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04:34:59

단 보우

독현금에서 넘어옴

아시아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동아시아
대한민국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몽골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일본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이킬리 · 비잔치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코비즈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아제크 · 기작
동남아시아
베트남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태국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캄보디아 트로 · 트로 크메르
말레이시아 움방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발현​악기 ··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
비파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2현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3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공후
공후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이외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 상징 국가 · 금성홍기 · 황저삼선기
역사 역사 전반 · 응오 왕조 · 리 왕조 · 쩐 왕조 · 후 레 왕조 · 떠이선 왕조 · 응우옌 왕조 · 남베트남
정치 정치 전반 · 베트남 공산당 · 국가사회민주전선 국가주석 · 국가부주석 · 국회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TPP · IPEF · 남중국해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도이머이 · ASEAN-5 · 넥스트 일레븐
교통 철도 환경
국방 베트남 인민군 · 베트남 공화국군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문화 관광 정보 · 베트남 요리(, 고이꾸온) · 베트남 영화 · 베트남어 · 쯔꾸옥응으 · 단 보우 · 떠릉 · 단 짜인 · 한자(쯔놈, 베트남식 한자어)
인물 호찌민 · 응오딘지엠 · 쩐흥다오
지리 인도차이나 반도 · 통킹 만
사법·치안 베트남 공안부
사회 베트남 마피아
민족 베트남인 · 베트남계 미국인 · 베트남계 프랑스인 · 재러 베트남인
}}}}}}}}} ||

단 보우 협주곡 "Hoi Tuong”(회상)

1. 개요2. 상세3. 연주법

1. 개요

베트남의 전통 악기. '단(Đàn, 彈)'은 '현악기', '보우(Bầu, 匏)'는 ''을 뜻한다.

2. 상세

연주에 사용되는 줄이 하나인 독특한 악기로 영어로는 모노코드(Monochord)라고 부른다.

응우옌 왕조의 역사서인 《대남식록》에 따르면 1770년에 완성됐다고 전해지지만, 학자들은 그보다 약 1천 년 이상 오래됐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트남 속담에 "단 보우 소리는 자신밖에 못 듣는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통 단 보우는 소리가 작고 고요하다. 오늘날에는 떠릉과 함께 베트남을 상징하는 악기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남부의 베트남계 민족인 징족(京族)도 사용하며 중국에선 독현금(独弦琴)이라고 불린다.

3. 연주법

단 보우는 오른손에 작은 피크(pick)를 들고 왼손에는 물소 뿔로 만든 특이한 음 조절대(can dan)로 음을 만들어 연주한다. 줄을 튕기면 음 조절대에 연결된 공명통(박)을 통해 소리가 나온다. 원래는 굵은 대나무 통으로 몸체를 만들고 그 위에 실크 현을 달아 연주했다. 오늘날 단 보우는 개량화를 거치면서 소리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실크에서 쇠줄로 바뀌었고, 왼손의 음 조절대도 대나무보다 더 유연성이 있는 물소 뿔을 쓰기 시작했다. 또한 피크를 가로로 오가면서 터치하는 하모닉스(harmonics) 연주법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발전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