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30 08:26:25

북한-베네수엘라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다자관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베네수엘라·가이아나·수리남
}}}}}}}}}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북한 베네수엘라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베네수엘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북한과 베네수엘라는 반미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냉전시절 당시에는 서로 별 다른 관계는 없었다. 이유는 당시 베네수엘라가 친미국가 였기 때문에 오히려 북한과 대립하는 관계였다.

2.2. 21세기

베네수엘라에서 차베스가 집권하고 반미정책을 추구하기 시작하자 갑자기 반미로 돌아서자 양국간의 관계는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우고 차베스가 방한이 여러번 무산되자 북한에 여러번 관심을 가졌으며, 2011년 12월 김정일이 죽자 "김정일 동지의 사망에 진심어린 애도를 표시한다”며 애도를 하기도 했고, 북한 인민이 미래를 번영과 평화로 이끌어갈 능력이 있음을 확신한다고 하며 방북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핵실험으로 취소되었다. 그 외에도 차베스가 북한에 여러번 우호적인 발언을 한 적이 있다.

마두로 정부가 외교적으로 반미노선을 걷는다지만 북한이 베네수엘라에 뭘 투자한 적이 없기 때문에 데면데면한 관계였다. 일반인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은 TV나 신문에서 북한에 대해 보도할 때 미사일이니 핵실험을 한다는 소식을 내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1] "가진것도 없는 주제에 허세부리면서 핵실험이니 미사일이니 쏴대는 나라"라는 이미지 정도가 고작. 2010년대 중반까지는 그랬다.

2011년 북한의 조선중앙TV는 베네수엘라를 세계에서 5번째로 행복한 나라라고 발표하였다(...)#[2]

하지만 2019년초에 베네수엘라에서 정치 위기가 발생되자 북한측은 마두로 정권을 지지했다.[3] 그리고 마두로를 합법적인 대통령으로 인정하면서 마두로를 축출할려는 쿠데타에 대해 비판했다.# 2019년 8월 21일 주평양 베네수엘라 대사관이 개관했다. 이미 북한은 2015년 카라카스에 대사관을 설치한 바 있었다.# 그래서 북한-베네수엘라 관계가 점점 밀착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019년 10월 3일 마두로는 곧 방북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미 9월말 정권의 2인자인 디오스다도 카베요 제헌의회(ANC) 의장이 방북한 바 있다.#

유엔이 베네수엘라와 북한의 군사·기술 협력 가능성을 조사 중이다.#

북한이 시리아와 베네수엘라를 형제국이라고 언급하자 베네수엘라도 북한을 형제국이라고 답하였다.#

2023년 2월 22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은 김일성의 생일인 광명성절을 축전하였다.[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대사관

북한은 카라카스에, 베네수엘라는 평양에 서로 대사관을 두고 있다.

4. 관련 문서



[1] 쿠바라면 그나마 좋게라도 보도해주겠지만 마두로 정부가 반미노선을 걷는다해도, 북한이 뭘 대규모로 투자한 적이 없기 때문에 TV나 신문에서 북한에 대해 좋게 보도할 껀덕지가 없다.[2] 1위는 중국 100점, 2위는 북한 98점, 3위 쿠바 93점, 4위 이란 88점, 5위 베네수엘라 86점이며 한국은 152위에 18점, 미국은 203위 꼴찌행복지수 3점(...)이였다.[3] 중국, 러시아, 벨라루스, 세르비아, 이란, 시리아 등이 마두로를 지지했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