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도서산간지역(島嶼山間地域)은 도서지역과 산간지역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도서지역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 산간지역은 산과 골짜기가 많은 지역을 뜻한다. 한마디로 다른 지역에서 접근하기 힘든 동네들. 보통은 도서산간으로 줄이거나, 산간의 의미를 내포하면서도 산간을 뺀 도서지역으로 줄여서 부른다.오지나 벽지 같은 단어에 비해서 자주 쓰이는 단어는 아니나 택배 이용 시에는 접할 일이 많은 단어이다. 이런 곳에 배송을 하게 되면 추가 배송비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 특징
일반적으로 육로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이 도서산간지역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지속적인 도로의 확충으로 산간지역은 자취를 감췄고, 도서지역도 육지와 너무 먼 경우만 아니면 다리가 놓이거나 놓일 예정이라 도서산간지역의 비율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제주도도 엄밀히 따지면 도서산간지역에 해당되나 일반적으로 제주도는 '제주도' 라는 별도의 분류를 적용하며, 배송비가 일반적인 도서 산간 지역에 비해서 저렴하다. 단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다 해서 모두 '제주도'라는 분류를 적용하지 않으며 추자도나 우도 같은 부속섬은 도서산간지역으로 분류한다.
3. 목록
3.1. 우체국 기준
우체국 지정 우편물 송달기준 적용 곤란지역에 해당되는 곳들을 작성한다. 도서산간 지역의 기준은 택배사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은 이용 중인 택배사에 문의하는 게 좋다.- 인천광역시
- 경기도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울릉군 : 전 지역
- 전라남도
- 목포시 : 달동
- 여수시 : 삼산면, 남면, 화정면, 군내리 송도, 여동리 송도, 삼간도
- 강진군 : 가우도
- 고흥군 : 상화도, 하화도, 시산도, 득도, 사양도, 봉호도, 연홍도, 죽도
- 구례군 : 산동면 좌사리 심원[1]
- 무안군 : 탄도
- 보성군 : 장도
- 신안군 : 압해읍 가란리·고이리·매화리, 증도면 병풍리, 지도읍 선도리·어의리, 압해읍·증도면·지도읍을 제외한 전 지역
- 완도군 : 완도읍, 군외면(당인리·불목리·영풍리·황진리 제외), 고금면, 신지면, 약산면을 제외한 전 지역
- 영광군 : 낙월면
- 진도군 : 조도면, 저도, 금호도, 구자도
- 해남군 : 상마도, 중마도, 하마도, 어란리 어란, 어불도
- 전북특별자치도
- 군산시 : 비안도, 두리도
- 충청남도
- 제주특별자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