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4:34:20

마름모삼십면체

카탈랑 다면체
Catalan Solid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마름모십이면체
(↔육팔면체)
마름모삼십면체
(↔십이이십면체)
삼방사면체
(↔깎은 정사면체)
삼방팔면체
(↔깎은 정육면체)
사방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삼방이십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오방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육방팔면체
(↔깎은 육팔면체)
육방이십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연꼴이십사면체
(↔마름모육팔면체)
연꼴육십면체
(↔마름모십이이십면체)
†오각이십사면체
(↔†다듬은 육팔면체)
†오각육십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안의 다면체는 해당 카탈랑 다면체의 쌍대 다면체인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는 카이랄성 다면체(거울상이 원본과 같지 않은 다면체)
}}}}}}}}}

1. 개요2. 마름모삼십면체에 대한 정보
2.1. 다른 도형들과의 관계
3. 여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hombictriacontahedron.gif
카탈랑 다면체 중 하나인 마름모삼십면체의 모습.

1. 개요

마름모三十面體, Rhombic triacontahedron(복수는 -hedra)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중 하나인 십이이십면체쌍대다면체. 면들이 모두 마름모형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마름모의 예각의 경우 한 꼭지점에 5개, 둔각의 경우 한 꼭지점에 3개씩, 예각은 예각끼리, 둔각은 둔각끼리 모인다. 면의 형태 V3.5.3.5[1]이다.

면추이 도형이므로, 이론상으로 던졌을 때 각 면이 위에 올 확률이 모두 같기 때문에 공평한 삼십면(d30) 주사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삼십면체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주사위이다.

2. 마름모삼십면체에 대한 정보

꼭지점(vertex, 0차원)32개
모서리(edge, 1차원)60개
면(face, 2차원)마름모 30개
쌍대십이이십면체
이면각144º

한 변의 길이가 [math(a)]인 마름모삼십면체가 있을 때

마름모(면)의 긴 대각선의 길이 = [math(a\sqrt{\dfrac{10+2\sqrt5}{5}})][2]
마름모(면)의 짧은 대각선의 길이 = [math(a\sqrt{\dfrac{10-2\sqrt5}{5}})]
한 면의 넓이 = [math(\dfrac{2\sqrt{5}}{5}a^2 )]
내접구의 반지름 = [math(\dfrac{\sqrt{25+10\sqrt{5}}}{5}a)]
겉넓이(surface area) = [math(12\sqrt5a^2)]
부피(volume) = [math(\displaystyle4\sqrt{5+2\sqrt5}a^3)]≈12.31073a^3

2.1. 다른 도형들과의 관계

3. 여담

마름모삼십면체가 한 변에 3개가 모이면 콤팩트 쌍곡벌집이 된다. 이것의 쌍대는 {5,3,4}를 alternative 식으로 응용한 벌집이 된다.


[1] 한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구성이 3.5.3.5인 다면체의 꼭지점을 다면체 중심과 꼭지점을 이은 직선에 수직한 면으로 정확히 잘라내었을 때 생기는 단면의 쌍대 다각형과 같다는 뜻이다.[2] 짧은 대각선의 정확히 (1+√5)/2배, 즉 짧은 대각선과 황금비를 이룬다. 따라서 마름모삼십면체의 전개도는 작도할 수 있다.[3] 어떤 다면체의 꼭지점을 면으로, 면을 꼭지점으로 대체한 다면체를 쌍대 다면체라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