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4대 장수 어린이 프로그램 | |||
딩동댕 유치원 | (종영) | 모여라 딩동댕 | (종영) |
※ 오래 방영한 순으로 정렬 |
EBS 1TV 어린이 프로그램 딩동댕 유치원 | |||
장르 | 어린이, 인형극, 유치원 | ||
방송 시간 | 월~금 / 08:00 | ||
방송 기간 | ON AIR 시즌4 2020년 5월 4일 ~ 현재 | ||
제작 | 한국교육방송공사 | ||
채널 | EBS 1TV | ||
제 작 진 | CP | 이선희 | |
연출 | 이지현, 김정재, 원은서 | ||
작가 | 원노해, 윤예성, 박성욱[1], 오은령[2] | ||
출 연 진 | 출연 | 이선, 김필수, 이서은, 이노엘, 이규민, 김채민, 나민애 | |
성우 | 장경희, 이상준, 김예령, 장희라 | ||
시청 등급 | 모든 연령 시청가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딩동댕 유치원은 1982년 5월 31일부터 대한민국 EBS 1TV[3]에서 미취학 아동·유아 등을 위해 방송한 어린이 교육용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현재 한국에서 방송된 어린이 프로그램 중 최장수 프로그램이다.[4]2. 시놉시스
서로 다른 점을 가진 친구들이 모여,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사랑하는 법을 배워나가는 <딩동댕 유치원>! 다다샘과 함께 동물의 움직임을 춤으로 만드는 <리듬을 느껴봐>. 딩동샘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듣고 싶다면 <이야기 속으로 딩동>. 나, 너, 우리가 함께 사는 세상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딩동, 고민 있어요>!. 신기한 저금통 돈도니가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돈도니의 꿀꿀 경제>. 딩동댕 밴드와 함께 키우는 유아 문해력 시간 <말이야? 말이야!>. 다양한 코너와 친구들을 만나러 딩동댕 유치원으로 놀러 오세요!
2022년판 기준. 출처: 딩동댕 유치원 다시보기 페이지#
2022년판 기준. 출처: 딩동댕 유치원 다시보기 페이지#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딩동댕 유치원/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사
4.1. 2022년 이전
KBS 3TV(TV교육방송)에서 1981년 2월 3일부터 1982년 5월 28일까지 방영된 유아교육이 전신으로 1982년 5월 31일에 '텔레비전 유치원' 의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이 당시 KBS 3TV는 평일 오전에 방송을 하지 않았던데다가 아침에 2TV(1987년부터 1TV에서) TV유치원 하나둘셋을 편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방송시간은 오후 5시 30분, 오후 4시 30분이었고, 방송시간은 15분 정도였다. 평일 중 매일 방송은 아니었고, 다른 날 이 시간대에는 국민학교 1학년 교과프로나 부모의 시간 같은 학부모용 프로를 방송했다. 오전 유아방송은 KBS 2TV(1987년부터 KBS 1TV), 오후 유아방송은 KBS 3TV에서 분담하는식으로 역할분담이 되어있었다. 1989년부터 방송 포메이션을 좀 새롭게 만들어서 '월, 화요일은 이전과 같이 '텔레비전 유치원'으로, 수요일은 '딩동댕 유치원' 으로 이름을 바꾸어서새로운 시도들을 해 보게 되는데, 딩동댕 유치원쪽의 시도들이 좀 더 새롭고 참신하다 보니 인기가 더 있었고, 아예 교육방송공사의 유치원프로 이름을 '딩동댕 유치원'으로 바꿔버리게 된다.그 뒤 1990년 12월 27일에 KBS 3TV가 분리되어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방송부였다가 1997년 한국교육방송원을 거쳐 2000년 여름 한국교육방송공사로 개국한 이래로 계속 방송하고 있다. 다만 방송시간은 이후로도 평일 4시 30분 정도에 방송되었다가 1997년 EBS의 오전방송 시작 이후로는 아침으로 옮겨진 상황. 현재는 오전 8시부터 8시 30분까지 방영하고 있다.[5]
2012년 2월 27일부터 누리과정에 맞추어 보니하니처럼 다른 프로를 끼워서 방영되는[6] 체제로 바뀌었고, 2015년 4월 13일부터 뚜앙이 출연했고 2017년 2월 8일 8,000회를 달성했다.
2015년 4월 13일부터 2016년 2월까지는 도전이 주제라서 에피소드 제목도 "~~ 도전"이었다.
2018년 8월 27일부터 2019년 11월 8일까지 제작비 문제로 이전 방영분을 재방영했다.[7] 8월 21일부터 2019년 10월 1일까지는 두근두근 방방이라는 인서트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다.
2019년 11월 11일부터 2020년 2월 7일까지 "딩동댕 친구들 - 장난감 나라의 비밀"의 방영이 시작되면서 딩동댕 유치원은 인서트 프로그램만 방영되었다.
현재 딩동댕 유치원은 공식적으로 종영은 아니지만, 기존 유치원 포맷이 사라졌고 MBC 일밤처럼 프로그램이 분리되어 사실상 껍데기만 남은 상황이다. 심지어 기존 딩동댕 유치원 홈페이지도 종영 목록에 올라가 있어, 사내에서도 사실상의 종영으로 보고있는 듯 하다.
2020년 2월 10일부터 딩동댕 친구들의 종영으로 뚜앙이 나오는 딩동댕 유치원 방영이 재개되었다. 개편 때까지 오전 본방송에서는 딩동댕 유치원 재방송을, 오후 재방송에서는 딩동댕 친구들 스페셜을 방영했다.
2020년 5월 4일부터 새 에피소드가 런칭되었다.
4.2. 2022년 ~ 현재
4.2.1. 초기(2022년~2023년): 통합교육 및 현실적 사회 비판 위주로 전면 개편
2022년 5월 2일(봄 개편)에 들어 전면 개편되었다.# 달라진 점은 신비로운 능력을 가진 팬시형 캐릭터 중심의 전형적인 아시아권 아동용 교육 프로그램 형식에서 벗어나 세서미 스트리트와 비슷하게 인종 및 문화의 다향성을 가르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8] 이에 따라 최초로 신비로운 능력을 가진 캐릭터가 아예 등장하지 않고, 신체장애 아동, 유색 혼혈 아동 등 다양하고 개성적인 어린이 캐릭터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성우 이선이 직접 출연하여 연기하는 딩동샘과 유기견 캐릭터 댕구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2022년 8월 29일에 소폭 개편을 통해 신규 캐릭터 그룹 "달라 몬스터"[9]가 추가 투입되었고, 신규 코너[10]가 추가되었다.#
2023년 8월 15일에는 국내 최초로 자폐성 장애 아동 캐릭터 별이가 등장했다. 특히 별이가 첫 등장한 에피소드 "안녕, 별아"의 경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꼴이 날 거란 당초의 우려와는 달리 자폐 아동 부모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제작진의 말에 따르면, 후속편인 "잘했어, 별아(가칭)"는 12월 13일에 방송할 예정이라고 한다.
2023년 10월 가을 개편에서 신규 코너로 교체했으며 이 때부터 별이가 거의 고정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2023년 11월 14일에 성우 김예령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딩동댕 유치원의 3관왕 달성[11] 소식이 전해졌다. 수상 기념 커피트럭은 물론 덤.#
2023년 11월 16일에는 수능 특집 방송으로 인해 본방 시간이 재방송 시간인 오후 4:40으로 일시 변경되었다.
2023년 12월 1월, 빅이슈 코리아 312호에 커버 스토리로 게재되었다.[12] 같은 날에 여러 언론을 통해 딩동댕 유치원이 한국장애인인권상 인권실천 단체부문에서 수상했다는 소식을 알렸다.#
2023년 12월 7일,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같이 놀자, 루돌프!" 편이 방영되었는데, 이 때, 하늘이가 루돌프 역을, 딩동샘이 산타클로스 역을 맡았으며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장애인식개선교육 캐릭터 '디디'와 '코코'가 특별 출연했다.#
4.2.2. 암흑기 전조(2024년~현재): 서서히 드러나는 문제
2024년 2월 14일과 21일에는 유아 성교육 특집 2부작이 방영되었다. 원래는 52회 정도로 기획되었으나 성교육을 둘러싼 논란이 현재진행형이기에[13] 계획이 축소되었다고 한다. 다행히도 우려했던 일은 일어나지는 않았으나, 이지현 PD가 "성교육이라는 게 정치 교육이며, 민주시민의 기본적인 덕목을 갖추기 위해서 남자들은 어떻게 파트너를 존중해 줄 것인가, 여자들은 어떻게 내 의사를 주체적으로 표현할 것인가를 배우는 것이라 중요하다"며 "향후 유아 성교육을 특집이 아니라 정규 방송에 여러 회차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해 우려시되고 있다.#[14][15]게다가 8~9월이 되면 이사진과 방송 프로그램의 대개편이 이뤄지므로# 현재(2022년~)의 딩동댕 유치원에 주어진 시간은 현재 시점(2024년 6월 19일)에서 이제 사실상 2~3개월밖에 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지현 현 딩동댕유치원 PD가 기획했던 모든 에피소드와 코너는 프로그램 대개편 시점 후 자연스레 '영원한 베이퍼웨어'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024년 8월에는 전지적 어린이 시점 3부작이 방영되었다.# 다만 아직 방영 전인데도 내용 면에서는 '법과 사회적 예의범절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우선 1부의 경우, 너무 높아서 어린이들이 쓰기 힘든 것들은 사실 안전이나 도덕적인 문제로 그렇게 설계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16]이며, 어린이들이 정 지금 당장 사용하고 싶으면 그냥 부모나 어른의 도움을 받거나 아니면 유치원, 어린이집, 초등학교, 일부 고속도로 휴게소 등 일부 시설에서는 어린이에 맞게 설계된 것도 있으니 어린이들은 그걸 올바르게 이용하면 될 일이다.
2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노키즈존 지정은 엄연히 상공인의 재량인 데다 노키즈존이 성행될 만한 분명한 이유가 있음에도 제작진은 이를 차별로 규정하며 무리수를 둔 것부터가 문제다.[17] 이 역시 부모의 철처한 관리와 더불어 어린이 예절 교육 등으로도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3부는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판타지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결국 제작진이 사실상 어린이의 자력이나 부모의 교육/관리 등으로도 해결 가능한 사회적 현상을 국가나 사회에 모두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위이며, 무엇보다 상공인 등 타인의 권리와 '헌법 37조 2항'을 무시한 것이다. 대안도 이해도 없는 무개념한 '차별몰이'[18]는 '사회 혐오'를 의미한다.
또한 코너명인 '전지적 어린이 시점'은 정작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마저도 기획 시점에서 어린이들이 보기엔 수위가 매우 높은 전지적 독자 시점에서 가져온 터라 제작진의 의도가 의심될 수밖에 없다. 말 그대로 전지적 어린이 시점, 즉 '사물과 현상의 모든 것을 다 아는 어린이의 눈으로 보는 것'이니만큼 내용 자체가 편향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물론 덤. 결국 이는 딩동댕 유치원이 '유아 교육 프로그램이면서 유아 교육 특유의 정체성을 지향하지 않겠다'는 것과 같다.
정작 딩동댕유치원 제작/방영 방송사인 EBS는 1층 빼고 거의 다 노 외부인 존으로 견학/방청/방송참여 목적으로의 이용은 신청을 해야 가능하며 그마저도 제한적이다. 이는 다른 전세계의 방송국도 마찬가지. 시설 구조와 노키즈존이 '이론의 여지 없이 무조건 차별'이라는 제작진의 논리대로라면 EBS 역시 어린이와 부모를 위해 아예 사옥 전체를 키즈카페로 마개조하고 사무실에도 어린이를 포함한 외부인이 쉽게 드나들 수 있게 배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제작진의 논리는 그 자체가 모순이라는 의미다.
그나마 딩동댕 유치원이 2024 한국방송대상 작품상 어린이 부문에서 수상했다는 건 위안거리이긴 하다.# 하지만 이런 소식이 상기에서 지적받고 있는 문제와는 별개인 게 함정이다. 게다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한국방송대상이 지상파 및 종편 따라 점차 자화자찬 시상식으로 전락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라 더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심지어 추석, 설날 등의 한국 명절날을 대놓고 무시하는 경향이 보이기도 한다. TV유치원#, 뽀뽀뽀[19] 등 다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은 명절날에 특집 코너를 방영하는데, 딩동댕 유치원(2022)은 그런 거 없기 때문이다. 기껏해야 전래동화나 전래동요 정도가 전부다. 2022년 전에는 가끔씩 명절 특집 방송을 내보냈던 과거 전적을 감안하면 이는 한국 유아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심각한 퇴보다.
2024년 하반기 현재 목,금요일은 기존 방영 코너를 재방송하고 있다.(목: 딩동댕쇼, 금: 에그박사와 지구별 자연 탐험대)
5. 역대 오프닝 곡
5.1. 1982~1989년
친구들아 모두모두 모이자 아름다운 꿈동산에 모이자 노래하자 랄랄라 즐거웁게 랄랄라 좋은 꿈이 무럭무럭 자라나지요 친구들아 모두모두 모이자 텔레비전 유치원~ |
5.2. 1992~1998년
우리들은 귀염둥이(귀염둥이!) 우리들은 재롱둥이(재롱둥이!) 우리들은 언제나 사~랑을 받지요 랄랄라 신나고 즐거운 딩동댕 유치원~ 랄랄라 신나고 즐거운 딩동댕 유치원~ |
버전1
버전2
5.3. 1998~2004년/2010~2014년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딩동딩동딩동 딩동딩동댕 유치원이 열렸~다 딩~동댕 친~구야 함께놀자 딩~동댕 즐~겁게 노래해요 딩~동댕 언~제나 즐거운 내~친~구 딩동딩동딩동딩동댕~ 유~치원 |
1990년대 다장조 버전, 44초부터
2000년
2003년
나장조 버전
내림나장조+다장조 버전
딩동댕 유치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인 오프닝 곡이다.
1998년부터 처음 내보내기 시작해 2000년 초에 어레인지를 거치고 2004년 8월 27일까지 사용하다가 2004년 8월 30일부터 바로 밑의 오프닝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잊혀지는 듯하다가 2010년 2월 22일부터 1998년 오프닝으로 다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만 1998~2004년까지 사용한 곡과는 스타일이 다르다.
2012년 2월 27일부터 노래 스타일이 랩 버전으로 바뀌었고[22][23] 2013년 2월 25일부터는 발랄한 곡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2014년부터는 마지막 줄 가사만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5.4. 2004~2008년
언제라도 좋아 어디라도 좋아 친구들과 함께 모두 함께 출발 딩동댕 요리조리 둘러봐도 궁금한 것 투성이(왜지 뭐지) 혼자서는 재미없어 우리 함께 신기하고 멋진 세상 보여줄게(모여!) 걱정할 것 없어(그래 그래) 모두 알 수 있어(알아 알아) 우리만의 세상(좋아 좋아) 딩동딩동 딩동댕 유치원 |
5.5. 2008~2010년
왜 이제 온거니 알라퐁 어디에 있었니 알라퐁 난 네가 정말 정말 좋아 너의 그 작은 별까지 저 별이 반짝 반짝이면 별 빛난 마법의 문이 열린다 오늘은 또 어디로 갈까 자 함께 떠나자 딩동댕 |
5.6. 2014~2015년
신기한 버스를 타고 함께떠나요 사랑스런 친구들이 기다리는 장난감 나라 조이랜드로 함께가요 딩동딩동딩동딩동댕~ 유~치원 |
5.7. 2015~2019년/2020년
뚜뚜뚜앙 뚜뚜뚜뚜앙! 뭐든지 할 수 있어! 딩동딩동딩동딩동댕~ 유~치원 |
5.8. 2019~2020년
뚜뚜뚜앙, 뚜뚜뚜뚜앙 뚜뚜뚜앙, 뚜뚜뚜 뚜앙뚜앙. 뚜뚜뚜앙, 뚜뚜뚜뚜앙 뚜뚜뚜앙, 뚜뚜뚜 뚜앙뚜앙. 안아줘[링컨판](뚜앙), 놀아줘[링컨판2](뚜앙). 너! 나! 우리 모두 신나게 놀자.[링컨판3] 하고 싶은 게 많아, 매일매일 즐거운 하루.[링컨판4] 뛰어봐! 웃으며! 다함께 놀자![링컨판5] 뚜앙, 뚜앙! 뚜앙(야!). 노래 해볼까, 목청껏 불러. 상상해 볼까, 놀라운 이야기.[링컨판6] 날마다, 신나게, 뛰어 놀며, 하늘 향해 자라나지.[링컨판7] 뚜뚜뚜앙, 뚜뚜뚜뚜앙(뛰어봐). 뚜뚜뚜앙, 뚜뚜뚜 뚜앙뚜앙(웃으며). 뚜뚜뚜앙, 뚜뚜뚜뚜앙 너! 나! 우리모두 신나게 놀자,[링컨판8]뚜앙. |
5.9. 2020~2022년
"좋은 아침이야~"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불러요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춤춰요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불러요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춤춰요 "언제나 즐거운 딩동댕 유치원~" |
(풀버전)"좋은 아침이야~"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불러요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춤춰요 또또리 숲에 사는 네 명의 요정들 매일 아침 친구들 만나러 가요 하나 둘 셋 하하호호 밝게 웃는 또또리 친절하고 듬직한 푸푸리 천방지축 개구쟁이 떼구리 반짝반짝 재주꾼 만드리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불러요 딩동댕동 딩동댕동 딩동댕 같이 춤춰요 "언제나 즐거운 딩동댕 유치원~" |
2020년 5월 4일부터 2022년 4월까지 사용된 오프닝곡이다.
5.10. 2022년~현재
딩~동~딩~동 댕~~ 우리는 마리[A]야.(마리!) 하늘만큼 땅만큼 (하늘!) 친구들이 조아[A](조아!) 언제나 함께 하리[34] (하리~!) 딩동 딩동 딩동댕! 우리 매일 재밌어~ 우리 매일 신나지~ 우리 매일 기다려~ 딩동댕 유치원! (예!) |
6. 역대 코너
- 뚝딱이네 집 (1996년 5월 ~ 2007년 9월 7일)
- 뚝딱이랑 아빠랑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후반)
- 어떻게 할까? (2007년 9월 10일 ~ 2008년 2월 22일)
- 뚝딱이와 친구들 (2007년 9월 10일 ~ 2008년 2월 22일)
- 소리퐁퐁 알라퐁 (2008년 2월 25일 ~ 2010년 2월 19일)
- 아라아라 (2011년 2월 28일 ~ 2012년 2월 22일)
- 딩동댕 버스 (2010년 2월 25일 ~ 2012년 2월 24일)
- 로봇주먹 백두랑 (2010년 2월 25일 ~ 2012년 2월 24일)
- 알쏭달쏭 비밀의 집 (2012년 2월 27일 ~ 2014년 2월 20일)
- 장난감 나라 조이랜드 (2014년 2월 24일 ~ 2015년 4월 9일)
- 칭찬요정 뚜앙 (2015년 4월 13일 ~ 2017년 2월 24일)
- 뚜앙의 생각 놀이터 (2017년 2월 27일 ~ 2017년 11월 3일)
- 딩동댕 마을 (2017년 11월 6일 ~ 2019년 11월 8일/2020년 2월 10일 ~ 2020년 5월 1일)
- 또또리 숲 (2020년 5월 4일 ~ 2022년 4월 29일)
- 딩동댕 유치원 (2022년 5월 2일 ~ 현재)
7. 방영 목록
자세한 내용은 딩동댕 유치원/방영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8. 파생작
8.1. 모여라 딩동댕
자세한 내용은 모여라 딩동댕 문서 참고하십시오.1999년에 딩동댕 유치원의 캐릭터들이 전국을 돌며 공연하는 딩동댕 유치원 토요특집으로 시작해 2000년 10월 7일부터 모여라 딩동댕이라는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현재까지 상당수의 사람들이 모여라 딩동댕을 딩동댕 유치원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딩동댕이라는 프로그램명이 겹치고, 2008년까지 같은 오프닝 곡을, 2009년까지 같은 디자인의 로고를 공유한데다 뚝딱이와 뚝딱이 아빠라는 같은 캐릭터가 출연 중인 영향이 크다.[35]
8.2. 딩대
자세한 내용은 딩대 문서 참고하십시오.어른이 버전(?)으로 2021년 3월 2일부터 유튜브 단독으로 공개되고 있다. 당초 제목은 딩동댕 대학교였다가, 유튜브를 시청하는 어린이 시청자들에게 노출이 우려된다는 반응에 약칭이었던 딩대로 변경했다.
9. 여담
- 딩동댕 유치원 2022년판의 경우, 2022년 8월 25일[36]에 공식 종영된 방귀대장 뿡뿡이의 정신적 후속작으로도 유명하다. 방귀대장 뿡뿡이가 딩동댕 유치원 2022년판이 첫 방송되기 한창 전인 2001년에 통합교육 방식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 딩동댕 유치원 2022년판에 들어 모에 요소(갭 모에, 장애 캐릭터 모에 요소 포함)가 충만한 인간형 캐릭터가 등장했는데, 뽀로로, 스푸 등과 달리 2차 창작물이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아무래도 2차 창작이 자칫 특정 집단(유색인종, 장애인 등)에 대한 명예훼손 행위로 비춰질 수 있기에 아무래도 자제하고 있는 듯하다.
- 한편 2015년판의 뚜앙 또한 2차 창작물이 없는데, 이쪽은 그냥 전형적인 아동 교육용 프로그램의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이는 뚝딱이, 또또리 등 다른 기존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 위대한 수업과 함께 "EBS가 진정한 수신료의 가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클리앙 - 월 70원짜리 수신료의 가치를 알아보자.EBS
- 2022년판 한정으로 마법, 초능력 등 비현실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오로지 현실성에 집중하여 기획했다#는 점에서 어린이 잡지 고래가 그랬어와 유사하다. 다만, 어린이 대상 교육 프로그램 특성상 어쩔 수 없었는지 개(댕구)와 고양이(샤샤캣)가 인간처럼 직립보행을 하며 말을 한다던지 달라몬스터, 송송 등 가공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 판타지 요소가 첨가되어 있으며, 심지어 사회 문제나 옛날 이야기 등 코너의 경우 그 어떤 이야기라도 상관없이 아예 낙관주의 겸 아동 친화적으로 순화되어 다룬다. 따라서 '대놓고 불편하고 잔혹한 현실을 여과 없이 적나라하게 다루는' 고래가 그랬어와는 달리 염세주의적인 이야기나 요소는 당연히 거의 나오지 않는다.
- 2022년판에서는 중증 장애인(장애 등급 1~2급)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37] 사실 이는 통합교육의 태생적 한계에서 기인한 것이다.
10. 관련 문서
[1] 모여라 딩동댕,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등을 집필.[2] 모여라 딩동댕, 방귀대장 뿡뿡이,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등을 집필.[3] 1990년 이전에는 KBS 3TV에서 방영했다. EBS가 KBS에서 따로 떨어지기 전부터 방영했으니 얼마나 오래된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다.[4] MBC의 《뽀뽀뽀》는 1981년 5월 25일, KBS의 《TV유치원 하나둘셋》은 1982년 9월 20일에 처음 방송됐다. 즉, 뽀뽀뽀가 2013년 8월 7일에 어처구니없이 종영하기 전까지는 딩동댕 유치원이 두 번째 장수 프로그램이었다. 현재 뽀뽀뽀는 뽀뽀뽀 친구친구, 뽀뽀뽀 좋아좋아로 부활했다.[5] 편성표상 시간이며 8시부터 8시 20분까지는 딩동댕 친구들이, 8시 20분부터는 다른 인서트 프로그램이 방영된다.[6] 2019년부터는 딩동댕 유치원 - 인서트 프로그램로 나뉘어 방영되고 있다.[7] 이미 소리퐁퐁 알라퐁이 방영된 2009년과 아라아라 및 딩동댕 버스가 방영된 2011년에도 이전 해 방영분이 나갔었다.[8] 참고로 2022년 이전에는 신비로운 능력을 가진 팬시형 캐릭터가 적어도 1~2명 정도로 꼭 등장했다.[9] 삼삼, 모모, 몽글, 동글 4인조로 구성된 캐릭터 그룹.[10] "딩동, 고민 있어요"(수요일), "말이야? 말이야!"(금요일).[11] "미디어 다양성 어워즈", "8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한국장애인인권상".[12] 312호 발간 소식(인스타그램), 다시 만난 세계, <딩동댕 유치원>, EBS <딩동댕 유치원>의 프로듀서들 (1, 2)[13] 실제로 현재 한국은 인도, 중국과 함께 제대로 된 성교육이 사실상 불가능한 국가다.[14] 사실 성교육(특히 포괄적 성교육)을 대놓고 유아용 교육 프로그램에 도입하는 건 위험 부담이 매우 크다. 더구나 EBS는 공영방송이며, 포괄적 성교육의 문제점 중 하나로 지목된 선정성은 안그래도 자본 잠식 위기에 놓인 EBS에 있어 매우 치명적이다.[15] 게다가 성교육이라 하여 반드시 정치적인 교육이여야 할 필요가 없다. 일본에서는 정치가 배제된 성교육(생물학적 성교육)이 실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정치적 저항에 발목잡혀 현재까지 파행을 겪고 있는 '포괄적(정치적) 성교육'과는 달리 '정치가 배제된 성교육'은 국민의 의식 전환과 더불어 국가의 의지가 있다면 언제든지 할 수 있다.[16] 특히 세면대에서 물장난, 공중전화으로 장난전화, 벨튀, 사무실에 멋대로 들어가서 사무용 PC를 고장내어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등 어린이들이 저지른 악용 사례가 셀 수 없이 많다. 트레드밀 등 운동기구나 전동 드릴, 전동 톱 등 애초에 어린이가 쓰면 안 되는 것들을 멋대로 사용하다 각종 사고가 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의 사회예절 및 안전 교육이 사실상 필수인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또한 이건 극단적인 견해이지만, 어린이들의 바람대로 해당 시설물을 죄다 어린이 전용으로 바꾸게 되면 어른들은 어린이 전용으로 바뀐 해당 시설을 매우 불편하게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것이다. 참고로 어린이들은 청소년과 함께 법적인 구속을 받으며, 이에 따라 어린이는 공직선거 참정(투표)권, 자기결정권, 기타 부모나 교사 등이 금지하거나 제한한 행위 등이 제한되는 대신 형사처벌은 대부분 면제된다.[17] 아무래도 제작진이 노키즈존에 대해 입장 바꿔 생각해 보라는 의도로 기획한 것 같은데, 애초에 노키즈존의 성행 원인은 대개 오로지 자기들 권리만 생각할 뿐 예의에 맞게 행동할 의사가 없는 어린이와 그 부모 때문에 이뤄진 것이므로 결국 이는 적반하장이자 피장파장의 오류라 봐야 한다. 다른 선진국의 교육계에서는 이런식으로 가르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18] '합리적인 규제나 제지마저 차별로 몰거나 매도하는 행위'를 뜻한다.[19] 보통 설날 및 추석 연휴에는 휴방하는 경우가 많으나 가끔씩은 관련 특집 방송은 내보내기도 한다.[20] 해당 오프닝곡은 7년 간 사용되었다.[21] 텔레비젼 유치원보다 1년 이른 6년간 사용하였다.[22] 노래는 마지막 동이 언니인 이상미가 불렀다.[23] 2000년 1회 모여라 딩동댕에서 이미 "딩동딩동~"으로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링컨판] 신나게[링컨판2] 멋지게[링컨판3] 너! 나! 우리 모두 도전해볼까~[링컨판4] 매일매일 도전 해 봐![링컨판5] 신나게! 멋지게! 도전 해보자![링컨판6] 도전해볼래, 처음이지만 나도 해볼래, 못 할지 몰라.[링컨판7] 그래도 해볼래, 할 수 있어! 용기내 도전해 봐![링컨판8] 너! 나! 우리 모두 도전 해보자~[A] 오타가 아닌 아이들의 이름에 맞춰 부르는 것이다.[A] [34] 몬더그린 현상으로 인해 하기로 들린다.[35] 정작 이 두 캐릭터는 2010년 이후로 모여라 딩동댕에만 출연하고 있다.[36] 본방은 2021년 3월 23일에 종료되었다.[37] 등장인물 중, 자폐성 자폐를 가진 별이는 고기능 자폐증으로, 사실상 경증 장애인에 속한다. 지체장애(하반신 마비)인 하늘이도 마찬가지로 경증 장애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