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9:41:59

드래곤의 제왕

로드 오브 드래곤에서 넘어옴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1. 설명

1.1. 원작

파일:LordofD-JP-Manga-DM.png
한글판 명칭 로드 오브 드래곤 (원작 코믹스)
드래곤의 제왕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1]
일어판 명칭 ロード・オブ・ドラゴン (원작 코믹스)
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支配者, ruby=しはいしゃ)]-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영어판 명칭 Lord of D.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어둠 마법사족 1200 1100
드래곤족을 지배하는 힘을 가진 마술사.
원작 배틀 시티 편부터 카이바 세토가 사용.

작중에서는 카이바의 테스트 듀얼 중 듀얼로보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하며, 수비 표시로 소환되어 카이바의 암흑 수면으로의 초대[2]의 효과로부터 푸른 눈의 백룡을 보호했다. 이후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의 효과로 또다른 푸른 눈의 백룡을 전개했으나,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 의해 푸른 눈과 함께 전멸했다.

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는 카이바 본인이 어둠의 유우기와의 준결승 듀얼 중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유우기의 육망성의 저주를 견제하면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와의 콤보로 푸른 눈의 백룡을 추가로 전개했으나, 이후 매직 실린더[3]의 효과로 푸른 눈의 공격을 대신 받으면서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통해 비중이 대폭 증가했다. 먼저 듀얼몬스터즈 퀘스트 편에서는 빅5가 유우기 일행을 대비해 이 몬스터가 그려진 결계 '드래곤의 성역'을 필드에 깔아놓았는데, '드래곤족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전투에 참가할 수 없다'는 제약이 걸린 필드 마법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배틀 시티 편 중에는 레어 헌터 2인조와의 태그 듀얼 중 추가된 묘사를 통해서도 등장했으며, 한번에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를 2장 발동해 푸른 눈의 백룡 3장과 다이아몬드 드래곤을 전개하고 이후 등장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효과 발동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노아 편에서는 다이몬 코고로와의 듀얼 중 카이바의 덱 마스터로 지정되기도 했으며, 왕의 기억 편에서는 어둠의 바쿠라와의 듀얼 중에도 사용되었다.

유희왕 R에서는 카이바가 텐마 야코와의 듀얼 중 사용. 크로스 시프트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후 드래곤 자각의 선율과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와의 콤보를 통해 푸른 눈의 백룡 3마리를 단숨에 전개했다. 피리에 이어 기타까지 연주하는 모습이 압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덱에 넣은 카드로도 확인되었으며, 이후 만죠메 쵸사쿠만죠메 쥰과의 듀얼 중 용마인 킹드라군의 융합 소재로 사용한 것으로도 등장했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도 나오는데, 등장은 하지 못하고 카이바와 아이가미 1차전때 패에 들려있었다. 처음에 크리스탈 드래곤을 보면서 릴리스없이 소환가능하다는 것을 보면서 놀라는 장면이 나오는 순간에 확인 가능.

1.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파일:LordofD-DM3-JP-VG.png
한글판 명칭 로드 오브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ロード・オブ・ドラゴン (DM3, DM4)
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支配者, ruby=しはいしゃ)]- (DM7, DM8)
영어판 명칭 Lord of D.
일반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흑마족 마법사족 1200 1100
수많은 드래곤족을 지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마술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1.3. OCG

파일: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支配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의 제왕,
일어판 명칭=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支配者<rp>(</rp><rt>しはいしゃ</rt><rp>)</rp></ruby>-,
영어판 명칭=Lord of D.,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1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우리 형의 이 카드는 드래곤족을 뒷받침 해주는 카드야! 드래곤의 제왕 -드래곤의 지배자-"!!
모크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이 카드가 필드에 남아있는 한 드래곤족 몬스터는 효과 대상이 되지 않는다. 드래곤의 제왕!"
카이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드래곤족 몬스터의 효과 대상 지정을 봉쇄하는 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드래곤족 몬스터에게 대상 내성을 부여해주긴 하지만, 자체적인 능력치가 낮아 필드에 유지하기가 힘들다. 또한 자기 자신은 드래곤족도 아니다 보니 내성을 얻지 못하고, 서포트 카드도 드래곤족과 공유할 수도 없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용마인 킹드라군이나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발동으로 연계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카드의 지속 효과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마장전사와 상성은 좋은 편이며, 다른 드래곤족과 함께 펜듈럼 소환해서 서포트할 수가 있다. 소마장착으로 자신과 드래곤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용마인 킹드라군의 융합 소재이긴 하지만, 융합 소재는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이나 늪지의 마신왕 같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도 가능하다. 다크 그레퍼 같은 카드로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과 함께 묘지로 보내 용의 거울로 융합 소환해보는 것도 가능하며, 융합파병 같은 카드로 특수 소환해서 해당 카드의 효과로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용 서포트 카드로는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가 존재하지만, 해당 카드를 쓰려면 드래곤의 통제자를 우선시하게 될 것이다.

1기부터 존재한 카드였지만, 당시 드래곤 덱은 우수한 몬스터가 매우 적은데다, 하급 몬스터도 레인보우 피시를 이기는 카드가 없었을 정도로 능력치가 빈약했다. 따라서 이 카드와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로 푸른 눈의 백룡 같은 고레벨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전개하는 방법 말고 별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패가 말릴 확률이 높았기에 당시로서도 활용이 까다로웠으며, 전개해봤자 대상 지정 따위 없는 번개로 간단히 파괴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대상'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최초의 카드지만, '대상이 되지 않는다'라는 개념은 기존 룰 용어를 연상시키는 용법이었기에 등장 당시 일부 플레이어들의 혼란을 일으켰다. 당시 관련 서적들을 뒤져보면 번개는 모든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하느냐 아느냐를 두고 해석이 갈렸을 정도. 그 중에서는 드래곤족은 일단 보호받겠지만 드래곤의 제왕이 파괴되니 그 후에 시간차로 결국 나머지도 파괴된다는 기발한 해석을 내놓은 책까지 있었다.

원작 코믹스에서의 카드 일러스트와 실제 카드 일러스트가 같은 몇 안 되는 카드들 중 하나다. 다른 예시로는 푸른 눈의 백룡 초기 일러스트와 마그넷 워리어 알파 등이 있다.

원판 이름은 "로드 오브 드래곤 - 드래곤의 지배자". 즉, 제왕 시리즈와는 관련이 없다. 한글판은 무리한 의역 탓에 뜻이 변질되었다.[4]

2. 관련 카드

2.1. OCG

2.1.1.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파일:ドラゴンを呼ぶ笛.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일어판 명칭=ドラゴンを<ruby>呼<rp>(</rp><rt>よ</rt><rp>)</rp></ruby>ぶ<ruby>笛<rp>(</rp><rt>ふえ</rt><rp>)</rp></ruby>,
영어판 명칭=The Flute of Summoning Dragon,
효과1=①: 패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2장까지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필드에 "드래곤의 제왕"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원작에서 사장님은 이 카드랑 드래곤의 제왕과의 콤보로 순식간에 푸백 3장+a를 필드에 깐다. DM 기준으로는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그러나 자신과 상대를 가리지 않고 패의 드래곤족을 전부 불러내는 효과였기 때문에 어둠의 유우기는 배틀시티 준결승에서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해 위기를 모면한다.

이 카드가 발동되면 이미 드래곤의 제왕이 필드에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소환되는 드래곤족이 상당히 안전하다. 하지만 드래곤의 제왕이 빈약한데다 상급 2장을 뽑자니 덱 안정성이 개판이고 하급을 뽑으면 의미가 적다. 대부분 이 카드가 없거나 아니면 패에 드래곤족 카드가 없거나 할 상황이 자주 일어난다.

붉은 눈의 메탈 드래곤이나 킹드라군 등 패 특수소환 난이도가 쉬운 카드들도 있어서 평가는 낮다. 드래곤의 제왕 자체는 서치가 쉽지만 이 카드는 서치도 어렵고 드래곤의 제왕이 없을 때는 잉여. 그나마 이 카드를 서치하는 드래곤의 통제자가 있지만 보통 자각의 선율이나 부활의 광주를 선호할 것이다.

즉 이걸로 원작의 콤보를 재현하는 것은 로망에 가깝다. 확실히 요즘 들어서 전설의 백석 등의 카드로 패에 백룡이 모일 일이 늘어난 건 사실이니 아무래도 난이도가 낮아진 건 사실이겠지만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실은 시궁창.

원작에서는 어째서인지 배틀시티 vs 유우기전에서 묘지로 갈 경우 1장 드로우한다는 효과가 갑자기 생겨났다. 당연히 효과 텍스트칸에는 쓰여있지 않고, 종종 나오는 숨겨진 효과도 아닌게 그전에 이 카드가 쓰였을 때(오벨리스크 등장 듀얼)에도 이런 효과는 없었다. 또 이 카드가 묘지로 간 화에서 드로우 하는 것도 아니고 다음화에 드로우 하는 장면이 나왔다. 듀얼 전개상 카이바의 패가 부족하니 넣은 효과인 듯. 애니메이션에서는 전개를 바꿔서 이 효과는 나오지 않았다.

2.1.2. 용마인 킹드라군

드래곤의 제왕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2.1.3. 드래곤의 마녀

2.1.4. 드래곤 자각의 선율

2.1.5. 드래곤의 통제자

파일: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統制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의 통제자,
일어판 명칭=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統制者<rp>(</rp><rt>とうせいしゃ</rt><rp>)</rp></ruby>-,
영어판 명칭=The King of D.,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100,
효과1=①: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드래곤의 제왕"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드래곤 자각의 선율" "드래곤 부활의 광주" 중 어느 1장을 패에 넣는다.)]
드래곤의 통제자!!
카이바(DSOD)전용 소환 대사
패 한장을 버리고 드래곤의 통제자의 효과 발동!
카이바(DSOD) 전용 효과 대사
원판 이름은 "로드 오브 드래곤 - 드래곤의 통제자".

드래곤 부활의 광주를 보조하는 드래곤의 제왕의 리메이크 버전. 드래곤 자각의 선율에서 연주하고 있던 기타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형성이 되었다. 혼란하다 혼란해

효과가 일반 소환했을때 한정이지만 자각의 선율을 좀더 빨리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름을 드래곤의 제왕으로 취급하면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도 서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피리를 사용하기 좀더 쉬워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Legendary Collection Kaiba C06-EN002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2.1.6. 드래곤 부활의 광주

2.1.7. 드래곤의 독재자

2.2. 러시 듀얼

2.2.1. 로그 오브 데몬-데몬의 사역자

2.2.2. 드래곤의 절대자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에서 카이바가 사용하는 장면에서는 일어판을 직역한 '로드 오브 드래곤-드래곤의 지배자-'로 부르기도 했다.[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용살자.[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매지션즈 셀렉트.[4] Lord가 제왕이라는 뜻이 있긴 하다. 그러나 뒤에 멀쩡한 "지배자"라는 한자 표현을 안쓰고 굳이 "로드 오브 드래곤"만 번역해서 생긴 문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