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4:01:03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wiki style="margin: -7px"<tablebgcolor=#FF0000><tablebordercolor=#FF0000>
파일:EPFL_White_Transparent_Logo.png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fff>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EPFL)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

파일: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로고.svg

대학 정보
<colbgcolor=#FF0000>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2]]}}}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2]]}}}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2]]}}}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국립연구대학
설립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 설립일 1853년 11월 7일 ([age(1853-11-07)]주년)
설립명 École spéciale de Lausanne
총장 Martin Vetterli
소재지 Route Cantonale, 1015 로잔, 스위스
언어 프랑스어, 영어
재학생 학부생 6,428명 (2021 기준)
대학원생 6,115명 (2021 기준)
교수 340명 (2019 기준)
국적 +125
예산 ~10억 스위스 프랑 (2019 기준)
교색
Rouge (#FF0000)
[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소셜 미디어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소속 연맹 및 단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opad>
▲ 위치
<nopad> 파일: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캠퍼스.jpg
1. 개요2. 캠퍼스3. 평가4. 학과 구성5. 입학과 교육6. 출신 인물
6.1. 동문6.2. 교원
7. 관련 문서

1. 개요

대학 홍보 영상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프랑스어: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영어: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는 스위스프랑스어 사용 권역인 로잔에 위치한 연방 공과대학으로,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취리히)와 함께 2개교로 구성된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교의 일원이다.

2013년 공학부문 QS 세계 대학 랭킹 8위에 랭크된 것을 시작으로, 12년 연속 공학부문 세계랭킹 12위 이내에 위치하였다. (2017~2018년 12위, 2019~2020년 11위, 2024~2025년 10위)

종합 부문에서는 QS 세계 대학 랭킹 12위(2018), 14위(2021~2022)를 기록하였다. THE 세계 대학 랭킹 에서도 공학부문이 꾸준히 10위권, 종합 랭킹은 30위권에 랭크되고 있다.

과목별로도 전기공학, 컴퓨터공학 등 다수의 전공이 꾸준히 세계 탑 10 이내에 위치하며 그 입지를 보여주고 있다. (2023, 2024 전기전자공학 세계 6위, 7위)

영국의 옥스포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자매학교인 ETH취리히와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으로 손꼽히며, 외국인들에게 입학난이도가 굉장히 어려운것으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Reddit, Gradcafe, 인도커뮤니티 등에서 EPFL과 ETH 대학원 합격생들의 스펙을 보면 졸업 학점이 3.85/4.00 (미국의 숨마쿰라우데 수준)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일 정도로 지원자들의 수준이 높다. 이에 양질의 추천서와 연구 인턴경험 등도 중요하다.

'유럽의 MIT'라고 불리는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세계 최상위 26개 대학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독일어 사용 지역인 취리히에 위치한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이다.[2]

EPFL은 ETHZ와 함께 Swiss Federal Institutes of Technology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 중 하나로, 연구 및 교육협력, 국제교류를 위한 유럽의 선도 공과대학교 네트워크 T.I.M.E. 연합 및 CESAER 협회의 일원이며 현재 1만 2천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1853년 당시 École spéciale de Lausanne라는 사립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1869년 공립화되어 스위스 연방정부 산하로 편입되었고, 몇 번의 명칭 변경 끝에 1969년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스위스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권자라면 조건부 입학이 어렵지 않다고 하지만, 학부 안에서 학생들을 걸러내는 시스템이 매우 혹독해서, 졸업인원은 입학인원의 3할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학부 학과 중에는 기계공학, 전기공학, 컴퓨터 공학 등이 명성이 높아 인기가 많은 편이다.

2. 캠퍼스

캠퍼스 소개 영상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nopad> 파일:EPFL_campus_2017.jpg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캠퍼스

레만 호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로잔 대학교와 맞붙어 있다. 메인 캠퍼스가 있는 로잔과 더불어 4개의 다른 스위스 도시(프리부르, 제네바, 시옹, 뇌샤텔)에도 연구 분야별로 특성화가 된 캠퍼스가 있다.

3. 평가


2025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기전자공학 11위, 컴퓨터공학 15위)
2024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기전자공학 7위, 컴퓨터공학 11위)
2023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전기전자공학 6위, 컴퓨터공학 10위)
2022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전기전자공학 10위, 컴퓨터공학 10위)
2021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20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2020 THE 세계 대학 랭킹 38위
2019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Nature Institutions by normalized share-academics index - 8위
2018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2위)
2017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16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15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7위)
2014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체 19위)
2013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8위 (전체 14위)

취리히에 있는 자매 대학인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와 함께 세계최고의 공과대학교 중 하나라고 불리며 에너지, 컴퓨터 공학, 전기전자 및 마이크로 공학 등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4. 학과 구성

학교는 다음과 같이 4 개의 School과 2 개의 College 와 그 아래에 Institute (학과)로 이루어져있다.
(SB) School of Basic Sciences
(ISIC) Institute of Chemical Science and Engineering
(MATH) Institute of Mathematics
(IPHYS) Institute of Physics
(IC) Schoo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ciences
(IINFCOM) Institute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ciences
(STI) School of Engineering
(IEM) Institute of Electrical and Micro Engineering
(IGM) Institute of Mechanical Engineering
(IBI) Institute of Bioengineering
(IMX) Institute of Materials
(Neuro-X) Nuero X Institute
(SV) School of Life Sciences
(IGD) Institute for Developmental Genomics
(GHI) Global Health Institute
(BMI) Brain Mind Institute
(ISREC) Swiss Institute for Experimental Cancer Research
(IBL) Interschool Institute of Bioengineering
(ENAC) School of Architecture,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A) Institute of Architecture
(IIC) Civil Engineering Institute
(IIE) Environmental Engineering Institute
(CDM) College of Management of Technology
(MTEI)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Institute
(SFI) Swiss Finance Institute at EPFL
(CDH) College of Humanities
(IAGS) Institute for Area and Global Studies
(DHI) Digital Humanities Institute

5. 입학과 교육

모든 스위스 국립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스위스 maturité로 고등교육을 졸업했다면 바로 학사 1학년으로 입학할 수 있다. 국제 학생들의 경우에는 입학 조건이 다르며, 불어가 모국어가 아닐 경우 불어 능력 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DELF/DALF level B2).

학사과정의 첫 번째 해가 특히 잔혹한 편이다. 1학기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MAN(Mise à niveau)이라는 과정으로 옮겨 1학기 내용을 따라잡아야 하며, 일정 성적을 미칠 시, 1학년을 다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1학기 성적이 좋아 MAN을 모면했더라고 2학기를 망하면 마찬가지. 그러나 MAN으로 옮겼을 시에도 일정 성적을 미치지 못하면 퇴학이다. 이 낙제 조건들은 2학년, 3학년 때도 적용되어 많은 학생들의 두려움을 산다. 하지만 학년이 점점 올라갈수록 괜찮아진다고 하는데 익숙해진건지 멘탈이 강해진건지는 모른다. EPFL은 이공계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프랑스어권에 있는 최고의 대학이라는 명성의 메리트 때문에 2020년 이전까지 프랑스 국적의 학부 학생들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으나, 최근들어서는 그 추세가 점점 바뀌고 있다.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교에서는 석사까지 마쳐야 과학자 및 공학자라는 타이틀이 주어지기 때문에, EPFL에서도 학부 고학년까지 힘들게 올라온 이상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으면 웬만하면 석사로 진학한다.

학부 3학년 때에 교환을 갈 수 있는데, 북미&유럽&호주&동아시아 등 옵션이 꽤나 많은 편이다. 한국에도 교환신청이 가능하고,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또는 포항공과대학교로 3개의 옵션이 있다.

대학원 석사 입학은 EPFL 학부를 졸업한 인원이면 자동으로 합격처리가 되지만, 외부에서의 유학생 인원은 아주 엄격하고 경쟁적인 심사기준을 거쳐서 석박사를 뽑는다. 석사과정부터는 영어수업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불어성적이 입학조건이 아니다. 어느 한 학과의 대학원 입학을 총괄하는 교수에 따르면, 외부에서의 입학신청자의 경우에는 EPFL 학부 졸업자보다 더욱 높은 능력치를 요구하며 추천서도 3장 요구한다. 박사과정 입학의 경우, EPFL 출신 여부와 상관없이 학과와 연구실에서 엄격한 심사를 통해 뽑는다. 대체적으로 학과 프로그램에 먼저 지원해서 서류 합격을 하게 되면 지도교수 및 연구실을 찾을 수 있는 1년의 시간이 주어진다. 이 1년의 기간 동안 학위논문을 지도해 주고 박사 기간 동안 인건비를 주는 잠재적 지도교수를 찾고 면접을 통해 최종 합격을 하게 된다.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 연구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석박사과정 입학의 경쟁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6. 출신 인물

6.1. 동문

6.2. 교원

7. 관련 문서



[1] EPFL Brand Guidelines 참고[2] 독일어권에서는 ETHZ / ETHL, 프랑스어권에서는 EPFZ / EPFL이라고 부르며 하나의 연방 도메인인 ETH Domain 아래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는 두 개의 다른 대학 캠퍼스라고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