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턴 투 서울(2023) RETOUR À SÉOUL | |
| |
장르 | 드라마 |
감독 | 데이비 추 |
각본 | |
제작 | 하민호 |
주연 | 박지민 오광록 |
조연 | 루이스 도 데 렌쿠에사잉 김선영 요안 짐머 한국화 허진 손승범 레진 비알 에멜린 브리포드 |
촬영 | 토마스 파벨 |
편집 | 두니아 시초브 |
음악 | |
미술 | 신보경, 최치열 |
의상 | 이충연 |
촬영 기간 | |
제작사 | 맑은시네마 |
수입사 | 엣나인필름 |
배급사 | 엣나인필름 |
개봉일 | 2022년 5월 22일(칸 영화제) |
개봉 국가 | |
화면비 | |
상영 타입 | 디지털 |
상영 시간 | 119분 (1시간 59분) |
제작비 | |
마케팅비 | |
월드 박스오피스 | |
북미 박스오피스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4,507명 (최종) |
스트리밍 |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링크 |
1. 개요
2023년 개봉한 프랑스의 드라마 영화.2. 예고편
===# 1차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3. 시놉시스
"다시 서울로 돌아가요 당장!"
우연히 자신이 태어난 서울로 리턴한 25세 프레디,
어쩌다 한국 부모를 찾으면서 시작된
어쩌면 운명적인 여정을 담은
2023년 우리가 열광할 완전히 낯선 영화
우연히 자신이 태어난 서울로 리턴한 25세 프레디,
어쩌다 한국 부모를 찾으면서 시작된
어쩌면 운명적인 여정을 담은
2023년 우리가 열광할 완전히 낯선 영화
===# 스틸컷 #===
4. 등장인물
<nopad> |
프레디 (박지민 扮) |
<nopad> |
한국 아빠 (오광록 扮) |
- 테나 (한국화 扮)[1]: 게스트하우스의 주인.
- 한국 고모 (김선영 扮)
- 막심 (요안 짐머 扮)
- 안드레 (루이스 도 데 렌쿠에사잉 扮)
- 한국 할머니 (허진 扮)[2]
- 동완 (손승범 扮)
- 루시 (에멜린 브리포드 扮)
- 레진 비알 (지젤 브누아 扮)
5. 수상 이력
- 제75회 칸 영화제 -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6. 여담
- 결말 장면은 원래 알제리에서 찍으려고 했지만 촬영이 허가되지 않은 지역이라 무산되어 루마니아에서 찍게 되었다고 4월 25일 열린 이동진 평론가 진행의 GV에서 데이비 추 감독이 밝혔다.
- 프레디가 'Maman. Je suis désolée de ne pas t'avoir écrit. Je crois que je suis heureuse. J'espère que toi aussi yeon-hee.'라는 문자 메시지를 번역기를 돌려서 한국어 메시지를 복붙하여 보내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 복붙한 내용은 번역기의 발번역[3]으로 인해 "엄마 편지를 못 써서 미안해요. 나는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너도 연희야."로 되어 있었다. 실제 프레디가 의도한 문구는 "엄마. 편지를 못 써서 미안해요. 나는 행복하다고 생각해요. 나는 당신도 행복하길 바래요. 연희가."였다.
- 프랑스로 입양된 프레디를 연기한 박지민은 프랑스로 입양된 것은 아니지만, 초등학교 2학년 때, 프랑스로 이민을 간 한국계 2세라는 측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은 점은 일치한다. #
- 박지민은 데이비 추와 각본 단계에서 프레디 캐릭터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해서 수정했다고 한다. #
- 이 작품은 본업이 미술가인 박지민의 연기 데뷔작이 되었다. 박지민은 이 작품 진행 후 배우 활동에 대해 묘한 매력을 느껴서, 한국 개봉 시점에서 배우 섭외 제안이 들어온 작품을 살펴보았다고 한다. #
- 데이비 추 역시 프랑스에서 태어난 캄보디아계인데, 영화 속의 프레디처럼 스물다섯이 되기 전에는 캄보디아에 가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 #
- 데이비 추가 그의 한국인 입양아 친구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4] 극 중에서 군산에서 생부를 만난 프레디와 달리, 실제의 친구는 진주에서 생부를 만났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