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아프리카 | ||||||
제주특별자치도 | 대만 | 몽골 | 만주 | 싱가포르 | ||
베트남 | 캄보디아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타지키스탄 | ||
인도 | 파키스탄 | 나이지리아 | 앙골라 | 적도 기니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이스라엘 | 리비아 | ||
이집트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네덜란드 | ||
스페인 | 바티칸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
스웨덴 | 폴란드 | 헝가리 | ||||
아메리카 | ||||||
쿠바 | 베네수엘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기타 | ||||||
아프리카 | ||||||
다자관계 | ||||||
남북러 | 북중러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중국 | ||||
인도 | 아프가니스탄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 | ||||
오스트리아 | 리히텐슈타인 | 스위스 | 폴란드 | 헝가리 | ||||
체코 | 슬로바키아 | 영국 | 프랑스 | 아일랜드 | ||||
네덜란드 | 벨기에 | 룩셈부르크 | 스페인 | 이탈리아 | ||||
루마니아 | 슬로베니아 | 불가리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
포르투갈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리투아니아 |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이집트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
칠레 |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
나미비아 | 탄자니아 | 베냉 | 호주 | 뉴질랜드 | ||||
파푸아뉴기니 | 사모아 | |||||||
다자관계 | ||||||||
영프독 | 독일·러시아·폴란드 |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서독-동독 관계 |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바이마르 공화국-폴란드 제2공화국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나치 독일 | ||||||||
북한 | 독일 |
[clearfix]
1. 개요
북한과 독일의 외교관계.북한에선 독일을 원어에 가까운 도이췰란드[1]라고 부르지만, 독일에선 북한을 노르트코레아(Nordkorea)라고 부른다.[2]
2. 역사
2.1. 20세기
북한은 같은 공산주의 국가였던 동독과 수교했다. 6.25 전쟁 때 동독은 군을 파견하지는 않았지만 북한 측에 의료지원을 했다. 또 전후 복구를 많이 도와주었다. 북한 학생들이 동독으로 유학을 가기도 했다. 하지만 1960년 중소결렬 이후 북한은 중국에 접근하고 동독은 소련의 위성국이었기 때문에 관계가 소원해졌다. 이 때문에 북한 유학생들은 본국으로 복귀해야 했다. 동독 현지인과 결혼한 유학생들 역시 갑자기 귀국해야 했고, 대표적으로 레나테 홍의 사례가 알려져 있다. 그래도 같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고 많은 교류를 했다. 심지어 평양-동베를린행 비행기 노선도 있었을 정도다. 그래도 동독에서는 정보 수집은 게을리하지 않았는지 통일 이후 공개된 슈타지 문서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독일어)1990년 동독이 서독에 흡수되자 북한과 독일의 관계는 끊겼으며, 대사관은 대표부로 격하되었다. 북한은 독일이 통일되자 독일 정부에 의해 구속된 동독 전 국가평의회 의장 에리히 호네커를 자국으로 망명시키려 했으나 실패한 일도 있었다.
2.2. 21세기
2001년 북한과 독일은 재수교하였다. 하지만 여느 유럽 국가가 그렇듯 독일 역시 꾸준히 대북제재에 동참하며 양국은 갈등을 겪고 있다.[3]2019년 10월 30일, 독일의 구호단체 카리타스가 북한 양로원에 의약품을 지원했다.#
2020년 7월 30일, 크리스토프 호이겐스 주 유엔 독일 대사는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매우 나쁘다고 밝혔다.# 12월 31일,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북한에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할 의사가 있다는 간접적인 반응을 보였다.#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이 독일을 포함한 해외 대학 수십 곳과 협력 관계라고 공지한 것에 대해 독일 대학을 포함한 다수가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북한 독일 대사를 2번이나 지낸 토마스 섀퍼 전 대사가 디벨트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생활에 대한 여러 소감을 밝혔다.#
독일이 대북제재 감시 등을 위해 8월부터 인도-태평양에 군함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21년 10월. 전쟁병기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체포된 독일 연방군 대위의 자택에서 고위험 방사성 물질과 연방정보부의 북한 관련 기밀문서가 발견되었다.#
2022년 1월 18일 독일 정부는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3월 24일, 독일 정부는 북한의 ICBM 발사를 '무책임한 도발'이라고 비판했다.#
5월 6일, 독일 외무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규탄했다.#
3. 대사관
평양과 베를린에 대사관이 있다. 양쪽 모두 동독 시절부터 썼던 곳이다. 베를린의 북한 대사관은 브란덴부르크 문과 가까워 외화벌이용 호스텔을 겸했지만 2020년 대북제재로 폐쇄되었다.4. 관련 문서
[1]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도이칠란트'가 올바른 표기이다. 독일어 대부분 끝에 유성음 자음이 있으면 거의 90%는 d를 t로 읽기 때문에, 드보단 트가 원음에 가깝다.[2] 참고로 대한민국은 쥐트코레아(Südkorea)라고 부른다. 오늘날엔 쥐트를 생략하고 그냥 한국(남한)을 코레아라고 부르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3] 애초에 독일연방공화국은 서독 시절부터 대한민국의 우방이었다. 독일뿐만이 아니라 대다수의 유럽 국가들도 극소수의 친러 국가를 제외하면 남한과의 관계가 더 가깝고,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도 남한의 입장을 지지한다. 하지만 독일 역시 남한과도 약간의 갈등은 있는 편이다. 그 외에도 이웃나라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먼 나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일부 동남아, 중남미 국가들 또한 마찬가지로 극소수 친북 국가들을 제외하면 이런 문제에 관해서는 무조건 남한을 지지하고 있다. 북한을 지지하는 경우는 중국, 러시아, 이란, 시리아 등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