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3:10:31

로봇공학

1. 개요2. 과목
2.1. 좌표계 할당2.2. 로봇기구학 (kinematics)
2.2.1. 정기구학 (foward kinematics)2.2.2. 역기구학 (inverse kinematics)
2.3. 로봇속도학2.4. 로봇역학
2.4.1. 로봇 정역학2.4.2. 로봇 동역학
3. 관련 자격증4. 설치 대학

1. 개요

Robotics(로봇공학)
로봇의 설계 및 응용을 위한 학문이다. 주로 로봇공학과, 기계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3~4학년[1] 학생들이 수강한다.

2. 과목

로봇 공학은 크게 로봇역학, 로봇전기전자학, 로봇 컴퓨터과학 3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다. 로봇전기전자학, 로봇컴퓨터과학의 경우 관련된 전공 책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거나 생략하고 로봇역학에 응용해서 푼다. 이문서는 로봇 역학과 관련된 부분만 서술한다.

2.1. 좌표계 할당

로봇공학을 배우기 전에 기초를 알아보자.
로봇 공학에서 행렬에 의한 위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원점인 좌표계 역행렬 유뮤(역행렬인 경우 -1 아닌경우 생략)
[math(P)]
이동한 좌표계 위치
로봇에 좌표계의 회전와 평행이동 표현법
로봇의 위치 회전변환이나 평행이동이 일어나는 경우의 표현법이다.
우선 [math(x, y, z)]인 좌표계가 [math(\theta)] 만큼 이동한 후 좌표계를 [math(x', y', z')]라 하면 이런 기하학적 관계가 보인다.

[math(x'=x \cos(\theta)-y \sin(\theta))]
[math(y'=y \sin(\theta)+y \cos(\theta))]

이것을 회전행렬으로 나타내면
[math(R=\begin{bmatrix} \cos(\theta) & -\sin(\theta)&0 \\ \sin(\theta)&\cos(\theta)&0 \\ 0&0&1 \end{bmatrix})]

이것을 다른 y,x축 회전에 나타내면
y축 회전행렬
[math(R=\begin{bmatrix} \cos(\theta) & 0 & \sin(\theta) \\ 0 & 1 & 0 \\ -\sin(\theta) & 0 & \cos(\theta) \end{bmatrix} )]
x축 회전행렬
[math(R=\begin{bmatrix} 1 & 0 & 0 \\ 0 & \cos(\theta) & -\sin(\theta) \\ 0 & \sin(\theta) & \cos(\theta) \end{bmatrix})]
이다.
회전 변환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도 나타낸다.
Rot(회전할 기준 축, 각도)

평행이동한 경우
[math(P=\begin{bmatrix}x\\y\\z\end{bmatrix})]
평행 이동은 다음과 같은 기호로도 나타낸다.
Trans((이동할 기준축),(이동량))

Scaling을 위한 행렬
물체의 비율을 조정해준다.
[math(R=\begin{bmatrix} Sx & 0 & 0 \\ 0 & Sy & 0 \\ 0 & 0 & 1 \end{bmatrix})]

회전 운동와 평행운동을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math(T=\begin{bmatrix} R & P \\ 0\quad0\quad0\ & 1 \end{bmatrix})]

2.2. 로봇기구학 (kinematics)

로봇의 위치를 나타내는 법을 배우는 파트이다. 나타내는 방식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기하학적 방식: 예로 2축 로봇이 있다고 보자. 1번째 링크 로봇의 끝점은 [math(\begin{bmatrix}l_1\cos(\theta_1)\\l_1\sin(\theta_1)\end{bmatrix})]이다. 이제 2번째 링크를 보자. 우선 1번째 링크의 링크에서 기울어진 각도 theta1이 있는 상태에서 theta2가 더해졌다, 그래서 [math(\begin{bmatrix}l_2\cos(\theta_1+\theta_2)\\l_2\sin(\theta_11+\theta_2)\end{bmatrix})] 이다.
이 로봇의 끝점은 링크1의 끝점와 링크2의 합이므로 [math(\begin{bmatrix}l_1\cos(\theta_1)+l_2\cos(\theta_1+\theta_2)\\l_1\sin(\theta_1)+l_2\sin(\theta_1+\theta_2)\end{bmatrix})]
행렬(행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행렬(수학)에 참조) 방식:위 방식과 유도 자체는 같다. 그러나 표현 방식이 좀 다르다.
2축 로봇 끝점은 다음과 표시한다.
[math(f(x)=\begin{bmatrix}l_1\cos(\theta_1)&l_1\cos(\theta_1)+l_2\cos(\theta_1+\theta_2)\\l_1\sin(\theta_1)&l_1\sin(\theta_1)+l_2\sin(\theta_11+\theta_2)\end{bmatrix}\begin{bmatrix} x\\y \end{bmatrix})]
로 나타낸다.
문서의 가시성은 위해 본 문서는 행렬 방식으로 서술한다.
다축 로봇 처럼 구조가 간단한 로봇들은 위 처럼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모양이 복잡한 로봇은 어떻게 표시할까? 그러 때 에는 DH 매개변수로 나타내면 된다. DH 매개변수란 i번째 링크와 i+1 번째 링크의 사이의 상대적인 기하학 관계로 로봇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
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가정:
1. 모든 운동하는 축은 [math(z)]축으로 할당한다.
2. [math(x)]축은 다음 링크의 위치의 방향으로 둔다.
3. [math(y)]축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거 할당한다.

링크각도([math(\alpha)]): [math(i+1)]번째 링크 [math(x)]축 기준하여 [math(i)] 번째 링크 축의 [math(z)]축와 [math(i+1)]번째 링크 축의 [math(z)]축 간의 벌어진 각도를 말한다. [math(i+1)] [math(x)]축 기준점으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두었을 때 회전 방향와 동일하며 양의 값 반대면 음의 값을 가진다.

링크길이([math(a)]): [math(i+1)] [math(x)]축 기준하여 [math(i)] 번째 링크 축의 [math(z)]축와 [math(i+1)]번째 링크 축의 [math(z)]축 간의 벌어진 길이를 말한다. [math(i+1)] [math(x)]축 기준점으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두었을 때
기준점의 방향과 같으면 양 반대면 음의 값을 가지고 기준점과 다른 방향으로 되어있으면 0을 가진다. 상수로만 둘수있다.

관절각도([math(\theta)]): [math(i)] 번째 링크 축의 [math(x)]축와 [math(i+1)]번째 링크 축의 [math(x)]축 간의 벌어진 각도를 말한다.[math(i)] [math(x)]축 기준점으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으로 두었을 때 회전 방향와 동일하며 양의 값 반대면 음의 값을 가진다. 변수 상수로 둘수 있다.

관절길이([math(d)]): [math(i)]번째 링크 [math(z)]축를 기준하여 [math(i)] 번째 링크 축의 [math(x)]축와 [math(i+1)]번째 링크 추의 [math(x)]축 간의 벌어진 길이를 말한다.
변수와 상수로 들수 있다.

그리고 꼭 [math(z)]축 회전 [math(x)], [math(z)]축평행이동 [math(x)]축 회전 순으로 해야한다.
즉 기호로 나타내면
[math(^i_{i+1}T=Rot(z,\theta)Trans(x,a)Trans(z,d)Rot(x,\alpha))]
[math(^0_nT=^0_1T^1_2T\cdots^{n-1}_nT)]

2.2.1. 정기구학 (foward kinematics)

순기구학이란 이미 주어진 링크의 길이와 관절의 길이 각도를 통해 로봇의 끝점을 구하는 것을 말한다. 우선 구하는 방법은 절대변환와 상대변환 두가지로 볼수 있다.

2.2.2. 역기구학 (inverse kinematics)

반대로 위치를 이용해 관절의 각도를 구하는 것을 말한다. 방식은 두가지 이다.
기하학적 방식: 로봇의 구조가 간단한 경우 로봇의 끝점와 원점에 직선을 그어 그때 생기는 삼각형에 코사인 법칙을 이용해 푸는 방식
부분집합을 이용한 방식:구조가 복잡한 경우 구하고자 하는 링크의 각도를 가진를 제외한 나머지 링크를 하나의 링크로 두고 푸는 방식이다.

2.3. 로봇속도학

기구학에서 구한 위치 방정식을 미분해주면 그게 속도이다. 근데 로봇은 실린더에 의한 평행운동, 모터에 의한 회전 운동이 여러개 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 가 있기 때문에 편미분을 해야한다. 편미분한 행렬식을 나타내는 것은 자코비얀 행렬(자세한 것은 관련 문서에 참조)이다. 이 행위를 순속도학 이라 한다.
그리고 그 끝점의 속도를 이용해 관절의 각속도와 속도를 구하는 것을 역속도학이다. 로봇의 속도식은 3x1 행렬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역행렬을 구할 수 없어 유사 역행렬으로 구한다.
j^@=J^T*(J*J^T)^-1

2.4. 로봇역학

로봇의 역학은 정역학, 동역학으로 나타낸다.

2.4.1. 로봇 정역학

로봇의 운동이 없을때 물체에 걸리는 힘을 구하는 방식이다. 총 두가지로 나눈다.
오일러 뉴턴 방식: FBD에 의거한 운동 방정식을 행렬으로 나타내면 된다.
가상일 방식: 유도는 오일러 뉴턴 방식처럼 행렬으로 나타내고 그것을 자코비얀 행렬으로 나타내면 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tau=J^Tq

2.4.2. 로봇 동역학

로봇의 운동이 있을때 물체에 걸리는 힘을 구하는 방식이다. 총 두가지로 나눈다.
오일러 뉴턴 방식: FBD에 의거한 운동 방정식을 행렬으로 나타내면 된다.
라그랑주 방정식 방식: 유도는 오일러 뉴턴 방식처럼 행렬으로 나타내고 그것을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 로 나눈뒤 그것을 구한뒤 라그랑주 방정식으로 하면 된다.

3. 관련 자격증

{{{+2 {{{#FFFFFF 로봇공학 관련 자격증}}}}}}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202. 전자 기사 로봇기구개발기사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다만 현실적으로 로봇 개발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은 이런 기사를 따기보다는 대학원에서 로봇을 연구하고 입사하는 경우가 훨씬 많기 때문에 자기개발을 넘어서 취준을 위해 로봇기사를 공부하는 것을 추천하긴 어렵다. 면접관들도 '이런 기사도 있었나?', '없어도 잘만 하던데? 도움되는거였으면 다 따고 오겠지'하고 그닥 관심을 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해당 기사들의 응시자는 로봇 관련 직무 지원자 수에 비해 너무나 초라하다. 로봇 관련 논문 한 편 더 잘 쓰는 게 낫다는 것. 사실 대학생들의 통념과 다르게 기사 자격증이 큰 힘을 발휘하는 건 안전, 설비 등 이른바 '선임'을 거는 직무에 지원할 때의 얘기다. R&D쪽으로 갈수록 기사보다는 직무경험, 연구실적이 중요해진다. R&D 직무로 밥벌어먹는 사람이 적다보니, 특히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내 분야 내 직무에서 기사 중요하니까 모든 공대생들은 기사를 당연히 따야 하는거야'하고 잘 모르면서 떠드는 사람이 많다. '남들도 다 기사 있을테니 나만 없으면 손해잖아'가 R&D에서는 통하지 않는 소리다. 자격증으로 밥벌어먹는 분야가 있고 아닌 분야가 있다는 걸 구분해야 한다. 이게 정말 유용하고 로봇 취업 치트키였으면 올해 신설도 아니고 2019년에 생긴 자격증이 아직도 한 해에 필기 응시 50명따리, 실기 최합 10명따리[2]인 하꼬 자격증으로 남아있을 리가.

4. 설치 대학

고등교육기관의 학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인문계열
어문 국어국문학과 · 기타어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서어서문학과 · 언어학과 · 영어영문학과 · 인도어과 · 일어일문학과 · 중어중문학과(대외한어과) · 한문학과
인문 고고학과 · 문예창작과 · 문화재보존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미술사학과 · 사학과 · 신학과(대학원 목회자/성직자양성과정*){개신교(M.Div.*)(선교학과) · 천주교(STL*) · 원불교(M.A.*)} · 음악학과 · 한국학과 · 종교학과(기독교학과 ·불교학과) · 철학과(유학과 · PPE)
사회계열
법학 법학과
사회과학 관광학과 · 광고홍보학과 · 국제개발협력학과 · 국제학부 · 군사학과* · 경제학과(PPE) · 경찰행정학과 · 문화인류학과 · 문헌정보학과* · 북한학과 · 부동산학과 · 부사관과 · 비서학과 · 사회복지학과* · 사회학과 · 심리학과 · 아동가족학과 · 여성학과 · 장례지도과 · 정치외교학과(PPE) · 정책학과 · 지리학과 · 지적학과 · 지역개발학과 · 행정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상경 경영학과 · 금융보험학과 · 무역학과 · 세무학과 · 유통물류학과 · 회계학과
이학계열
농림수산 산림과학과 · 수산생명의학과* · 수산자원학과 · 식물자원학과 · 식물의학과 · 원예학과
생물화학 말특수동물학과 · 생명공학과 · 생명과학과 · 수의학과* · 애완동물과 · 축산학과 · 화학과
생활과학 소비자학과 · 식품영양학과* · 의류의상학과 · 조리과학과 · 제과제빵과 · 주거환경학과
수리물리 대기과학과 · 물리학과 · 수학과 · 지구환경과학과(대기과학과/지질학과/해양학과) · 천문학과 · 통계학과
의약계열
의학 의학과* · 치의학과* · 한의학과*
간호 간호학과*
약학 약학과* · 한약학과*
보건 보건행정학과* · 건강관리학과 · 안경광학과* · 방사선학과* · 응급구조학과* · 임상병리학과* · 치위생학과* · 치기공학과* · 의공학과 · 물리치료학과* · 작업치료학과* · 재활학과 · 언어치료학과*
공학계열
기계 기계공학과 · 기전공학과 · 금형공학과 · 드론학과 · 로봇공학과 · 설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전기 광공학과 · 반도체공학과 · 산업공학과 · 정보보안학과 · 정보통신공학과 · 인공지능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 제어계측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토목 건축공학과 · 건축학과* · 교통공학과 · 도시공학과 · 안전공학과 · 조경학과 · 철도공학과 · 토목공학과 · 환경공학과
화공 고분자공학과 · 나노공학과 · 재료공학과 · 섬유공학과 · 식품공학과 · 에너지공학과 · 화학공학과
학제간연구 국방기술학과 · 기관학과 · 소방학과 · 예술공학과 · 출판인쇄과 · 철도운전관제과 · 특수장비과 · 항공운항과 · 항해학과 · 해양공학과
예체능계열
디자인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학과 · 실내디자인학과 · 패션디자인학과
무용체육 경호학과 · 무용학과 · 스포츠의학과 · 체육학과
미술조형 동양화과 · 보석감정과 · 서양화과 · 조소과 · 종교미술학과 · 판화과
연극영화 공연제작과 · 극작과 · 영화영상학과 · 연극학과
음악 국악과 · 교회음악과 · 기악과 · 성악과 · 실용음악과 · 작곡과 · 음향과
응용예술 게임학과 · 귀금속공예과 · 도예과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모델과 · 목형과 · 미용학과 · 사진학과
교육계열
교육일반 교육공학과* · 교육학과* · 유아교육과* · 초등교육과* · 특수교육과*
언어문학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외국어교육과* (독어교육과/불어교육과/일어교육과/중국어교육과) · 한문교육과*
예술체육 미술교육과* · 음악교육과* · 체육교육과*
인문사회 문헌정보교육과* · 역사교육과* · 윤리교육과* · 일반사회교육과* · 종교교육과* · 지리교육과*
자연공학 과학교육과* (물리교육과/화학교육과/생물교육과/지구과학교육과) · 경영금융교육과* · 기계교육과* · 기술가정교육과* (기술교육과/가정교육과) · 농업교육과* · 수학교육과* · 수해양산업교육과* · 컴퓨터교육과* · 전기전자교육과* · 환경교육과*
비사범계열 평생교육학과* · 한국어교육학과* · TESOL학과*
기타계열
자율 자유전공학부 · 교양학부
특성화 특성화학과 · 계약학과
기타 간판학과 · 면허 부여 학과* · 유일한 학과 · 실존하지 않는 학과
- * 표시가 있는 학과는 특정 직업에 대한 자격을 부여함(해당 학과를 졸업할 경우 임용되는 형태이거나(군사과 등), 전문자격이 부여되거나(교육과 등), 전문자격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의학과 등) 경우로 한정)
}}}}}}}}} ||

4년제 기준 로봇 관련학과 개설 현황. 가나다 순 배열.


[1] 일반적으로 커리큘럼에는 3학년인 경우가 많지만 3학년 때 못들었거나 재수강을 하기도 하니 4학년도 은근히 듣는다.[2] 이것도 2023년에 갑자기 많아진거고 22년까지는 한자리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