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000><tablebordercolor=#000>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Zurich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 ||||
| ||||
대학 정보 | ||||
언어별 공식 명칭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1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독일어 |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 ||
러시아어 | Швейца́рская вы́сшая техни́ческая шко́ла Цю́риха | |||
스페인어 | Escuela Politécnica Federal de Zúrich | |||
아랍어 | المعهد الاتحادي السويسري للتقانة في زيورخ | |||
영어 |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Zurich | |||
일본어 | スイス連邦工科大学チューリッヒ校 | |||
중국어 | 苏黎世联邦理工学院 | |||
포르투갈어 | Instituto Federal de Tecnologia de Zurique | |||
프랑스어 |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Zurich | |||
히브리어 | המכון הטכנולוגי של ציריך |
Freiheit und Eigenverantwortung,
Unternehmergeist und Weltoffenheit
자유와 개인의 책임, 기업가 정신, 그리고 열린 마음가짐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분류 | 공립대학 | |||
설립 | 1854년 2월 7일 | |||
개교 | 1855년 10월 16일 ([age(1855-10-16)]주년) | |||
소재지 |
, 취리히Rämistrasse 101, 8092 Zürich, Switzerland | |||
대 표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의장 | 조엘 메조 (President | 2019년–현재)[1] | ||
총장 | 귄터 디세르토리 (Rector | 2022년–현재)[2] | |||
재 학 생 | 학부 | 10,642명 (2021년) | ||
석사 | 8,299명 (2021년) | |||
박사 | 4,460명 (2021년) | |||
교 원 | 교수 | 527명 (2021년) | ||
연구원 | 2,152명 (2021년) | |||
행정직 | 3,106명 (2021년) | |||
상 징 | 교색[3] | Schwarz (#000000) Weiss (#FFFFFF) | ||
링 크 | 웹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
한인회 | KSAE | |||
소속 연맹 및 단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캠퍼스 위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본 캠퍼스 | Hönggerberg 캠퍼스 |
1. 개요
대학 홍보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1855년 스위스 취리히에 설립된 이공 계열 연구중심 대학 중 하나이다.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이름은 ETH Zurich(ETHZ), 독일 언어권에서는 ETH Zürich이다[4]. 자매 학교인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EPFL)[5]와 함께 스위스 연방 정부 기술 도메인에 속해있다.
32명의 노벨상 수상자, 2명의 필즈상 수상자, 2명의 프리츠커상 수상자, 1명의 튜링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아인슈타인, 폰 노이만, 파울리 등이 이 대학 출신이다.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26개 대학 회원 중 하나이며, 2016년 기준 THE 세계 대학 랭킹 9위, 2020년 QS 세계 대학 랭킹 6위에 등재되었다. 종합 랭킹 Top 5 에도 다수 선정된 세계 최상위권 대학이다. 화학, 수학, 물리 등의 기초 과학부터 컴퓨터과학, 로보틱스, 재료공학 등 응용 과학과 건축학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한다.
최근들어 인기가 더 상승한 요인으로, 등록금이 무료였던 유럽 본토의 대학들이 비EU권 출신 학생을 대상으로 등록금을 대폭 인상하고 있다 (2025년 기준 독일 연간 12,000 유로, 네덜란드 22,500 유로 등). 반면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의 등록금은 이와 대비하여 매우 저렴하다. 이에 취리히의 높은 생활비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이라는 고정비용을 줄여 유학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인 교수진, 연구 인프라, 동문 뿐만 아니라 박사과정의 높은 급여조건(하기 참조)은 전 세계 유학생을 유인하여 박사과정을 포함한 대학원 입학이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위스 연방공대 시스템은(ETHZ, EPFL) 학부를 졸업하는 자대 학생을 우선적으로 석사과정에 수용하기 때문에, 석사과정은 TO 자체가 적어 경쟁률이 높다. 적은 TO에 비 EU권 학생이 입학하려면 엄격한 심사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ETHZ, EPFL 두 학교는 박사와 포닥 기본연봉 테이블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의 지원과 통제 때문인듯 하다), 박사과정생 평균 약 54,000 CHF (한화 9,000만원)가 책정되어 있다. 포닥의 경우 평균 약 97,000 CHF(한화 약 1억 6천만원)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캠퍼스
캠퍼스 지도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ETH Zurich, Centre |
| |
▼ ETH Zurich, Hönggerberg | |
|
관련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대학본부가 있는 시내 캠퍼스는 강변에서 폴리반(Polybahn)을 타고 올라가면 있으며,[6] 취리히 대학교 본부와 맞붙어있다. 본부 건물의 사물함 중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학부생 시절 사용하던 사물함이 있는데, 해당 사물함은 스위스에서 가장 작은 박물관으로 꾸며져 있어서 사물함을 열어보면 아인슈타인과 관련된 간단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유서 깊고 땅값이 비싼 대도시 한복판에 있어서 시내 캠퍼스의 확장이 어려운 탓인지 1960~70년대에 취리히 외곽 횡거베르크(Hönggerberg)에 큰 신캠퍼스를 지어서 대부분 주요 시설을 이전했다. 취리히 시내와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꼭대기에 있으며, 시내 캠퍼스에서는 대중교통으로 대략 30분 거리다. 부유한 선진국의 최고 대학이어서인지 동시대에 비슷한 이유로 신캠퍼스를 지은 주요 서구권 대학들이나 연구단지와 비교해도 시설은 멋지고 쾌적한 편이다. 유럽 대도시가 으레 그렇듯 기숙사나 자취방 구하는 것은 경쟁이 매우 심하지만 취리히의 교통도 쾌적한 덕분에 시내 어디에서든 통학이 가능하다.
3. 역사
1855년 당시 설립된 학교로 1911년까지는 취리히 폴리테크닉이라는 대학으로 불렸고 그 이후에는 우리가 아는 ETH로 불리게 되었다. 1911년까지는 학사 학위만을 제공했고 그때까지만 해도 옆에 있는 취리히 대학교나 제네바 대학교에 비해 명성이나 인지도 역시 낮은 대학교였다.4. 출신 인물
4.1. 동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ETH 출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ETH 출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주요 동문 | |||||
[[게오르크 칸토어|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샤를 기욤| | [[알프레드 베르너|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
게오르크 칸토어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샤를 기욤 | 알프레드 베르너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
[[존 폰 노이만| | [[펠릭스 블로흐| | [[막스 프리슈| | [[카를 알렉산더 뮐러| | [[베르너 아르버|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존 폰 노이만 | 펠릭스 블로흐 | 막스 프리슈 | 카를 알렉산더 뮐러 | 베르너 아르버 | 카를로스 클라이버 |
[[하인리히 로러|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 [[니클라우스 비르트| |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 [[헤르초크 & 드 뫼롱| |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
하인리히 로러 | 리하르트 에른스트 | 니클라우스 비르트 |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 헤르초크 & 드 뫼롱 |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
- 나기브 사위리스 - 前 오라스콤 텔레콤 회장
- 다비드 뤼엘
- 로버트 그리즈머
- 마르셀 그로스만
- 마틴 오더스키
- 밀레바 마리치
- 발레리오 올지아티
- 베르나르 추미
- 베르너 폰 브라운
- 시몬 암만 - 스위스의 스키점프 선수
- 아르망 보렐
- 아우렐 스토돌라
- 알도 반 아이크
- 오귀스트 피카르
- 장극 #
- 조지 뷔치
- 클라우스 슈밥 - 세계경제포럼 의장
- 페르디난트 피에히
- 프리드리히 히르체브루흐
- 프리츠 츠비키
4.2. 교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ETH 재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ETH 재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1] Prof. Dr. Joël Mesot 참고.[2] Prof. Dr. Günther Dissertori 참고.[3] ETH - Colour palette[4] Polytechnikum이라고도 불린다. 시내와 언덕 위에 있는 대학교를 잇는 강삭철도에 붙은 별칭인 Polybahn이 이를 따온 것이기도 하다.[5]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와 함께 스위스에 단 둘뿐인 공과대학교이다.[6] 개요 문단의 대학 소개 영상에 나온 강삭철도. 폴리반이라는 이름은 ETH 취리히의 옛 이름에서 유래된 애칭인 Polytechnikum(의역하자면 "이공대")에서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