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20:01:48

뉴포트의 히스파니올라 원정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의 전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영국-스페인 무역 분쟁
산 후안 데 울루아 해전 드레이크의 1572~1573년 원정 드레이크의 세계일주 상비센테 해전
유럽 해역
드레이크의 비고 상륙 판텔레리아 해전 드레이크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1차 잉글랜드 원정 칼레 해전
잉글랜드 대함대의 스페인 원정 1590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1591년 지브롤터 해협 해전 알메리아만 해전 바르바리 해안 해전
비스케이만 해전 마운트 베이 습격 하워드의 카디스 습격 스페인 대함대의 2차 잉글랜드 원정 스페인 대함대의 3차 잉글랜드 원정
세심브라만 해전 도버 해협 해전 카디스만 해전
카리브해와 남미
산토도밍고 습격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습격 산아구스틴 습격 캐번디시의 세계일주 왓츠의 서인도 제도와 버지니아 원정
쿠바 서부 봉쇄 뉴포트의 히스파니올라 원정 1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 마테오만 해전 헤시피 습격
롤리의 엘도라도 원정 프레스턴-소머스 원정 과달루페 섬 전투 1차 산 후안 전투 드레이크의 파나마 원정
피노스 해전 2차 산 후안 전투 타바스코 습격 포르토벨로 공방전 2차 푸에르토 카바요스 해전
산티아고 데 쿠바 습격
대서양
발라 프랑카 두 캄포 해전 스페인의 아소르스 제도 정복 뉴펀들랜드 원정 산티아고 공방전 컴벌랜드 백작의 아소르스 제도 습격
베를렌가스 제도 해전 1차 플로레스 해전 2차 플로레스 해전 파이얄 해전 에식스-롤리 원정
저지대 국가
안트베르펀 공방전 에이셀로르드 공방전 1차 그라브 공방전 벤로 공방전 악셀 공방전
주트펜 전투 1차 슬로이스 공방전 베르헌옵줌 공방전 브레다 공방전 주트펜 공방전
데벤테르 공방전 델프제일 공방전 크노첸부르크 전투 1차 헐스트 공방전 나이메헌 공방전
스틴베이크 공방전 1차 쿠보르덴 공방전 게르트루이덴베르크 공방전 2차 쿠보르덴 공방전 그로닝겐 공방전
위이 공방전 1차 그로엔로 공방전 리페 전투 2차 헐스트 공방전 투른하우트 전투
1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뫼르 공방전 2차 그로엔로 공방전 브레드부르트 공방전 오르마르숨 공방전
올덴잘 공방전 링겐 공방전 산켄산츠 공방전 잘트봄멜 공방전 산 안드레아스 공방전
니우포르트 전투 2차 라인베르크 공방전 오스텐드 공방전 스헤르토겐보스 공방전 2차 그라브 공방전
후그스트라덴 반란 2차 슬로이스 공방전
프랑스
아르크 전투 이브리 전투 파리 공방전 샤토로드랑 전투 루앙 공방전
카우데벡 공방전 크라옹 전투 블라이 전투 모를레 공방전 크호종 요새 공방전
스페인의 칼레 정복 아미앵 공방전
아일랜드
9년 전쟁 스페인의 아일랜드 원정 킨세일 공방전 케슬헤븐 전투 }}}}}}}}}
뉴포트의 히스파니올라 원정
Newport's Hispaniola expedition
시기
1592년 4월~6월
장소
히스파니올라, 온두라스
원인
누에바에스파냐의 막대한 부에 대한 잉글랜드 사략선 해적들의 욕망.
교전 세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지휘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토퍼 뉴포트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로페 데 베가 포르토카레로
병력
선박 4척, 선원 및 군인 200명. 스페인 민병대와 원주민 수백 명.
피해
미미함. 4개 마을 약탈, 선박 19척 나포, 침몰 또는 파괴.
결과
잉글랜드군의 승리.
영향
누에바에스파냐의 막대한 손실.

1. 개요2. 배경3. 경과4. 결과

1. 개요

1585~1604년 영국-스페인 전쟁 시기인 1592년 4월 ~ 6월, 사략선 해적 크리스토퍼 뉴포트가 벌인 누에바에스파냐에 대한 약탈 원정.

2. 배경

1590년, 크리스토퍼 뉴포트는 잉글랜드 대상인 존 왓츠의 후원받아 서인도 제도와 버지니아를 향한 약탈 원정을 단행해 막대한 수익을 챙겼다. 그러던 중 스페인 갤리온에 등선해 적군과 격투를 벌이다가 한 팔을 잃었지만, 이에 개의치 않고 해적 활동을 이어갔다. 1591년, 그는 쿠바 서부 봉쇄 작전에 참여해 또다시 막대한 이익을 거뒀다.

1591년 겨울, 뉴포트는 카리브해로의 또 다른 원정을 준비했는데, 이번에는 히스파니올라 섬을 목표로 삼았다. 원정대의 주주 11명 중 7명은 존 왓츠를 포함한 런던 상인이었다. 잉글랜드 왕실은 뉴포트에게 대포 19문과 병사 200명을 갖춘 300~500톤급 배 4척으로 구성된 원정에 대한 '나포 및 보복장'을 내주었다. 뉴포트의 150톤급 기함 '골든 드래곤' 호는 휴 메릭이 지휘하는 프루던스 호, 로버트 스레드가 지휘하는 마거릿 호, 헨리 케젤이 지휘하는 피나스선 '버진'과 함께 함대를 구성했다. 1591년 1월 25일, 그들은 순풍을 타고 누에바에스파냐로 출격했다.

3. 경과

1592년 4월 4일, 잉글랜드 함대는 히스파니올라섬에 도착한 뒤 황량한 해변에 상륙한 후 내륙으로 이동하여 식량과 물을 보충했다. 히스파니올라는 로페 데 베가 포르토카레로의 통치받았으며, 해안 마을에는 프랑스, 잉글랜드, 네덜란드 해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 민병대가 배치되었다. 4월 11일, 잉글랜드 함대는 기니에서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로 향하던 포르투갈 노예선을 나포한 후 보급품을 얻기 위해 이슬라 데 모나에 상륙했다. 이후 잉글랜드군은 사오나 섬에서 백병전과 승선 훈련을 받았다. 얼마 후, 스페인 프리깃함 한 척이 푸에르토리코 인근에서 구리 항아리를 잔뜩 실었다가 잉글랜드 함대에 나포되었다. 또한 히스파니올라 주변을 항해하던 스페인 프리깃함 2척이 더 나포되었다.

3일 후, 잉글랜드 함대는 오코아 마을을 습격하기 위해 히스파니올라섬에 상륙한 뒤 내륙으로 진군했다. 그들은 이를 막으려던 민병대를 격파한 뒤 오코아 마을을 순조롭게 점령했다. 그 후 항구에서 프리깃함 2척을 더 나포하고 마을을 철저하게 약탈했다. 스페인인들은 마을을 해방하는 조건으로 소와 상당한 가치가 있는 설탕을 내놓아야 했다. 잉글랜드군은 마을을 떠난 뒤 티뷰론 반도를 돈 뒤 고나브 섬 앞에 정박했다. 4월 2일, 뉴포트는 110명을 이끌고 고나브 섬의 주요 항구인 라 아구아나를 기습 공격하고자 진격했다.

4월 27일 해가 뜨기 두 시간 전, 잉글랜드군은 항구에 상륙했지만, 해안으로 접근하던 35톤급 스페인 프리깃함의 기습 공격을 받았고, 스페인 수비대는 잉글랜드군에 저항하기 위해 집결했다. 기습 작전이 실패했다는 걸 깨달은 뉴포트는 병사들을 도로 배에 태운 뒤, 프리깃함을 공격해 나포했다. 그러나 이때 마을의 귀중품 대부분은 주민들에 의해 내륙으로 보내졌다. 그날 늦게 뉴포트의 군대가 재편성되어 다시 상륙했다. 그들은 해안에 도착하자마자 스페인군의 공격받았지만 물리쳤고, 마을 주지사는 난투 도중 사망했다.

잉글랜드군이 마을에 들어오자, 기병대를 포함한 스페인 민병대 150명이 폭주하는 소 200마리의 도움을 받으며 공격했다. 소들은 잉글랜드군 방향으로 질주했지만, 잉글랜드 파이크병들은 자리를 지키고 소들을 파이크로 몰아냈다. 이에 소들은 스페인 민병대 방향으로 돌진했고, 민병대는 패주하여 마을에서 내륙으로 도주했다. 잉글랜드군은 마을을 점령한 뒤 피신한 주민들에게 사절을 보내 몸값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응답도 받지 못하자 즉시 마을 전체를 약탈하고 교회 종을 훔쳤다. 정착지에 있던 집 150채가 모두 불탔고, 밭의 작물도 모조리 파괴되었다. 그 후 뉴포트는 인근 마을인 고브도 접수하고 약탈과 파괴를 자행했다. 이리하여 수십 년에 걸쳐 번영하던 히스파니올라의 스페인 식민지는 몰락했다.

뉴포트는 히스파니올라에서의 작전을 마친 후 온두라스만으로 항해하여 트룩시요와 푸에르토 데 카바요스의 스페인 정착지를 파괴하려 했다. 트룩시요에서 스페인 연안선을 요격한 후, 스페인 국기를 단 보트 부대를 항구 안으로 보내 정박 중이던 스페인 선박들을 공격했다. 해안 포대가 포격을 가해 막으려 했지만, 잉글랜드군은 이를 무시하고 스페인 선박 4척을 나포했다. 뒤이어 푸에르토 데 카바요스로 항해한 잉글랜드군은 상륙한 뒤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마을을 접수했다. 마을 주민들은 내륙으로 도망쳤고, 빈 건물 200채가 약탈당했다. 그 후 잉글랜드군은 하루 동안 마을 주변을 배회하며 가치 있는 물건을 찾았고, 전리품을 충분히 획득하자 이에 만족해 마을을 불태우지 않기로 했다.
그 후 다시 배에 오른 잉글랜드군은 동쪽으로 항해하던 중 해안에 정박해 있던 200톤급 스페인 상선을 나포하려 했다. 그러나 선원들은 적군이 승선하기 전에 배에 불을 지르고 달아났다. 이후 트룩시요에서 선박을 나포하려는 두 번째 시도가 이뤄졌다. 선박 한 척이 나포되었지만, 다른 한 척은 스페인군의 저항과 때마침 불어닥친 폭풍으로 좌절되었다. 이후 뉴포트는 지금까지 확보한 전리품에 만족하여 귀국하기로 했고, 전리품은 마거릿 호와 버진 호의 호위를 받았다.

뉴포트는 귀환하는 길에 플로리다 키스 제도에 들러서 섬 중 하나에 상륙해 칼루사족과 만나 귀금속을 도구, 물, 식량과 교환했다. 이후 바하마 해협을 항해하여 귀중한 담배와 돼지를 실은 또 다른 스페인 선박을 나포했다. 포로들과 배는 풀려났지만, 모든 화물은 잉글랜드군에게 넘겨졌다. 뉴포트는 드래곤과 프루던스 호와 함께 귀환하던 중 아소르스 제도로 항해했다. 8월에 섬에 도착하기 직전, 잉글랜드인들은 존 버러 선장이 이끄는 로브룩 호를 만났는데, 존 버러는 자신이 마틴 프로비셔 경의 함대 일원이며, 동인도 제도에서 아소르스 제도로 돌아가는 포르투갈 선박을 기습하려 한다고 알렸다. 이에 뉴포트는 그를 돕기로 하고, 플로레스섬 앞바다에서 포르투갈 캐럭선 마드레 데 데우스를 나포하는 데 도움을 줬다.

4. 결과

크리스토퍼 뉴포트는 이번 원정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그는 총 4개 마을을 약탈했고, 적선 19척을 나포했다. 전리품에는 약 6톤의 수은, 3개의 교회 종, 비단, 16톤의 와인, 설탕, 가축과 여러 상품이 포함되었다. 한편, 산토도밍고의 재무장관 디에고 데 이바라는 잉글랜드군이 마치 자기 나라의 항구인 것처럼 바쁘게 돌아다닌다고 한탄했다. 그리고 스페인 총독 포르토카레로는 히스파니올라의 피해를 복구할 길이 없다고 여기고, 그곳 마을들을 철수하기로 했다. 이후 뉴포트에게 약탈당한 히스파니올라섬의 북서부는 방치되었다가 훗날 카리브해에서 '버커니어(Buccaneer)'로 일컬어진 해적들의 본거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