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3 11:30:52

더 글로리/탐구


파일:더 글로리_로고.png
파일:더 글로리_영어_로고.png
[ 등장인물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657362><bgcolor=#4d5947><color=#fff><-4> 주요 인물 ||
[[문동은|
파일:문동은프로필.png
]]
[[주여정|
파일:주여정프로필.png
]]
[[강현남|
파일:강현남프로필.png
]]
[[하도영|
파일:하도영프로필.png
]]
{{{#!wiki style="margin: -16px -10px; letter-spacing: -0.3px" [[박연진|
파일:박연진프로필.png
]]
[[전재준|
파일:전재준프로필.png
]]
[[이사라(더 글로리)|
파일:이사라프로필1.png
]]
[[최혜정(더 글로리)|
파일:최혜정프로필.png
]]
[[손명오|
파일:손명오프로필.png
]]
}}}
그 외 등장인물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OST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d25><tablecolor=#ffffff><width=1000>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긴긴밤
김예지
2022. 12. 30.
||<width=33.33%>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Until The End
Kelly McRae
2022. 12. 30.
||<width=33.33%>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The Whisper Of Forest
SURAN
2022. 12. 30.
||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너는 기억한다
폴킴
2022. 12. 30.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눈부신 계절
양파
2022. 12. 30.
{{{#!wiki style="background: ;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fff; color: #ffffff"
더 글로리 스코어
Various Artists
2023. 03. 10.
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OST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657362><width=1000><tablebordercolor=#657362> 등장인물 ||<width=25%> OST ||<width=25%> 탐구 ||<width=25%> 평가 ||

1. 개요2. 포스터
2.1. 티저 포스터2.2. 캐릭터 포스터
3. 오프닝4. 본편5. 촬영지

1. 개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더 글로리》의 탐구[1] 내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기사

2. 포스터

2.1. 티저 포스터

2.2. 캐릭터 포스터

황색}}}]] (박연진) - 동양에서 고대부터 고귀함과 부유함을 상징한 색으로 황제의 색깔로 사용되기도 했다.[4]적색}}}]] (전재준) - 동양에선 황색에 이어 정통성을 상징한 색으로 흔히 왕을 상징하는 색이다. 서양에서도 티리언 자주색에 밀릴 뿐, 케르메스 적색도 충분히 비싼 색상이었기에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특히 1453년 동로마 멸망 이후 티리언 자주색의 수입망이 제한되자 왕실과 추기경을 상징하는 색이 되기도 하였다.자색}}}]] (이사라) - 동양에선 진시황제가 선호했었기에 황제를 상징하기는 하나, 전통적 오방색에 따라 황제를 의미하는 황색, 정통성을 의미하는 적색에 밀린 3위권의 색상이다. 서양에선 고대 이집트부터 최고 권력자를 상징하는 색이었고, 로마 시대때도 황제, 승전한 장군, 최고위 행정관 등이나 사용하는 색이었으며,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가 된 이후에도 교황 및 고위 종교인을 상징하는 색으로 쓰였다.[5] 역사적으로 보자면 자색이 가장 귀한 색으로 볼 수 있다.청색}}}]] (최혜정) - 서양에선 흔히 식물성 염색을 통해 청색 안료를 얻어내던 중세초기까지는 미개하고 세련되지 않은 색상으로 취급받았으나, 중세 중기부터 겸손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어 성모 마리아의 상징색으로 쓰이게 되었고, 프랑스 또한 이 시기에 왕실 상징색으로 청색을 고르며 위상이 올라갔다. 이 시기엔 청금석, 남동석을 사용한 비싼 안료를 사용하게 되어 적색과 자색에 비할 순 없어도 비싼 색상으로 대우받았다.녹색}}}]] (손명오) - 서양에선 녹색 염색이 유지하기 쉽지도 않고 쉽게 갈색으로 변하는만큼 좋은 취급이 아니긴 했으나 르네상스기 즈음엔 상인 등 부유한 계층의 상징색으로 쓰였다.

3. 오프닝

4. 본편

4.1. 오류

4.2. 바둑

본작에서 바둑은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향후 행보를 암시하는 복선 역할을 하고 있다.

5. 촬영지

장면 정보가 포함된 정리 링크
<rowcolor=#fff> 파일:더 글로리_로고.png
파일:더 글로리_영어_로고.png 촬영지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종시
솔빛초등학교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천시
티하우스에덴
청주시
청주교육대학교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
홍대입구역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종시
솔빛초등학교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종시
솔빛초등학교
서울시
문정법조단지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천시
청라 호수공원
청주시
용화사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천시
청라 호수공원
청주시
용화사
세종시
솔빛초등학교
서울시
사당역
서울시
종합운동장역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천시
청라 호수공원
청주시
용화사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산시
양산동 폐공장[20]
김포시
금광테크노밸리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천시
수정교회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의정부시
행복로[21]
김포시
아라뱃길[22]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
서울시립대학교 창공관, 법학관
파주시
도란도란
파주시
보광사
고양시
일산시장
광주시
분당추모공원 휴
장흥군
장흥교도소
}}} }}} }}} ||


[1] 복선떡밥, 오류 등.[2] 해당 배경은 CG가 아닌 시각 예술가로 활동 중인 고주연 작가가 실제로 자수를 놓아 만든 작품이다.[3] 다만 최혜정은 시선은 살짝 위쪽을 향하고 있으나 고개는 위가 아닌 옆쪽을 향하고 있다.[4] 단, 서양에선 취급이 영 좋지 않아 경계, 주의등을 의미하며, 이런 맥락에서 배신자 유다 이스카리옷의 상징색으로 쓰였다.[5] 서양에서 자색 염료는 지중해에 나는 특정한 종류의 소라고둥에게서만 극소량 얻을 수 있었기에, 가장 만들기 어렵고 비싸서 최고 권력자나 쓸법한 색깔이 된 것이다.[6] 대체적으로 영양실조에 의한 빈혈은 철 결핍을 말한다.[7] 시작 버튼이 비슷한 Windows 8.1이라 하더라도 출시일이 2013년이다.[8] 아버지 하도영이 색각이상이 아닌데 딸 하예솔이 색각이상인 것 자체가 하예솔이 하도영의 친딸이 아니라는 증거가 되기 때문이다.[9] 평소엔 베이비시터랑 운전기사가 계속 붙어다녔다 보니 신호등에 대해 가르친다는 걸 미처 생각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10] 가능성이 있다면 상후두신경(Sup. laryngeal n.)과 반회후두신경(Rec. laryngeal n.)이 양쪽 모두 손상된 경우다. 성대 근육들은 이들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11] 다만 이 사건에서 시체가 발견된 결정적인 이유는 범인이 다른 사건으로 취조를 받을 때 살인이 들통난 것으로 착각하고 자백을 해 버렸기 때문이었다. 정작 그 드럼통에 담긴 시체는 차가 자주 다니는 도로 근처에 버려져 있었는데도 3개월 동안이나 발견되지 않았다. 물론 콘크리트가 갈라지면서 냄새가 새어나와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원인 모를 악취를 느끼기는 했으며, 어디까지나 굳이 신고까지 하는 사람이 없었다 보니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12] 시멘트에 그대로 묻어놓든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든 상관없이 전재준 하나만 달랑 치운다고 해서 끝난 것은 아니다. 전재준이 처리될 당시에는 차에 타고 있었는데, 그가 타고 있던 차량과 사고에 쓰인 레미콘, 더군다나 그냥 승용차도 아니고 벤틀리같은 고가의 차량을 처리하지 못하면 들키는 것은 시간문제다.[13] 비슷한 내용을 다룬 영화 신세계에서도 마찬가지로 희생자들을 공구리치는 장면을 보면, 선식에 녹말을 섞은 가짜 콘크리트 소품이 실제 콘크리트보다 묽은 것을 볼 수 있다.[14] 게다가 현실에서도 저렇게 긴 공식 명칭 대신 청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5] 다만 박연진은 곧바로 도망가서 제대로 못 봤지만, 김경란이 마무리짓기 전에도 손명오의 부상은 이미 심각했다. 피를 철철 흘리며 겨우 기어다니기만 했으니 김경란이 아니었어도 어차피 뇌출혈이나 과다출혈로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어쩌면 김경란이 서둘러 119를 불러줬어도 죽었을 것이다.[16] 자신이 현재까지 이룬 완벽한 인생[17] 즉 이미 먼저 선공을 당한, 대국에서 불리한 위치.[18] 여정은 이때 동은에게 칼춤 추는 망나니가 되어주겠다고 선언한다. 즉 이제부터는 이 둘이 먼저 공세를 펼치는 입장이 된다는 뜻.[19] 도영은 아내인 연진조차 '맞선 보러 나온 여자들 중 제일 적게 입었고, 싹 다 디올이었기 때문에' 선택했다. 허나 겨울옷을 입은 동은에게는 '춥지 않냐'고 걱정하는 말을 건네고, 자신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했음을 밝히는 동은에게 따지기는커녕 말을 이리저리 돌린다.[20] 1호선 전철을 타고 병점역에서 세마역으로 넘어갈 때 보이는 그 폐공장이다.[21] 길거리에서 자신과 같은 의상을 입은 윤소희를 마주쳐 화가 난 박연진이 그 자리에서 바로 윤소희에게 탈의를 강요한 과거 학폭 영상 씬의 촬영지다. 행복로는 의정부시의 대표 로데오거리이기도 하고, 자세한 촬영 위치가 행복로 내 의정부역 6-3번 출구 바로 앞이기도 해서 드라마에 여운이 남은 이들이 한번쯤 찾아가 보기 아주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22] 정확한 위치는 GS25 김포아라점 앞이다. 주여정이 러닝을 뛰고 있을 때 문동은이 물을 건네주는 장면의 촬영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2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