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여요관계 | |||||
수나라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이란 | 시리아 | ||||
러시아 | 스페인 | 튀르키예 | ||||||
아메리카 | ||||||||
미국 | 멕시코 | 쿠바 | 도미니카 연방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브라질 | 콜롬비아 | 가이아나 | 에콰도르 |
중국 | 베네수엘라 |
1. 개요
중국과 베네수엘라와의 관계. 베네수엘라는 중국과 동맹 관계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1936년 중화민국과 베네수엘라가 수교했다. 1974년에는 베네수엘라가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하였다.2.2. 21세기
우고 차베스의 재임 시절인 2001년 장쩌민이 베네수엘라를 방문했는데, 이는 중국 국가지도자가 베네수엘라를 방문한 최초의 사례였다. 시진핑은 2009년과 2013년 총 2번에 걸쳐 베네수엘라를 방문했던 바 있다.2014년 말을 기점으로 국제 유가가 폭락하자 베네수엘라는 심각한 경제난에 빠지게 되었다. 그 결과 2016년부로 중국은 베네수엘라와의 동맹관계를 재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금이 아닌 원유로 상환해도 좋다는 관대한 조건으로 차관을 제공한 중국이지만, 국제 유가 폭락 등으로 원유 상환마저도 제때 이뤄지기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베네수엘라의 경제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최근 수년간 중국으로 돌아온 중국인은 5만 명을 넘어선다. 75억 달러(8조6천억원) 규모의 고속철 건설사업과 곳곳의 공장, 건설현장 등 중국이 투자한 대부분의 베네수엘라 사업은 중단된 상태다. 그렇다고 해서 베네수엘라에서 곧바로 철수한다면 중남미 국가들의 신뢰를 잃어 이 지역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상실할 수 있다.
2017년 8월 15일자 기사
2017년 8월 15일자 기사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중국측은 2018년 7월 3일부로 베네수엘라에 2억5000만달러의 차관을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2018년 9월 베네수엘라의 마두로 대통령은 중국에 진 채무를 석유 수출로 메꾸고 있는 상황에서 수출량을 늘려서 빚을 더 빨리 갚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물론 베네수엘라의 정유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수출량을 늘리기는 불가능하고, 다시 말해서 중국 측에 정유 시설 좀 투자 좀 더 해달라는 요청으로 볼 수 있다. 해당 발언이 나온지 얼마 안 되어 중국 해군 병원선이 베네수엘라에 파견되었다.#
2019년 1월 29일 중국은 미국의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기업 제재를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2019년 3월 7일 베네수엘라의 수력발전소가 노후화되어 전력 공급이 크게 악화되고 정전이 거듭되자, 중국측에서 베네수엘라에게 전력복구를 지원을 제안했다.# 참고로 국제유가가 폭등해서 베네수엘라 경제에 조금 숨통이 트였을 시점인 2022년도 3월에도 베네수엘라 정전의 심각성을 알려주는 기사가 나온 것을 보면 당시 중국 측의 지원은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2019년 5월부로 마두로 정권을 지원하고 있는 중국에 경고했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중국은 같은 해 베네수엘라에 의약품과 외과 수술용 도구가 포함된 200만 상자를 원조하였다.# 마두로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와 협력해서 나노위성발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해 8월 중국은 미국의 베네수엘라 추가제재에 대해 내정간섭이라고 반대했다.#
2023년 2월 5일,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양국이 중국 정찰풍선 사건과 관련해 중국을 지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