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00022e><tablebgcolor=#ffffff,#00022e>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역대 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주요 대표팀 | 역대 로스터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유니폼 | 역대 BI | 세대별 대표팀 | 주요 경기 | ||||
<rowcolor=#ffffff>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 1999 아시아 야구 선수권 | 2000 시드니 올림픽 | 2001 야구 월드컵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 |
주성노호 [[주성노호/1998년| 1998 ]] | [[주성노호/1999년|1999 ]] | 김응룡호 [[김응룡호/2000년| 2000 ]] | 김정택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로스터#s-7.11| 2001 ]]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2년| 2002 ]] | ||
<rowcolor=#ffffff> 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 2006 WBC |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 2008 올림픽 최종예선 | |
김재박호 [[김재박호/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3 ]]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6년| 2006 ]] | 김재박호 [[김재박호/2006년| 2006 ]] | 김경문호 [[김경문호/2007년| 2007 ]] | [[김경문호/2008년/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2008 ]] | ||
<rowcolor=#ffffff> 2008 베이징 올림픽 | 2009 WBC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 2013 WBC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 |
김경문호 [[김경문호/2008년| 2008 ]] | 김인식호 [[김인식호/2009년| 2009 ]] | 조범현호 [[조범현호| 2010 ]] | 류중일호 [[류중일호/2013년| 2013 ]] | [[류중일호/2014년|2014 ]] | ||
<rowcolor=#ffffff> 2015 프리미어 12 | 2017 WBC | 2017 APBC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2019 프리미어 12 | |
김인식호 [[김인식호/2015년| 2015 ]] | [[김인식호/2017년|2017 ]] | 선동열호^^ 전임 ^^[[선동열호/2017년| 2017 ]] | [[선동열호/2018년|2018 ]] | 김경문호^^ 전임 ^^[[김경문호/2019년| 2019 ]] | |||
<rowcolor=#ffffff> 2020 도쿄 올림픽 | 2023 WBC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2023 APBC | 2024 프리미어 12 | |
김경문호^^ 전임 ^^[[김경문호/2020년| 2020 ]] | [[김경문호/2021년|2021 ]] | 이강철호 [[이강철호| 2023 ]] | 류중일호^^ 전임 ^^[[류중일호/2022년| 2022 ]] | [[류중일호/2023년|2023 ]] (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AG ]] |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 ]]) | [[류중일호/2024년|2024 ]] | |||
<rowcolor=#ffffff> 2026 WBC |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 | 2027 APBC | 2027 프리미어 12 | 2028 LA 올림픽 | |
류지현호^^ 전임 ^^[[류지현호| 2026 ]] | |||||
① KBO 리그 소속 선수 선발을 책임지는 KBO가 참여하기 시작한 대표팀이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이기 때문에 이를 시작점으로 한다. ②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는 24세 이하 대표팀이다. ③ 2001 야구 월드컵은 KBO 리그의 프로 선수가 대거 참가한 대회이기 때문에 특별히 포함한다. | |||||
아마추어 야구 대표팀 목록 → | |||||
<colbgcolor=#00022e><colcolor=#fff> 류지현호 TEAM KOREA | ||
감독 | 류지현(Ryu Ji-hyun) | |
주장 | - C | |
킷 스폰서 | - | |
팀 스폰서 | - | |
참가대회 | 202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
최종성적 | ||
선수성적 |
| |
2024년 | 2026년 | 2027년 |
<colbgcolor=#f5f5f5,#050505><colcolor=#1e2776,#fff> 컬러 | 홈 | 어웨이 |
모자/헬멧 | ||
상의 | ||
하의 |
[clearfix]
1. 개요
202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 감독 선임 및 대회 준비
직책 | 이름 | 소속 | 비고 |
전력강화위원장 | 조계현 | 前 KIA 타이거즈 단장 | |
전력강화위원 | 류지현 | KBS N SPORTS 해설위원 | |
정민철 | MBC SPORTS+ 해설위원 | ||
강인권 | 前 NC 다이노스 감독 | ||
허삼영 | 2024 KBO 경기운영위원, 前 삼성 라이온즈 감독 | ||
이동욱 | 前 NC 다이노스 감독 | ||
김강민 | 前 SSG 랜더스, 한화 이글스 선수 |
- 2025년 1월 24일, 전력강화위원회에서 차기 국가대표팀 감독을 류지현으로 선임하였다.# 다만 류지현 감독은 이미 전력강화위원으로 임명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른바 '셀프 선임'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2][3] 결과적으로 조계현 전력강화위원장의 유임, 류중일 감독의 수석코치였던 류지현이 감독으로 승격한 배경에는 2023년에 KBO가 발표한 'KBO 리그 · 팀 코리아 레벨 업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를 202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으로 잡은 만큼 지도자 구성은 큰 변화 없이 2026 WBC까지 유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4]
3. 코칭스태프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bordercolor=#00022e><rowbgcolor=#FFFFFF><rowcolor=#00022e> 직책 || 등번호 ||<-2> 이름 || 소속 || 비고 ||
<colbgcolor=#00022e><colcolor=#FFFFFF> 감독 | 76 | 류지현 | Ryu Jihyun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임 | |
수석코치 | # | ||||
투수코치 | # | ||||
타격코치 | # | ||||
배터리코치 | # | ||||
작전·주루 코치 | # | ||||
불펜코치 | # | ||||
QC코치 | # |
4. 선수단 구성
4.1. 예비 엔트리
예비 엔트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소속팀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
<rowcolor=#000,#fff> 우 | 좌 | 우 | 좌 | 우 | 좌 | 우 | 좌 | |||
KIA | 0명 | - | - | - | - | - | - | - | - | |
삼성 | 0명 | - | - | - | - | - | - | - | - | |
LG | 0명 | - | - | - | - | - | - | - | - | |
두산 | 0명 | - | - | - | - | - | - | - | - | |
kt | 0명 | - | - | - | - | - | - | - | - | |
SSG | 0명 | - | - | - | - | - | - | - | - | |
롯데 | 0명 | - | - | - | - | - | - | - | - | |
한화 | 0명 | - | - | - | - | - | - | - | - | |
NC | 0명 | - | - | - | - | - | - | - | - | |
키움 | 0명 | - | - | - | - | - | - | - | - | |
상무 | 0명 | - | - | - | - | - | - | - | - | |
해외파 | 0명 | - | - | - | - | - | - | - | - | |
<rowcolor=#000,#fff> 합계 | 0 | 0 | 0 | 0 | ||||||
<rowcolor=#000,#fff> 총 합계 | 0 | }}}}}}}}} |
4.2. 최종 엔트리
4.2.1. 반응
4.3. 일정 및 평가전
5. 개인기록
5.1. 타자
<rowcolor=#fff> 이름 | 경기 | 타석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사사구 | 삼진 | 도루 | 희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0 |
5.2. 투수
<rowcolor=#fff> 이름 | 경기 | 선발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탈삼진 | 사사구 | ERA | 투구수 |
0 | 0 | 0.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6. 평가
7. 여담
8. 관련 문서
[1] 전임 감독 선임 시 후보 추천,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선발, 대표팀에 대한 비전 및 중·장기적인 발전 방안 제시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전년과 비교하여 장종훈, 강성우, 서재응 위원이 하차하고 강인권, 허삼영, 이동욱, 김강민 위원이 합류하였다.[2] 류지현 감독이 차기 국가대표 감독 후보 명단에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강했기 때문에 전력강화위원회 구성 당시에도 류지현 감독을 전력강화위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을 표하기도 했었다. 야구부장의 1월 20일 라이브 방송 중에서도 전력강화위원들의 셀프 추천 가능성이 넌지시 언급된 바 있다.[3] 대표팀 감독을 2월 초에 선임할 것이라는 예측이 강했는데, 정작 전력강화위원회 회의가 1월 21일에 단 한 번 개최된 후 곧바로 선임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서도 성급하다는 지적이 있다.[4] 그러나 일각에서는 류지현 감독이 LG 트윈스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국가대표팀 코칭스태프에 합류할 때 차기 국가대표팀 감독 자리를 약속받고 코치직을 승낙했고, 따라서 전력강화위원회 회의와는 무관하게 차기 국가대표팀 감독은 그 전부터 이미 류지현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냐는 견해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