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7:28:10

도서산간지역


1. 개요2. 특징3. 목록
3.1. 우체국 기준3.2. 도서ㆍ벽지 교육진흥법 시행규칙 기준
4. 관련 문서

1. 개요

도서산간지역()은 도서지역과 산간지역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도서지역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 산간지역은 산과 골짜기가 많은 지역을 뜻한다. 한마디로 다른 지역에서 접근하기 힘든 동네들. 보통은 도서산간으로 줄이거나, 산간의 의미를 내포하면서도 산간을 뺀 도서지역으로 줄여서 부른다.

오지벽지 같은 단어에 비해서 자주 쓰이는 단어는 아니나 택배 이용 시에는 접할 일이 많은 단어이다. 이런 곳에 배송을 하게 되면 추가 배송비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 특징

일반적으로 육로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이 도서산간지역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지속적인 도로의 확충으로 산간지역은 자취를 감췄고, 도서지역도 육지와 너무 먼 경우만 아니면 다리가 놓이거나 놓일 예정이라 도서산간지역의 비율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제주도도 엄밀히 따지면 도서산간지역에 해당되나 일반적으로 제주도는 '제주도' 라는 별도의 분류를 적용하며, 배송비가 일반적인 도서 산간 지역에 비해서 저렴하다. 단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다 해서 모두 '제주도'라는 분류를 적용하지 않으며 추자도우도 같은 부속섬은 도서산간지역으로 분류한다.

3. 목록

3.1. 우체국 기준

우체국 지정 우편물 송달기준 적용 곤란지역에 해당되는 곳들을 작성한다. 도서산간 지역의 기준은 택배사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은 이용 중인 택배사에 문의하는 게 좋다.

3.2. 도서ㆍ벽지 교육진흥법 시행규칙 기준

도서, 벽지 교육진흥법 시행규칙상 도서산간지역[2]목록은 이곳을 참조. 지역별로 가~라 등급으로 구분되며, 가등급에 가까운 기관에 근무할수록 도서, 벽지 수당이 많이 지급된다.

4. 관련 문서



[1] 우체국 지정 유일한 산간벽지 지역이다.[2] 법령상 명칭은 도서, 벽지의 지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