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오만 | |
바레인 | 이스라엘 | 소말리아 | 에리트레아 | 수단 공화국 | |
리비아 | |||||
유럽·아메리카 | |||||
러시아 | 영국 | 튀르키예 | 미국 | ||
과거의 대외관계 | |||||
북예멘-남예멘 관계 |
중국 | 예멘 |
1. 개요
중국과 예멘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명나라 정화의 대원정 때 정화 일행이 아덴을 가기도 했었다.2.2. 20세기
1958년부터 중국은 예멘 왕국과 수교를 맺었으며, 훗날 예멘 왕국이 멸망하고 북예멘이 수립되었을 때 북예멘과 수교를 했다. 1967년 남예멘이 수립되자 이에 남예멘과도 수교를 맺었다. 1990년 예멘이 통일되자 중국은 통일국가로서 예멘을 지지하고 인정했다.의외로 북예멘이 존재했을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를 통하여 대만군이 북예멘에서 소련, 쿠바군을 상대로 전적을 올린 적이 있었다.[1]
2.3. 21세기
2.3.1. 2010년대
2010년 5월 석유회사에서 일하던 중국인들이 예멘에서 피랍되었으며, 노동자 2명은 풀려났다. #, #2010년 8월 8일, 예멘과 중국은 중국 수출입 상품 거래 설명회를 사나에서 개최했었다. #
2011년 2월 6일, 예멘 서부 알후다이다에서 20km 떨어진 홍해에서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당했다고 주예멘 중국대사관 무관 및 예멘내무부가 전했다. #, #, #
다만 중국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 #, #
2015년 3월, 중국은 예멘에서 자국 교민을 철수시키기로 했다. #, #, #
중국은 예멘에 있는 10개국 225명의 외국인들을 구출했다.#, #, # 이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된 영화가 홍해행동이다.
3. 대사관
중국 베이징에는 예멘 대사관이 있으며, 예멘 사나에도 중국 대사관이 있었으나 예멘 내전 이후 대사관을 임시 폐쇄했다. #4. 관련 문서
[1] 1990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는 대만과 정식 외교관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현재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