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4:14:35

독일-체코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독일·러시아·폴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동독 국기.svg
서독-동독 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바이마르 공화국-폴란드 제2공화국 관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나치 독일
파일:독일 국장.svg Außenbeziehungen Deutschland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유럽|{{{#fff,#191919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아메리카|{{{#fff,#191919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다자관계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
}}}}}}}}} ||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독일 체코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중세2.2. 근세2.3. 19세기2.4. 20세기2.5. 21세기
3. 문화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독일체코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나토유럽연합의 일원으로 솅겐 협정에 가입했기 때문에 양국 국민들은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무비자로 입국가능하다.

2. 역사적 관계

2.1. 중세

체코의 전신인 보헤미아 공국보헤미아 왕국신성 로마 제국에 속했으며, 동방식민운동의 영향으로 주데텐란트에는 다수의 독일인이 거주했다. 룩셈부르크 왕조의 강화를 바랬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 국왕이었던 카를 4세는 1356년 금인 칙서를 발표하여 보헤미아 국왕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선거에 참여할 권리를 공식적으로 부여하였다. 카를 4세는 프라하 시의회에서 자신을 독일어가 아닌 체코어로 호칭하도록 명령을 내렸고, 체코어로도 재판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라하 대학교 역시 이 당시 설립되었다. 그러나 카를 4세의 아들들 바츨라프 4세지기스문트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얀 후스를 처형한 여파로 후스 전쟁에 휘말렸다.

2.2. 근세

종교 개혁 시대에는 마르틴 루터의 영향으로 후스주의가 부활하였고 보헤미아슬레스코를 중심으로 개신교 사상가들이 출현하였다. 보헤미아의 개신교도들을 합스부르크 가문이 탄압하는 과정에서 촉발된 30년 전쟁의 결과 보헤미아 왕관령 전역에서 체코인 인구가 대폭 감소하고 빈 자리를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각지에서 온 독일인 이주민들이 채웠다.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에서는 체코어 대신 독일어 사용이 확대되었다. 한 편 프로이센 왕국은 1740년, 마리아 테레지아합스부르크 세습령 세습으로 인해 촉발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으로 보헤미아 왕관령에 속해있던 슬레스코를 합병하였다.

2.3. 19세기

1848년 혁명 당시 독일의 자유주의 사상가들은 체코인 민족주의자들을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로 초대하였으나, 체코인들은 자신들이 독일인이 아니라며 이를 거절하였다. 당시 고등교육을 이수한 체코인 대부분은 독일어를 읽고 쓸 줄 알며, 높은 수준의 독일 문화를 공유하기도 했고, 보헤미아 왕관령이 오랫동안 신성 로마 제국의 구성국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독일인들은 보헤미아 역시 신생 통일 독일이 탄생하면 합류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체코인들은 독일 통일 논의에 참여하지 않았고, 오스트리아 제국 역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전하여 독일 연방에서 축출당해 독일 통일에서 배제되었다.

1871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체코인들의 자치권을 강화하는 법률의 초안이 마련되자, 독일 제국의 빌헬름 2세는 해당 조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러시아 제국에 예속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식으로 선동하였고, 동시에 보헤미아 왕국 내 독일인/오스트리아인들에게 언제든 자신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는 발언을 남겼던 바 있다.

상술한 것처럼 체코 민족주의의 발흥 및 체코인들의 경제력 향상은 독일 민족주의 측에 상당한 위기감을 불러일으킬 수 밖에 없었는데, 첫 번째로 19세기 이래 체코인 대다수가 독일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상황에서 독일인들 중 체코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여 체코인들의 경제력이 신장될 수록 독일인들의 보헤미아 내 입지가 약화될 수 밖에 없었고,[1] 독일 역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는 프라하 대학교의 실세 자리를 19세기 후반 이후 체코인들이 가져갔기 때문이었다. 심지어 자유주의자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기도 했던 테오도르 몸젠[2]조차(즉 극단주의와는 거리가 있는 교양있는 저명한 독일인 학자가) 체코인들을 일컫어 '비문화(Unkultur)'의 심연으로 독일인들의 성취를 삼켜버릴 '야만주의의 사도'라고 비하하기도 했다.

2.4.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독일 제국이 패전 위기에 몰리자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를 중심으로 한 체코인들은 오스트로슬라브주의를 포기하고 독립하기로 결정하였고, 헝가리 왕국 산하의 슬로바키아인과 연대하여 체코슬로바키아를 건국하였다.

신생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란트에는 상당수의 독일계 주민들이 거주하였고, 이는 후일 독일과 체코 사이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나치 독일의 탄압을 피해 망명한 독일인 지식인들을 보호해주었는데, 대표적인 망명자로 외된 폰 호르바트와 토마스 만을 들 수 있다. 특히 토마스 만의 경우 체코슬로바키아 여권까지 받았다. 빈과 베를린에서 나치주의자들에게 위협을 받은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사민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사무소를 브르노와 프라하로 옮겼다. 1933년부터 뮌헨 협정까지 짧은 기간동안 체코는 스위스와 함께 당대 독일 문화의 중심지로서 기능했다. 주데텐란트를 노린 나치 독일에 의해 1938년 뮌헨 협정이 체결되어 체코슬로바키아는 분할 점령되었다.# 독일의 주데텐란트 병합에 반대하던 체코의 제2대 대통령 에드바르트 베네시는 뮌헨 협정 이후 영국으로 망명하였다. 1939년 나치 독일군의 진주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발행되던 약 60여 종의 정기간행물 상당수가 체코슬로바키아 병합 이후 폐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배하고, 체코슬로바키아는 다시금 독립을 쟁취하였다. 전후 처리 과정에서 체코에 거주하던 독일계 인구 상당수가 독일로 추방되었다. 냉전 시절에는 동독 주민들이 동서독 통일 이전에 체코를 경유하여 서독으로 망명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냉전 종료 이후인 1992년 2월 27일, 독일의 헬무트 콜 총리와 체코슬로바키아의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은 체코-독일 선언으로 알려진 우호 조약에 서명하였다.

체코는 독일에 있는 몰다우하펜[3]을 임대하는 중이고 2028년에 독일에게 돌려줄 예정이다.

2.5. 21세기

체코가 2004년에 유럽연합에 가입하면서 양국은 유럽연합 회원국이 되었다. 한 편 체코는 과거사 문제로 독일의 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해 반대하는 편이다.[4]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당시 독일 측은 유럽연합 각국이 난민 수용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한 반면 체코 측은 아프가니스탄 난민 수용에 난색을 표시하였다.# 2023년 독일-체코 국경을 넘어 독일로 밀입국하는 중동, 아프리카발 난민 수가 증가하자 독일 측에서 국경 경비를 강화하였다.#

3. 문화 교류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장기간 지배를 받는 동안 체코어에는 독일어에서 유래된 어휘 상당부분이 유입되었다. 오늘날에는 독일에서 직장을 구하는 체코인들이 많은 이유로 체코 내에서 독일어 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유사 사례로 캐나다의 퀘벡 주의 경우 앵글로폰들은 영어와 프랑스어를 동시에 다 구사하는데, 프랑코폰들은 프랑스어밖에 못해서 프랑코폰들이 앵글로폰들의 퀘백 사회의 주도권을 뺏을 것을 우려한 사례를 들 수 있다.[2] 오스트리아인이 아닌 독일인이다.[3] 독일 함부르크 안에 있는 체코조차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조차지가 되었다가, 아돌프 히틀러뮌헨 협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를 병탄하면서 독일 땅이 됐다가, 1991년 동서독 통일이 되자 다시 체코슬로바키아가 재임차를 했고,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나라가 쪼개지면서 체코의 조차지가 됐다.[4] 독일의 체코 침략은 홀로코스트 수준으로 국제적으로 공론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데텐란트를 방문한 독일인 관광객들이 "여기는 우리가 되찾아야 하는 고토이다."라는 식으로 말해서 체코인들의 어그로를 끄는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주데텐란트를 방문하는 독일인 상당수가 체코에서 쫓겨난 실향민인 적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