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23:41:15

도펠죌트너

도팰죌트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e5e5e5><colbgcolor=#FAED7D,#514f36> 역사 <colcolor=#000,#fff>역사 · 프랑크 왕국(중프랑크 · 동프랑크) · 부르군트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현대 국가 독일 · 이탈리아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이탈리아 · 모나코 · 산마리노 · 바티칸 · 체코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폴란드
주요 가문 카롤루스 가문 · 오토 가문 · 잘리어 가문 · 호엔슈타우펜 가문 · 벨프 가문 · 룩셈부르크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왕국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부르군트 왕국 · 보헤미아 왕국
선제후국 <colcolor=#000,#e5e5e5><colbgcolor=#fff8b4,#514f36> 초기 부족 공국 프랑켄 공국 · 슈바벤 공국 · 바이에른 공국 · 로렌 공국 · 초기 작센 공국
1356년~1623년 마인츠 선제후국 · 쾰른 선제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 작센 선제후국 · 팔츠 선제후국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 보헤미아 왕국
16세기 추가 바이에른 선제후국 · 하노버 선제후국
1803년 이후 추가 레겐스부르크 선제후국 ·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 · 바덴 선제후국 · 헤센 선제후국
정치 역대 황제 · 로마왕(독일왕) · 황제선거 · 선제후 · 금인 칙서(1356년판) · 제국의회 · 제국대법원 · 제국추밀원 · 제국추방령 · 저지대 국가 · 변경백 · 방백 · 팔츠 · 궁정백 · 주교후 · 제국백 · 자유도시 · 부족 공국 · 영방국가
주요 종교 가톨릭(국교) · 발도파 · 후스파 · 개신교(루터교회 · 개혁교회)
관련 유물 레갈리아/신성 로마 제국 · 롬바르디아 철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금인 칙서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군사 제국군 · 황제군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슈바르체라이터
주요 사건 카노사의 굴욕 · 십자군 전쟁 · 대공위시대 · 이탈리아 전쟁 · 후스 전쟁 · 종교 개혁 · 독일 농민전쟁 · 슈말칼덴 전쟁 · 30년 전쟁(베스트팔렌 조약) · 7년 전쟁 · 나폴레옹 전쟁(제국의 해체)
오해 오해와 반박 }}}}}}}}}

도펠죌트너
Doppelsöldner|Double-mercenaries
파일:attachment/도펠죌트너/Doppelsöldner.png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
3.1.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유닛3.2.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소드맨 계열 클래스3.3. 소녀전선의 등장 병기3.4. 도미네이션즈

[clearfix]

1. 개요

란츠크네히트에 소속된 용병들 중에서도 정예들만으로 구성된 부대. 그 이름은 2배의 급료를 받는 병사(doppel = '2배', Söldner = '용병/군인.' 또한 sold = '지불하다.'라는 뜻도 있다.[1])라는 뜻이다. 보통 란츠크네히트 병사가 4 길더를 받는데 8 길더 이상의 급료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2. 상세

기본적으로 란츠크네히트에서 모병되어 살아남은 베테랑 용병이기 때문에 어느 임무도 다 수행할 수 있기에, 급료를 두 배(또는 경력과 임무에 따라 그 이상)나 받았으며 이는 이들의 이름이 되었으나 그만큼 전장에서는 다른 병사들보다 위험한 임무에 투입되었다. 특히나 공격진의 선두에서 장창병의 방진을 흩트러뜨려 이후 일반 란츠크네히트의 장창 부대가 제압하기 용이하게 만드는 선봉부대로서의 임무를 맡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런 전법을 사용했다는 역사적 기록 자체는 남아있고 중세 검술에 창대를 자르는 양손검 기술에 대해 언급이 있으니 창대를 자르고 돌격하는 것은 일단 가능하며 자르지는 못해도 쳐 내고 진형을 흩트리는 역할은 충분히 가능하다. 장창의 전술중에 상대방의 창을 흩트리는 전술이 있었던 만큼 이를 츠바이헨더와 같은 대검으로 걷어내서 아군의 전술적 우위를 만들어 냈던 것으로 보인다. 선봉에 서서 적 진형을 걷어내는 역할을 맡은 것이다.

선봉 임무가 아닌 경우 후방에서 독전대 역할을 하거나, 부대깃발을 지키거나[2], 외곽 경비 임무를 서는 등의 임무를 맡았다.

하지만 부대 구성비에서 도펠죌트너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부대 총 구성비의 1/4가 기본 구성이고, 심하면 40%까지 도펠죌트너로 구성되는 사례도 있다), 경비 업무나 깃발만 지키고 있게 하기에는 병력이 너무 많아 보인다. 때문에 전투 시 도펠죌트너는 노병/고참병으로서 적의 공격에 제일 노출되는, 가장 용기가 필요한 1선에 섰을 것이다. 고로 도펠죌트너의 2배 급료는 일종의 위험을 감수하는 생명수당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정규군에서나 다른 용병대에서도, 공성전 시에 성벽을 뚫기 위한 돌격대 등의 어려운 임무를 맡는 병사에게 추가 보상을 약속하는 일은 흔했다.

다만 란츠크네히트 자체가 돈을 벌기 위해 모인 사람들인 만큼 도푈죌트너가 될 정도는 아니지만 충분한 돈을 벌거나 적성에 안 맞거나 부상을 입고 전역하는 이들도 많았을 것이고 신병의 충원이 언제나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고참병의 비율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용병단의 재정상태가 나쁘다면 고참병을 자르기보단 신병모집을 적게 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양손검을 들고 선봉에 도펠죌트너가 참여하는 전투 양상을 그려본다면, 도펠죌트너는 적의 파이크 방진으로 돌격을 하여 아군의 장창병이 유리하도록 상대의 예봉을 꺾는 역할을 맡았을 것이다. 양손검을 사용하는 만큼 창을 걷어내기가 수월하였을 것이며 창대를 꺾거나 부러트리고 적군의 사기를 낮췄을 것이다. 이후 도펠죌트너가 방진을 흐트러뜨려 놨기 때문에 후열의 장창병은 전투에서 우위에 설 수 있게 되며 승리로 향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구멍이 난 전선을 틀어막는 예비대 역할과 기병이 없을 때 후퇴하는 적들을 추격하는 임무 등 창병이나 할버드병들은 맡을 수 없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 하는 것도 그려 볼 수 있다.

다만 중세 중기까지라면 몰라도 란츠크네히트도 화약무기 등 투사무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단일업무인 양손검병 임무만 수행하지는 않았다. 사람이 넘쳐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기동성을 이용하여 파고드는 기병을 격살하는 역할역시 양손검병인 이들에게 맡기는데 칼만 들고 기다리기에는 뻘쭘할 뿐더러 (단순 직검말고도 각종 도와 검들을 모두 총칭하는 분류의)검이라는 무기란게 여러가지 보조도구들을 자유롭게 쓰면서도 자체 전투력을 해치지 않게 하는 물건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격검 전투만 수행하고 다른 임무에는 손놓고 노는 것은 검병으로서 직무유기나 마찬가지였다.

주된 무장으로 츠바이핸더, 화승총, 쇠뇌 등을 사용했다. 그리하여 부대 편제시 도펠죌트너 내에서도 항상 장거리 무장을 사용하는 비중을 어느 정도는 유지하고 있었다.

도펠죌트너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츠바이핸더에 대해서는 재미있는 설이 있다. 일단 도펠죌트너가 츠바이핸더를 애용한 것은 확실한 사실이며, 츠바이핸더를 잘 사용하는 것이 도펠죌트너가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이기도 했다. 이를 위해 전문 검술 교육을 거쳐야 했는데, 이 교육은 당대의 전문 검술 길드인 막스브루더(성 마르코 검술 길드)가 의탁받은 것으로 보인다는 설이 있다.

성 마르코 길드는 15세기 말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에게 Meister des langen schwert(마스터 오브 롱소드)라는 칭호를 부여할 수 있는 독점권을 인정받은 국가 공인 길드가 되었다. 때문에 도펠죌트너가 성 마르코 검술 길드와 깊은 관계가 있지 않은가 하는 흥미로운 추론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도펠죌트너 츠바이핸더 용병은 황제 공인 제국 검술 길드의 훈련 과정을 거친 최정예 소드 마스터인 것이다.

복장이 기묘하기로 유명한 란츠크네히트답게 그 복색은 매우 화려했다고 한다. 당시에는 하층민의 복식에 대한 규제가 꽤 강력해서, 너무 튀는 데다 정신나간 듯한 복장을 하고 다니는 란츠크네히트를 못마땅하게 보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용병인데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내버려둬라, 란츠크네히트는 어차피 짧은 인생을 화려하게 사는 이들인데 그쯤은 자유롭게 해줘라"라고 공언하는 바람에 란츠크네히트의 화려한 복장은 당시의 계급사회의 억압을 벗어난, '자유의 상징' 쯤으로 여겨져서 더 신나게 화려한 옷을 입어댔다고 한다,

3. 대중매체에서

3.1.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유닛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보병 문서
2.1.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소드맨 계열 클래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펠죌트너(트리 오브 세이비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소녀전선의 등장 병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펠죌트너(소녀전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도미네이션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펠졸트너(도미네이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Söldner라는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 sal, 즉 소금이라는 단어인데, 이는 고대시대 용병/군인의 봉급을 소금으로 지불하던 것에서 기인한다. 영단어 soldier도 같은 기원을 가진다. 현대 독일어에서 Söldner는 "용병"이라는 의미로 굳어지고, 영단어 Soldier에 대응되는 현대적 의미의 "군인"은 Soldat 으로 분화되었다.[2] 쉬워 보이는 역할로 보이겠지만, 부대의 자존심을 넘어서 통신수단이 부족한 전근대 전투에서는 피아식별을 할 때 깃발이 맡았는데. 현대의 간소화 된 크기가 아닌 멀리에서 봐도 인식이 될 정도로 크다. 그래서 동서양의 모든 군대들에서는 기수를 용기가 있고 체격과 체력이 우수한 병사들에게 맡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