]と[ruby(翼,ruby=つばさ)]が[ruby(結,ruby=むす)]ばれた[ruby(場所,ruby=ばしょ)]
깃룡과 함께 생활하는 「꽃깃회」 부족의 마을. 부족원들은 매일 깃룡과 함께 공중에서 그들의 영지를 순찰한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틀라로칸의 본거지. 이쪽도 절벽 위에 세워져 있는데 근처에 순찰용 열기구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북쪽에는 오치카나타 유적이 바로 눈에 보여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꽃깃회에는 두 가지 챌린지가 있는데 하나는 화려하게 날아가는 깃룡 세 마리 중 가운데에 있던 깃룡이 누구인지 맞추는 도전, 또 하나는 열기구에 올라타 정해진 코스를 따라 풍선을 맞추는 도전이다. 36개의 풍선을 모두 맞추면 풍선 팡팡 업적을 달성할 수 있다.

7.2. 침식된 석실

파일:원신_침식된 석실.png
침식된 석실

이곳에서 그윽한 의태 식물을 토벌할 수 있다.

7.2.1. 형광풀 동굴

형광풀 동굴
Malinalco Grotto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alinalco Grotto
파일:스페인 국기.svg Caverna Malinal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荧草窟,ruby=Yíngcǎokū)]
파일:일본 국기.svg マリナルコ[ruby(洞窟,ruby=どうくつ)]
파일:원신_고요한 빛의 동굴.png
고요한 빛의 동굴
Cavern of Tranquil Light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avern of Tranquil Light
파일:스페인 국기.svg Caverna de la luz seren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谧光的洞窟,ruby=Mì Guāng de Dòngkū)]
파일:일본 국기.svg [ruby(光,ruby=ひかり)]の[ruby(洞窟,ruby=どうくつ)]
젯더미가 안개처럼 산기슭을 뒤덮어버린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연기 주인」의 제사장은 안개 속에서도 그라피티를 분별해 내는 비법을 연구했다고 전해진다. 이곳의 그라피티가 지닌 특별한 힘은 바로 거기에서 비롯됐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파일:원신_기록된 이야기.png
기록된 이야기
The Story Recorded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he Story Recorded
파일:스페인 국기.svg Una historia registrad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被记述的故事,ruby=Bèi Jjìshù de Gùshì)]
파일:일본 국기.svg [ruby(記,ruby=しる)]されし[ruby(物語,ruby=ものがたり)]
과거 영웅들의 이야기가 그라피티로 기록된 암벽. 이곳에 기록된 이야기는 정말로 과거에 있었던 역사일까, 아니면 다른 이야기의 그림자일까…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말리날코(Malinalco)멕시코의 멕시코주에 속한 익스타판 지역에서 주로 숭배되던 뱀, 전갈, 사막 벌레들의 여신 말리날코치틀(Malinalxochitl)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전망 포인트 '기록된 이야기'의 벽화는 동굴 안의 숨겨진 공간에 있으며, 연기 주인의 전승에 등장하는 '쿤투르'와 사악한 마법사 '루미'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8. 오치카나타

오치카나타
Ochkanatla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Ochkanatlan
파일:스페인 국기.svg Ochkanatlan
파일:중국 국기.svg [ruby(奥奇卡纳塔,ruby=Àoqíkǎnàta)]
파일:일본 국기.svg オシカ・ナタ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치카나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치카나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치카나타#|]][[오치카나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풍요의 들판

파일:원신_풍요의 들판.png
풍요의 들판
Atocpa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tocpan
파일:스페인 국기.svg Atocpan
파일:중국 국기.svg [ruby(安饶之野,ruby=Ānráo zhī Yě)]
파일:일본 국기.svg アトクパンの[ruby(大地,ruby=だいち)]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다른 주요 지점 보기
파일:원신_영원히 타오르는 신성한 산.png
이곳은 한때 모든 불꽃과 빛의 근원지였다. 고대 영웅은 피나는 노력 끝에, 흐르는 불꽃 속에서 세상을 밝히는 열기를 오늘날의 나타로 다시 가져왔다
영원히 타오르는 신성한 산
Sacred Mountain of the Undying Flam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acred Mountain of the Undying Flame
파일:스페인 국기.svg Montaña Sagrada del fuego eterno
파일:중국 국기.svg [ruby(永蕴常火的圣山, ruby=Yǒngyùnchánghuǒ de Shèngshān)]
파일:일본 국기.svg [ruby(永遠, ruby=えいえん)]に[ruby(燃, ruby=も)]え[ruby(続, ruby=つづ)]ける[ruby(聖山, ruby=せいざん)]
}}} }}} ||
톨란 대화산
Great Volcano of Tolla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Great Volcano of Tollan
파일:스페인 국기.svg Volcán Tollan
파일:중국 국기.svg [ruby(图兰大火山, ruby=Túlán Dà-huǒshān)]
파일:일본 국기.svg トゥラン[ruby(大火山, ruby=だいかざん)]
영어/유럽판과 일본어판의 명칭인 아톡판(Atocpan)나와틀어로 '두껍고 기름진 토양'이라는 뜻이다. 풍요의 들판에 있는 톨란 대화산의 톨란(Tōllān)은 대다수 메소아메리카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장소로 포폴 부에 따르면 일곱 개의 동굴이 있는 톨란에 최초로 창조된 인간들이 모여 그들의 신들로부터 언어를 부여받았다고 전해진다.

톨란 대화산은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중인 활화산이라 일정 주기마다 폭발하는데 현실 시간의 정각을 기준으로 15분 간격, 혹은 뿔룡 지방 전설인 산봉우리 근처로 가면 분출되며 180초 동안 지속된다. 지속되는 동안 배경음악도 화산 폭발 전용 배경음악으로 바뀌며 전투가 벌어져도 바뀌지 않는다. 다수의 적들은 화산 폭발 시 피하려고 대처하며, 페이몬이 친절하게 폭발할 때마다 알려주므로 미리 대처할 수도 있다.

그래서 풍요의 들판에는 분출암들이 땅 위에 놓여져있는데 화산 폭발 후 일부 바위들이 하늘에서 떨어진 흔적이라고 한다. 낙하 공격이나 얀사, 바레사, 뿔룡의 능력으로 이 분출암들을 파괴할 수 있으며 일부 분출암은 상자나 빛새김 각문, 열소 꿀벌레 등 다양한 사물들이 놓여져있는 경우가 많다. 내리막 길에는 바위들이 굴러 떨어질 때도 꽤 많아 항상 앞뒤를 살펴보면서 탐험하는 것이 좋다. 비옥한 터전 부족들은 이 화산 폭발에 익숙하지만 외지인들은 그렇지 않아서 낙석에 주의하라고 알려주기도 하는데 바레사의 말에 의하면 원래는 일부러 기다려도 못 보고 가는 모험가들도 많았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현 시점의 잦은 폭발은 심연 대침공 때 화산 정상에 심연 종양석을 뿌린 후폭풍인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화산의 이름은 란이지만 해당 화산이 언급되는 아이템인 통첩의 금 원반에서는 란, 란으로 표기가 다르게 되어있다.

9.1. 고대 산길

파일:원신_고대 산길.png
고대 산길
Ancient Mountain Path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ncient Mountain Path
파일:스페인 국기.svg Antigua Sedna de la Montaña
파일:중국 국기.svg [ruby(觐山古道,ruby=Jìnshān Gǔdào)]
파일:일본 국기.svg [ruby(謁山,ruby=えつさん)]の[ruby(古道,ruby=こどう)]
불이 흐르는 실험장으로 통하는 입구로 풍요의 들판의 15시 방향에 있는 동굴로 진입하면 갈 수 있다. 츄츄족 야영지 옆에 분출암 속에 파묻힌 비밀근원 용조각상을 볼 수 있는데 분출암들을 부수면 이 용조각상이 작동되어 고대 산길로 들어간다. 이 조각상을 쫓아가다보면 마치 보답해주듯 보물상자를 가져오는데 기믹들을 풀면 장치를 가져와 작동시켜달라는 듯 서서 기다린다. 이걸 작동시키면 열소 마그마에서 몇 바퀴 헤엄쳐서 액체 열소를 바위로 굳히고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 용조각상을 계속 따라가다보면 길을 뚫어주는데 이 용조각상이 원하는 것이 배리어 속에 있는 비밀근원 하인을 구하려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인을 구해주면 다시 용조각상이 여행자와 페이몬을 지상 밖으로 데려다주는데 페이몬이 "아, 덩치 넌 누군가의 명령을 받고 이곳을 지키고 있었던 거구나... 음... 네게 명령을 내린 녀석은 대체 언제 돌아올까"하고 안쓰럽게 본다.

한편, 여기서만 발견할 수 있는 기록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금빛 속에 남아있는 기록. 상당히 오래된 실험 보고서인 것 같다…)
……
150번째 실험. 「열소 상태 전환기 01호」로 실험장의 액체 열소를 고체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
변환된 고체로 열소 추출을 시도했으나, 그것은 고체 열소가 아닌 다른 종류의 암석이었다. 이는 「기체 성질 열소」와 암석이 결합된 것으로, 신성한 산 톨란의 분화구에서 자주 발견되던 물질이었다. 흥미롭긴 했지만, 지금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
……
이런 뜻밖의 전환이 발생한 원인을 밝히려면 01호의 매개변수를 전면 조사할 필요가 있다.
……
하지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하늘 밖에서 온 약탈자의 침입을 막으려면, 신성한 산 톨란에서 「열소 상태 전환」 장치로 더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고 방어 시설을 구축해야…
……
이 모든 건… 우리의 나라를 위해…
}}}
(금빛 속에 남아있는 기록. 이곳의 주인이 남긴 것 같다…)
……
전쟁이 시작됐다… 「열소 상태 전환기」의 연구는 끝났다. 이곳에서 머문 시간은 짧았지만, 그래도 꽤 나쁘지 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쿠쿨칸 님이 신성한 산 밖의 실험장에서 이런 연구를 진행하라고 명하신 것도 우리처럼 생각이 다른 자들의 입장을 지켜주기 위해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진정한 적 앞에서는 어떠한 파벌이든 편견을 내려놓고 힘을 합쳐야 한다… 쿠쿨칸 님과 심의회의 관계가 나아지길 진심으로 바라며…
……
시간이 촉박해서 대부분의 자료는 옮길 수 없을 것 같다. 실험 데이터를 가지고 먼저 신성한 성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지만… 괜찮다, 우린 반드시 승리할 것이니까. 그때 이 실험 자료들을 조금씩 신성한 톨란성으로 옮기면 된다.
……
「비밀근원 하인」과 「비밀근원 용조각상」, 음… 여기에 이곳을 주기적으로 유지 보수해 줄 절차를 설정했다.
그럼 여긴 너희들에게 맡기마, 장치들아.
……
그것들에게는 「진정한」 감정 부품이 없을 텐데, 왜 아쉬워하는 것처럼 보이는 걸까? 하하, 내 감정을 무생물에게 투영하는 걸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로서 실격이군….
하지만 괜찮다… 괜찮다, 얘들아. 이 전쟁에서 승리하기만 하면…
금방, 금방 돌아올 테니까…
}}}

9.2. 고대 유물 발굴지

파일:원신_고대 유물 발굴지.png
고대 유물 발굴지
Remnants of Tetenanco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Remnants of Tetenanco
파일:스페인 국기.svg Vestigios de Tetenanco
파일:중국 국기.svg [ruby(孑遗的留迹,ruby=Jiéyí de Liújī)]
파일:일본 국기.svg レムナント[ruby(遺跡,ruby=いせき)]
영어/유럽판의 번역명인 테테난코(Tetenanco)나와틀어 단어 중 테테틀(tetetl, 돌)테나밀트(tenamilt, 벽 또는 흉벽)의 합성어이다.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빛새김 각문 4개가 흩어진 걸 볼 수 있는데 분출암을 전부 파괴하면서 각문들을 제자리로 돌려놓으면 담당 구역을 순찰하던 경비인 음포소가 달려와 이걸 어떻게 풀었냐며 한가지 사실을 알려준다. 본래 이곳은 「위성 도시」의 중요한 통로이자 고대 용족의 초소이며 발굴지는 현대 사람들이 부르는 명칭일 뿐이라고 한다. 스발란케와 슈코아틀의 결전 도중 무너져 본래의 모습은 흔적으로나마 볼 수 밖에 없고, 오늘날의 용 유물 연구 협회 사람들은 유적 뒤쪽에 있는 성이 화산 속에 세워진 고대 용의 도시를 수호하기 위해 만들어졌을거라 추측중이라는 것도 말해준다.

9.3. 「비옥한 터전」

비옥한 터전
Collective of Plent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ollective of Plenty
파일:스페인 국기.svg Comunidad de la Feracidad
파일:중국 국기.svg [ruby(陆之邦, ruby=Lù zhī Bāng )]
파일:일본 국기.svg [ruby(豊穣, ruby=ほうじょう)]の[ruby(邦, ruby=くに)]
파일:원신_풍요롭고 비옥한 들판.png
풍요롭고 비옥한 들판
A Bountiful Land of Farming and Fecundity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 Bountiful Land of Farming and Fecundity
파일:스페인 국기.svg Una tierra de abundancia y fertilidad
파일:중국 국기.svg [ruby(丰藏与耕种的沃野, ruby=Fēngcáng Yǔ Gēngzhòng de Wòyě)]
파일:일본 국기.svg [ruby(豊, ruby=ゆた)]かなる[ruby(耕地, ruby=こうち)]
뿔룡과 함께 생활하는 「비옥한 터전」 부족의 마을. 화산재 덕분에 땅이 비옥하다. 수확한 황금빛 곡식이 바람에 흔들리는 풍경은 이곳의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테테오칸의 본거지. 톨란 대화산 부근에 위치한 곳으로써 도착하면 보이는 거대한 소머리 모양의 건축물은 「울림 무대」라 불리는 경기장이다. 화산 근처에 위치한지라 땅이 비옥해 어떤 작물이든 잘 자라나 비옥한 터전의 문화도 화산 덕분에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고[5] 부족들도 스스로를 「톨란의 파수꾼」이라 부른다. 유명한 장소로는 얀사의 트레이닝 교실과 바레사의 과수원이 있다.

울림 무대에 올라가면 배경음악이 반복적인 북소리 뿐이다. 경기장 뒤쪽에 가면 상호작용 가능한 나팔 4개가 있는데 경기장 바깥을 기준으로 8시, 2시, 4시, 10시 방향 순서로 연주하면 배경음악에 나팔 소리가 추가되면서 「영웅의 증표」 업적이 달성된다.[6]

9.3.1. 화산 터널

파일:원신_화산 터널.png
화산 터널
Tunnel Through the Mountain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unnel Through the Mountain
파일:스페인 국기.svg Túnel de la Montaña
파일:중국 국기.svg [ruby(穿越山侧的通路,ruby=Chuānyuè Shāncè de Tōngl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山抜,ruby=やまぬ)]けの[ruby(路,ruby=みち)]
고대 유물 발굴지와 비옥한 터전 사이를 잇는 터널이다. 분출암으로 막혀있는데 한 번 뚫어놓으면 북쪽과 남쪽을 편안하게 오갈 수 있으니 바로 뚫어두자.

안쪽에는 비늘 결정석들과 고대 결정 거북이 있는데 이 고대 결정 거북은 인기척을 감지하면 제자리에서 회전하기 시작하며 회전할때마다 플레이어의 열소를 충전시켜준다. 대신 가까이가면 공격받으니 접근은 금물이다.

9.4. 용암의 균열

파일:원신_용암의 균열.png
용암의 균열
용암룡 형상이 자리잡은 곳으로 풍요의 들판의 2시 방향 끝너머에 있다.

9.5. 화산 유적지

파일:원신_화산 유적지.png
화산 유적지
Fallingstar Fields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Fallingstar Fields
파일:스페인 국기.svg Campos Despeñaestrell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石火坠陨处,ruby=Shíhuǒzhuì Yǔnchù)]
파일:일본 국기.svg [ruby(星岩,ruby=せいがん)]の[ruby(墜落地,ruby=ついらくち)]
하늘불 왕관으로 향하는 흐르는 영혼길이 있는 곳. 근처에 도착하면 키모시와 나자야가 마물에 둘러싸인 걸 볼 수 있는데 진입하면 바로 월드 임무 「황폐한 성의 기록자」가 활성화된다. 키모시의 설명에 따르면 톨란 대화산 부근에 떠다니는 부유석들은 화산 폭발 때 발생한 열소 기체 때문에 떠다니게 된 것이며 그것이 바로 하늘불 왕관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9.6. 「하늘불 왕관」

하늘불 왕관
Skyfire Circlet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kyfire Circlet
파일:스페인 국기.svg Corona Fuegocelest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天火之冠, ruby=Tiānhuǒ zhī Guān)]」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天焔, ruby=てんえん)]の[ruby(冠, ruby=かん)]」
파일:원신_떠다니는 하늘불 왕관.png
떠다니는 하늘불 왕관
Floating Rock Skyfire Circlet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Floating Rock Skyfire Circlet
파일:스페인 국기.svg Corona Fuegoceleste de rocas flotantes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天火浮岩之冠, ruby=Tiānhuǒ Fúyán zhī Guān)]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天焔浮岩, ruby=てんえんふがん)]の[ruby(冠, ruby=かん)]
화산에서 분출된 기체 열소가 풍부한 암석들이 오랜 세월 쌓여 왕관 모양을 이루었다. 이곳이 「부유 정토계」처럼 불을 훔친 현자의 작품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근거 없는 억측에 불과하다
전망 포인트 설명문 中
「나나우아친의 낙하대」로도 불리는 거대한 건축물. 나나우아친(Nanahuatzin)아즈텍 신화에서 태양이 지구를 계속해서 비출 수 있게 스스로를 불길 속으로 빠뜨려 희생한 신이다. 이후 태양신 토나티우로써 부활했는데 원신에서 토나티우는 바로 전 버전에서 등장한 하늘뱀선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였다. 시스템상으로는 태고의 신성한 산에 속하지 않는 지역이다.

도착해보면 면적 자체는 굉장히 좁은 곳이지만 대신 떠다니는 부유석들이 넓게 퍼져있다. 깃룡들이 이곳에 적응해 둥지를 틀고있어 차스카가 없다면 깃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탐사에 큰 도움이 된다. 여행자와 페이몬, 꼬마 용은 중심에 있는 곳에 뛰어들음으로써 톨란 대화산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10. 태고의 신성한 산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6c6c,#010101><tablebgcolor=#ff6c6c,#010101> 파일:태고의 신성한 산 인장.webp
#!wiki style="margin: -5px -10px;
{{{#ffffff {{{+1 '''태고의 신성한 산''' }}}[br]{{{#fff Ancient Sacred Mountain}}} }}} 
}}}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Ancient Sacred Mountain
파일:스페인 국기.svg Montaña Sagrada Ancestral
파일:중국 국기.svg [ruby(远古圣山,ruby=Yuǎngǔ Shèngshān)]
파일:일본 국기.svg [ruby(古,ruby=いにしえ)]の[ruby(聖山,ruby=せいざん)]
부족 사람들이 아직 두루마리에 과거를 기록하는 방법을 모르던 시절, 오만한 고대 귀족들은 웅장하고 신성한 수도 위에서 작고 나약한 노예들이 「나타란티아」라고 부르는 나라를 내려다보았다. 그러나 광활하고 강대한 제국은 전쟁 속에서 몰락했고, 한때 신성했던 수도는 봉쇄된 묘지로 전락했다
태고의 신성한 산 맵핀 설명문 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고의 신성한 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고의 신성한 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고의 신성한 산#|]][[태고의 신성한 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미구현 지역

11.1. 밤의 신의 나라

파일:원신_밤의 신의 나라.png
밤의 신의 나라
Night Kingdom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ight Kingdom
파일:스페인 국기.svg Reino de la Noch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夜神之国,ruby=Yèshén Zhī Guó)]
파일:일본 국기.svg [ruby(夜神,ruby=やがみ)]の[ruby(国,ruby=くに)]
마신임무 5장 2막에서 카치나를 구출하는 도중에 나온 나타 지하 지역이며 맵에 있는 검은 비석을 통해 갈수는 있다. 심연에 많이 오염되어 있었으며[7], 마신임무 스토리가 어떻게 흘러가느냐에 따라 상시 지역으로 출시될 가능성도 있다. 나타의 한천의 못이 이 지역에 위치해있다. 나타 지역전설 포지션인 6시련 텔포를 타서 클리어한 후 밤의 신의 땅 하늘을 바라보면 한천의 못이 떠있는 것을 볼수 있다.

나타에서 밤의 나라는 약해진 지맥을 대체한다. 전쟁중 떨어진 최초 신의 권속이 나타에 녹아 밤의 신이 되었고 밤의 신의 부름을 들은 이들 중 불의 현자의 열소 문명 교육을 받은 야만인 용사 차악이 부름에 응해 처음 대영혼이 되어 자신의 동료들과 함께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불의 현자는 자신의 대적자가 만든 밤의 신의 나라를 그대로 존치했다.

밤의 신의 나라는 나타 지역에서 선령을 유일하게 볼 수 있는 땅이다. 메인 퀘스트중 밤의 신의 나라에서 선령이 한번 등장해 막힌 길을 열고 여행자 일행을 공중으로 날려보낸다. 다른 지역과 다르게 나타 지면에는 퍼즐을 대신하는 덩어리가 있더라도 등장하는 선령이 없다.

밤의 신의 말로는 나타에 남아있는 천사가 별로 없었고 남아있는 천사도 자신에게 모여 나타 지맥을 재구축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선령이 밤의 신의 영향권에서만 조금 보이는 것. 오늘날 인간이 굳건하게 살아가며 신앙을 보내는 것에 만족한다고.

11.2. 잿더미 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잿더미 바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잿더미 바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잿더미 바다#|]][[잿더미 바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잿더미 바다
Mare Jivari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are Jivari
파일:스페인 국기.svg Mare Jivari
파일:중국 국기.svg [ruby(烬寂海, ruby=Jìnjì-hǎi)]
파일:일본 국기.svg [ruby(燼寂海, ruby=じんじゃくかい)]

11.3. 열화의 나라

열화의 나라
The Nation of Flame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he Nation of Flame
파일:스페인 국기.svg Reino de las Llamas
파일:중국 국기.svg [ruby(烈焰之国, ruby=Lièyàn zhī Guó)]
파일:일본 국기.svg [ruby(烈炎, ruby=れつえん)]の[ruby(国, ruby=くに)]
쿠훌 아쥬가 다스렸다고 언급되는 나라.
[스포일러]
그 정체는 다름아닌 과거 오치카나타가 세워지기 전 존재했던 나타란티아로 아쥬와 비슷한 존재인 이쉬·우슐·티즈입볼론·추·렐이 월드 임무 중 등장한다.



[1] 촐킨에는 1부터 13까지의 숫자와 20개의 신 이름을 사용했는데, 이믹스-이크-아크발-칸-치칸-키미-마니크-라마트-물루크-오크-추웬-에브-벤-익스-멘-킵-카반-에츠납-카와크-아하우 순으로 사용했다.[2] 천수국이여, 우린 어디에 있는가요?[3] 하아브에는 18 묶음으로 360일을 이뤘는데 18개의 달 이름을 포프-우오-시프-소츠-세크-슐-약스킨-몰-캔-약스-사크-케흐-마크-칸킨-무완-팍스-카얍-쿰쿠 순으로 사용했다.[4] 기체 열소의 고열로 화상을 입는다는 설정으로, 깃룡과 일부 꽃깃회 부족원들은 화상을 입지 않고 기체 열소를 다루는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인게임내 캐릭터중에선 차스카와 마비카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5] 실제로 화산재에 포함된 풍부한 무기 염류 덕분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풍화 작용이 일어나 지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화산 폭발이 농업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6] 한국어 번역판과 영어 번역판의 업적 이름은 몬스터 헌터 시리즈영웅의 증표(Proof of a Hero)가 맞지만 중국어 원문과 일본어 번역판의 업적 이름은 용자의 증표(勇者之证 / 勇者の証)이다.[7] 지형 묘사가 층암거연의 무명의 유적 주변과 흡사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