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8:21:20

네마냐 막시모비치

네마냐 막시모비치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헤타페 CF 엠블럼.svg
베스트팀
}}} ||
파일:maksi_Panathinaikos_Official.webp
파나티나이코스 FC No. -
네마냐 막시모비치
Немања Максимовић | Nemanja Maksimović
<colbgcolor=#094117><colcolor=#ffffff> 출생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바냐 코빌라챠
국적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4cm, 체중 75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2007~2013)
NK 돔잘레 (2013~2015)
소속 클럽 FC 아스타나 (2015~2017)
발렌시아 CF (2017~2018)
헤타페 CF (2018~2024)
파나티나이코스 FC (2024~ )
국가대표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9경기 (세르비아 / 2016~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 국적의 파나티나이코스 FC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U-19 팀까지 활약한 뒤 계약 만료로 방출되었다.

그 후 2013 UEFA U-19 챔피언십에서의 활약상을 지켜본 NK 돔잘레에 입단했다. 그리고 10월 13일, 그는 돔잘레 소속으로 프로 데뷔에 성공했다. 그리고 두 시즌간 슬로베니아 프르바리가에서 활약하며 30경기에 나서 4골을 기록했다.

2.2. FC 아스타나

2015년 2월 7일, 카자흐스탄의 FC 아스타나와 2년 반 계약을 채결했다.

아스타나에서 두 시즌 동안 리그와 유럽 대항전 무대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2015-16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에 큰 역할을 했고, 유벤투스 FC, 발렌시아 CF 등 많은 유럽 팀들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2.3. 발렌시아 CF

2017년 7월 2일, 그는 스페인의 발렌시아와 2022년까지 계약을 맺고 팀에 입단했다.

8월 18일, 홈에서 치러진 UD 라스 팔마스전에서 후반 늦은 시간 카를로스 솔레르를 대신하여 교체 출전으로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1:0 승리.

많은 기대를 받고 합류했지만, 주전 경쟁에서 밀리면서 경기 출전시간이 600분이 채 되지 않았고, 컵 대회용으로 전락하면서 쓰디 쓴 실패를 맛봤다.

2.4. 헤타페 CF

2018년 7월 16일, 1년만에 같은 리그 팀인 헤타페로 이적했다. 발렌시아는 그를 판매하면서 바이백 조항을 걸었다고 한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뛰며 헤타페의 약진을 이끌었고, 시즌을 마치고 발렌시아가 바이백 조항을 발동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물론 선수는 잔류를 원한다고.

결국 헤타페 측에서 바이백을 삭제하는 대신 500만 유로를 지불하기로 발렌시아와 합의를 보면서 2024년까지 잔류하게 되었다.

2.5. 파나티나이코스 FC

2024년 3월 21일, 여름에 헤타페와의 계약이 만료되면 파나티나이코스 FC로 이적한다고 발표하였다. 계약 기간은 3년.

3. 국가대표 경력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등과 함께 2013 UEFA U-19 챔피언십과 2015 FIFA U-20 월드컵 우승 멤버였다. 그는 U-20 월드컵 결승전에서 브라질을 상대로 연장 후반 종료 2분을 앞두고 결승골을 터트리며 우승의 일등공신은 물론이고, 세르비아 독립 이후 최초로 FIFA 주관대회 우승이라는 역사를 쓰는데 기여했다.

2016년 3월 23일, 폴란드를 상대로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2018년 5월에 발표된 2018 FIFA 월드컵 예비명단에 포함됐으나, 최종명단에는 탈락했다.

월드컵 이후에는 계속해서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로테이션 멤버로 활약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테크닉을 바탕으로 한 볼키핑과 양질의 롱패스를 구사한다. 공수밸런스가 뛰어나서 팀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중원의 사령관 역할을 한다. 1차 볼 경합 상황에서 적극적인 수비를 구사한다. 빠른 발과 기동력으로 헤타페가 에너지 넘치는 팀으로 보이는데 큰 기여를 한다. 가끔 터지는 중거리포도 예술.

다만, 숏패스를 통한 연계나 오프더볼 움직임 등 자신이 후방 빌드업을 시작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패스를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

5. 여담

5.1. 대회 기록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2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Predrag Rajković)
1995년 10월 31일 ([age(1995-10-31)]세) 28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1 조르제 페트로비치
(Djordje Petrović)
1999년 10월 8일 ([age(1999-10-08)]세) 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Vanja Milinković-Savić)
1997년 2월 20일 ([age(1997-02-20)]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DF - 마티야 나스타시치
(Matija Nastasić)
1993년 3월 28일 ([age(1993-03-28)]세) 34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 니콜라 밀렌코비치
(Nikola Milenković)
1997년 10월 12일 ([age(1997-10-12)]세) 33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3 스테판 미트로비치
(Stefan Mitrović)
1990년 5월 22일 ([age(1990-05-22)]세) 35 0 파일:스페인 국기.svg 헤타페 CF
- 필립 믈라데노비치
(Filip Mladenović)
1991년 8월 15일 ([age(1991-08-15)]세) 18 1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2001년 5월 24일 ([age(2001-05-24)]세) 17 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밀로시 벨코비치
(Miloš Veljković)
1995년 9월 26일 ([age(1995-09-26)]세) 17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
15 스르잔 바비치
(Srđan Babić)
1995년 10월 31일 ([age(1996-04-22)]세) 2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마르코 페트코비치
(Marko Petković)
1992년 9월 3일 ([age(1992-09-03)]세) 4 0 무적
- 알렉사 테르지치
(Aleksa Terzić)
1999년 8월 17일 ([age(1999-08-17)]세) 4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에르한 마쇼비치
(Erhan Mašović)
1998년 11월 22일 ([age(1998-11-22)]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보훔
- 스트라히냐 에라코비치
(Strahinja Eraković)
2001년 1월 22일 ([age(2001-01-22)]세) 0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MF - 두샨 타디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Dušan Tadić)
1988년 11월 20일 ([age(1988-11-20)]세) 84 1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8 네마냐 구델
(Nemanja Gudelj)
1991년 11월 16일 ([age(1991-11-16)]세) 49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
- 필립 코스티치
(Filip Kostić)
1992년 11월 1일 ([age(1992-11-01)]세) 45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네마냐 막시모비치
(Nemanja Maksimović)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40 0 파일:스페인 국기.svg 헤타페 CF
- 필립 주리치치
(Filip Đuričić)
1992년 1월 30일 ([age(1992-01-30)]세) 34 4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 네마냐 라도니치
(Nemanja Radonjić)
1996년 2월 15일 ([age(1996-02-15)]세) 31 4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Sergej Milinković-Savić)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30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사샤 루키치
(Saša Lukić)
1996년 8월 13일 ([age(1996-08-13)]세) 2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 안드리야 지브코비치
(Andrija Živković)
1996년 7월 11일 ([age(1996-07-11)]세) 23 0 파일:그리스 국기.svg PAOK FC
- 다르코 라조비치
(Darko Lazović)
1990년 9월 15일 ([age(1990-09-15)]세) 2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엘라스 베로나 FC
- 마르코 그루이치
(Marko Grujić)
1996년 4월 13일 ([age(1996-04-13)]세) 15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 라자르 사마르지치
(Lazar Samardzic)
2002년 2월 24일 ([age(2002-02-24)]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디네세 칼초
- 이반 일리치
(Ivan Ilić)
2001년 3월 17일 ([age(2001-03-17)]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FW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Aleksandar Mitrović)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71 4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1997년 12월 23일 ([age(1997-12-23)]세) 22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 두샨 블라호비치
(Dušan Vlahović)
2000년 1월 28일 ([age(2000-01-28)]세) 14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일정 카타르 월드컵 2022년 11월 25일(금) 원정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22년 11월 28일(월) 원정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2023년 12월 3일(토) 원정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5월 22일
}}}}}}}}}}}} ||

1 라이코비치 · 2 파블로비치 · 3 스토이치 · 4 밀렌코비치 · 5 막시모비치 · 6 구델 · 7 블라호비치 · 8 요비치 · 9 미트로비치 · 10 타디치
11 코스티치 · 12 페트로비치 · 13 벨코비치 · 14 지브코비치 · 15 바비치 · 16 미야일로비치 · 17 일리치 · 18 라트코프
19 사마르지치 · 20 세르게이 · 21 가치노비치 · 22 루키치 · 23 바냐 · 24 스파이치 · 25 믈라데노비치 · 26 비르만세비치
파일:UEFA EURO SRB.png 드라간 스토이코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