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2:00:50

리나스 라운치카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00><tablecolor=#373a3c><tablebgcolor=#ffff00> 파일:Team Vitality 로고(블랙).svgTeam Vitality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ffff00><colcolor=#000000> 감독 [[제임스 맥코맥|제임스 맥코맥
Mac
]]
코치 [[파트릭 수코프-브레움|파트릭 수코프-브레움
Pad
]]|알렉산더 카트라이트
Carter
로스터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규태|경규태
Photon
]]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나스 라운치카스|리나스 라운치카스
Lyncas
]]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프랑스 국기.svg [[빈센츠 베리|빈센츠 베리
Vetheo
]]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체코 국기.svg [[마티아슈 오르샤크|마티아슈 오르샤크
Carzzy
]]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crwn.pn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지드라베츠 갈라보프|지드라베츠 갈라보프
Hylissang
]]
LEC 참가팀 로스터 }}}}}}}}}
리나스 라운치카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A24><tablebgcolor=#131A24> 파일:LFL_logo_white.png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2019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LDLClogo_square.png HiRit · Djoko · Eika · Comp · SteeelBackR
서머
파이널 Sleeping · Djoko · Eika · Comp · SteeelBackR
2020 스프링 파일:GamersOrigin.png Shemek · bluerzor · toucouillee · SMILEY · HuslinbeasT
서머
파이널 파일:Misfits_Premier_logo.png Agresivoo · Kirei · Ronaldo · SAKEN · Jezu · Targamas
2021 스프링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Adam · Cinkrof · SAKEN · xMatty · Targamas
서머 파일:Misfits_Premier_logo.png Agresivoo · Shlatan · Sertuss · Woolite · Jactroll
파이널
2022 스프링 파일:1200px-LDLC_OL_allmode_full.png Ragner · Yike · Eika · Exakick · Doss
서머
2023 스프링 Kryze · White · Backlund · Jeskla · Zoelys
서머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Cabochard · Cinkrof · SAKEN · Caliste · Targamas
2024 스프링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Maynter · Lyncas · Vladi · Caliste · Flesh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A24><tablebgcolor=#131A24> 파일:LFL_logo_white.png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

3rd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2024 스프링 파일:Gentle_Mates_lightmode_2024.png파일:Gentle_Mates_darkmode_2024.png Ragner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Lyncas 파일:BK_ROG_Esportslogo_square.png Czekolad 파일:BK_ROG_Esportslogo_square.png Hans SamD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Stend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E0925><tablebgcolor=#3E0925> 파일:NLC_2022_icon_allmode.pngNorthern
LoL Championship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2020 서머 파일:fnatic rising.png Pride · Dan · MagiFelix · xMatty · Bravado
2021 스프링 파일:JDXLlogo_square.png Orome · Markoon · Hatrixx · Deadly · Advienne
서머 파일:Tricked_Esport_logo.png Madly · Taxer · Poulsen · DenVoksne · Lucky
2022 스프링 파일:X7_Esportslogo_square.png Jaeger · Haru · Tempt · Nata · Kasing
서머 파일:Dusty_full_lightmode.png파일:Dusty_full_darkmode.png Kerberos · Lyncas · Backlund · DenVoksne · Stend
2023 스프링 파일:Riddle_Esports_newlogo_square.png Banderas · Winter 7 · FireRain · jinjo · Kidah
서머 파일:Nativzlogo_square.png Shikari · Stefan · Vladi · DenVoksne · Twiizt
2024 스프링 파일:Lionscreed 로고.png Banderas · Yohan1 · Tempt · jinjo · Kasing
}}}}}}}}} ||

파일:KCB_Lyncas_2024_Split_1.webp
<colbgcolor=#ff0><colcolor=#000> Team Vitality
Lyncas
리나스 라운치카스 (Linas Nauncikas)
출생 2003년 12월 10일 ([age(2003-12-10)]세)
국적
[[리투아니아|]][[틀:국기|]][[틀:국기|]]
포지션 정글
소속
[ 펼치기 · 접기 ]
Void Blue
(2019.04.11 ~ 2019.04.16)
Flayn Esports
(2019.05.11 ~ 2019.09.30)
iANT Gaming
(2019.10.08 ~ 2019.11.??)
Zeta Team
(2019.12.02 ~ 2019.12.??)
PENTA 1860
(2020.01.16 ~ 2020.05.02)
Resolve
(2020.05.29 ~ 2020.11.05)
ad hoc gaming
(2020.12.21 ~ 2021.05.26)
WAVE Esports
(2021.05.26 ~ 2021.09.22)
Atleta Esport
(2021.10.11 ~ 2021.11.12)
MOUZ
(2022.01.02 ~ 2022.05.19)
Dusty
(2022.05.19 ~ 2022.11.17)

Team GO
(2022.12.13 ~ 2023.11.22)
Karmine Corp Blue
(2024.01.03 ~ 2024.05.13)
Team Vitality
(2024.05.13 ~ )
1. 개요2. 행적3. 여담

[clearfix]

1. 개요

리투아니아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ECTeam Vitality 소속 정글러.

2. 행적

03년생 리투아니아 국적 정글러이다. 유럽 한때의 화석 익스틴트, 엑스페케 원딜과 돌림판을 돌았던 토스터(...) 등 리투아니아 국적 프로게이머는 유럽 롤씬에 희귀했고 차라리 한때 잔자라에게 고통을 주던 원딜러 옵티마스 등 LCL 쪽에서 활약이 더 두드러졌었는데[1] 인구도 적은 나라에서 거물급 유망주가 간만에 하나 튀어나왔다.

2021년까지 기껏 진입한 프라임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할 정도로 ERL에서 돋보이지 못했던 린카스가 급격히 포텐이 터진 것은 2022년이다. 스프링 시즌 PL에서 전성기 LCL 베가 스쿼드론과 UoL의 탑미드였던 보스, 노만즈와 호흡을 맞춰 팀을 정규시즌 3위로 끌어올렸고, 당시 떨어지는 뷰어십을 EM 성적으로 만회하기 위해 영혼까지 자금을 끌어모으던 NLC로 서머에 스카웃된다. Dusty에서 린카스는 나머지 3명이 철저히 희생했을 때 원딜러 덴복스네와 함께 쌍끌이를 맡았으며 이는 같은 2022년에 서머 헤레틱스의 도장깨기 전까지 압도적 EM 최강 리그로 인식되던 LFL을 완벽하게 주름잡은 야이크-엑사킥 콤비의 마이너카피 버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바텀라인의 덴복스네-스텐드가 LDLC와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약한 라인전으로 고전했음에도 백전노장 미드라이너 백룬드의 플레이메이킹과 린카스의 캐리력이 만들어낸 시너지는 상당했으며, 여기에 원딜러인 덴복스네도 딜링 하나만큼은 확실해서 린카스와 시너지가 굉장했다. 사실상 팀 전체가 린카스의 위력을 극대화하며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EM 8강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자신들의 상위호환으로 여겨졌던 LDLC에게도 세트를 따내고 3세트 초반에도 우세를 점하며 EM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러나 떨어지는 범용성[2]에도 불구하고 LEC 콜업도 가능하다고 평가되던 린카스의 2023년 행선지는 바이탈리티의 대재앙 듀크가 지도하는 Team GO였다. 그렇게 팀원 개개인의 메카닉만 보면 LFL, EM보다 오히려 LEC에 더 어울린다는 슈퍼팀 로스터로 시즌 중반까지 반타작을 하는 등 그야말로 바이탈리티를 넘어 전 LEC 역사의 대재앙으로 기록되었던 듀크절대로 이 듀크[3] 아니다의 명성에 어울리는 답답하고 부진한 성적이 이어졌고 이 피해는 딜러진인 투쿠이와 제주보다는 운영의 중심이 되어줘야 하는 정글 서폿의 린카스 카밀러스가 더 많이 떠안았다.

그래도 그 평균적으로 지지부진한 와중에 높은 무대에서 다양한 챔프로 자신의 고점을 증명한 사실만큼은 위안거리이며, 덕분에 트림비와 함께 2024년 엑셀의 정글서폿 조합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비록 이그나 영입과 피치의 재신임으로 카르민코프 2팀에 둥지를 틀게 되었지만, 프랑스인들의 가슴이 차가워지는 순간 뜨거운 감자 저우양보가 멸망했을 때 언제든 LEC 기회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2년 전의 셰오와 동갑인 03년생의 나이로 LEC 데뷔가 미뤄지는 점은 영 아쉽지만, LFL에서도 듀크에게서 해방되어 2023년과는 다른 자신을 증명했을 때 2025 시즌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높은 주가를 올릴 수도 있다.

3. 여담




[1] 발트 3국으로 묶이는 에스토니아에는 한때 전설의 프큐신과 함께 유럽 롤판 3Q를 구성하던 히큐가 있었고, 그보다 더 전에 시즌 3 롤드컵에서 각 팀의 5옵션을 담당했던 갬빗의 보이들과 프나틱의 푸슈도 에스토니아 출신이라서 한때는 제법 활약이 돋보였(?)다. 라트비아의 경우 LCL 시절 갬빗의 원딜러로 이름이 있었던 블라스팅과 역시 LCL 준우승, 독일 프라임리그 우승에 빛나는 시가나리 등 LCL 쪽 활약이 더 돋보인 편.[2] 물론 스프링 PL 정규 3위 당시 정글 메타는 신짜오 중심의 갱킹 및 교전 어그로 핑퐁 메타였다. 어디까지나 당시 EM 검증을 받지 못했다는 의미.[3] 링크를 건 듀크도 LPL NiP에서 반년만에 경질되긴 했지만 본인만의 잘못이라기엔 기대받던 유망주 드림, 노망주 샤오롱바오 등의 기대 이하 부진을 무시할 수 없어서 감히 프랑스의 듀크와 비교되는건 실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