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0-16 21:26:15

메탈슬러그 5 엘리트/2.0 이전/보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메탈슬러그 5 엘리트/2.0 이전보스의 변경사항 및 추가된 보스만 서술할 것.
메탈슬러그5 엘리트의 구 데모버전 시절 보스에 대한 사항의 문서이다.
구 데모버전을 플레이하는 유저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보스 난이도는 플레이 가능한 보스만 표기해두었습니다.

1. 기존 보스2. 신규 보스
2.1. 프토레마이크 빅 셰이
3. 기존 중간보스4. 신규 중간보스
4.1. 골드 유닛 리더(Gold Mecha Leader)4.2. 더 키시 5(KEESI V)4.3. 알렌 엘리트(메카 알렌)4.4. 프톨레마이오스 아이언 노카나4.5. 바벨탑(Tower of babel)4.6. 감시 타워
5. 더미 데이터
5.1. 슈퍼 호즈미

1. 기존 보스

1.1. 메탈 리어

파일:external/213a7c681100981be378fa5cfe9cc6b02f9d6803f907f493a2f423ddd2370aec.jpg

보스 난이도:★★★★☆
★★★☆☆(슬러그)

보스맵의 구성과 특징 : 불의 회랑 인근 호수
초창기 개발 때는 전투 초반에 비가 오기도 했으며 비가 오는 날씨이기도 했다. 현재에 근접해지자 낮의 배경으로 확정. 메탈슬러그 1TANI - OH처럼 보스를 상대하기 위해 맵에서 이동가능한 범위가 존재한다.
엘리트 신병이거나 초보의 경우는 블랙하운드를 타고 붙어서 공격만 하면 간단히 격파되니 참고. 숙련자의 경우는 메탈슬러그로 상대해도 된다. 대신 컨트롤을 많이 해야한다. 슬러그를 내려둔 상태에서 메탈리어가 앞바퀴로 내리치면 기존은 박살났지만 엘리트에서는 아무런 피해가 없으니 참고.

1.2. 대형공중공모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_00022_00177.jpg
보스 난이도:★★★★★

기존과 달리 엘리트에서는 비행장 후반에서 모습을 드러낸다.(리메이크된 비행장에선 미등장. 향후 추가될 듯)
이를 목격한 정규군은 비행장 끝에서 메탈슬러그에서 내린 후 슬러그 플라이어로 갈아타서 추격한다.

보스 맵의 구성과 특징 : 프랑스 파리로 가는 성층권 상공 (메탈슬러그 3의 우주 파트를 제외하면 시리즈 중 가장 높은 상공이다.) 초창기 개발 때는 어두운 성층권 상공이 아닌 날이 조금 흐린 성층권 상공의 배경이었다.

가속도 시스템이 적용되는 2번 패턴의 경우, 구름이 평소보다 빠르게 지나간다. 슬러그 플라이어에 한해서는 맵의 최상 상공과 최하 상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슬러그 플라이어 자폭 버그는 삭제되었다.

현재까지 엘리트 보스들 중에서 슬러그가 제일 중요한 보스전이다. 다른 보스도 슬러그가 없으면 고생하지만, 2보스만큼은 슬러그없으면 정말로 고생한다!(비행속도의 차이나 보스의 체력 등...)

여담으로, 이 보스의 이름값이라고 할만한 컨셉아트에만 있고 원작에서는 쓰이지 못한 소형플라이어 소환 패턴은 제외되었다. 난이도 문제로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안타까워하는 팬들도 있다. 리부트되어서 재등장할 수도 있으니 기대해보자.

1.3. 스크리머

파일:보스 2.png 파일:보스 3.png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_00029_00049.jpg
보스 난이도;
1차전-★★★★☆. ★★★☆☆(슬러그)
2차전-★★★★☆
보스맵 구성과 특징 : 프랑스 파리 프톨레군 건물 상층부에 오면 유리창 밖에 대기 중인 보스가 보이는데, 조금 가까이 가면 음파로 유리창을 깨면서 보스전이 시작된다. 유일하게 초창기 개발 때와 현재 확정된 보스전 배경이 일치한다. 추가된 거라면 2차전 뿐. 메탈슬러그5 엘리트의 모든 기존 보스들 중 제일 많이 수정되었다. 슬러그 거너R로 보스에게 파일벙커를 사용하는 건 사정거리 상 불가능하다.
슬라이딩 사망 방지를 위해 아래로는 드물게 발사한다. 그 대신 기존과 달리 한 방향에서 2발 이상으로 발사하기도 한다. 골드슬러그거너가 있다면 정면으로만 있으면서 공격해주면 회피된다.그 대신 로켓의 비행 속도가 느려졌으나 조준이 장난아니게 정교해졌다.
골드 슬러그 거너의 경우 점프 상태나 하단으로 피격되지 않으면 회피된다.
패턴은 침략자의 왕의 페이즈 3과 유사한 화염탄 패턴 뿐이지만, 가속도 시스템이 적용되어 화염탄이 매우 빠르게 떨어진다. 플레이어의 횡축 이동이 느리기 때문에 보급 무기로 제때 화염탄을 부수지 않으면 위험하다. 보급은 화염탄 파괴시 투 머신건이나 그레네이드 런처 중 랜덤. 2차전 중 보스 근처로 가면 보스가 빠르게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죽는다.

여담으로 데모버전1.04에서는 2차전에서 공격이 불편했다. 6의 침략자의 왕 3페이즈처럼 다방면으로 공격이 가능했기때문. 1.05부터는 왼쪽을 보고만 공격이 가능하도록 조치되어서 2차전이 매우 편해졌다.
보스 격파 시 플레이어는 낙하산을 펼치고 내려온다.

여담으로 도중 뻘짓을 하지 않았거나 흡혈을 잘 활용해서 슬러그 거너R을 가져왔다면 1차전의 경우는 엘리트 보스들 중 가장 편하고 간단하게 격파가능하다.

알렌 엘리트는 초창기부터의 설정으로는 낙하산을 타고 탈출해서 살아남는다. 그래서 그가 미션4에서 격추당한 수송선을 지키기 위해 파견되어서 정규군과 다시 재회하는 것.

제작자가 개발을 재개한이후 나온 신규 스프라이트 에서 스크리머 조종수가 후방에 나온뒤 바주카를 들고있는 모습이 나오는데 딱 2.0 이전의 2페이즈때 사용될것으로 추정된다.

1.4. 샌드 마린

파일:보스 6.png

보스 난이도;★★★★★

보스맵 구성과 특징 : 한밤의 중동 사막 한복판. 초창기 개발 때는 사막의 배경이 낮이었다. 1차 보스 프톨레마이오스 빅 셰이 격침 이후에 플레이어가 있는 사막 모래 속에서 등장한다.

패턴들은 2보스 대형공중함모처럼 변형된 패턴이 많다. 1번 패턴의 경우는 이동하면서 공격하기도 해서 진짜 잠수함 보스다운 공격을 선보인다.

파일:솔데로커도접고들어가는유성탄풍년.jpg
엘리트 보스들 중 유일하게 보스에게 끼이는 버그가 존재해서 보스에게 끼일 시 꼼짝달싹 못하게 된다.[3] 알렌 엘리트도 최종 3차전에서 드디어 노다이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해서 노다이가 불가능하다. 향후 슬러그가 추가되고 끼임 버그가 수정되면 가볍게 노다이 가능할 듯. 보급이 후해서 5보다는 쉽다는 평이 지배적. 1번 패턴과 끼임 버그만 아니면 피할 만 하다.
상대할 시에는 주기적으로 나오는 드롭 샷이나 그레네이드 런쳐로 맹공을 가하면서, 끼이지 않도록 거리를 넓히고 상대하는 것이 관건이다.

세월이 어느 정도 흐른 2019년6월3일
샌드마린 노다이 격파자가 나왔다.
알렌 엘리트 최종전을 최초로 노다이 격파한 엘리트 전문 유튜버 Marco Korean이 아닌 해외 플레이어이며
이 플레이어는 감옥탈출작전도 노다이하는 등 미션4를 노다이로 플레이하는 엄청난 플레이를 선보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PTT7JOqatk&list=WL&index=160&t=0s

1.5. 스톤 터틀

파일:/20150130_17/kcl100_1422576424967D95lp_JPEG/1506435_904247019605287_1119971793845627948_n.jpg
몇 년이 넘도록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메탈슬러그5 엘리트 최고의 미스테리의 보스.
(스포일러 주의!!!)
파일:스톤터틀 풀바디.jpg
(제작자의 페이스북에 있던 전체 모습)


원작에서 삭제된 파이널 중간 보스였으나 미션 5의 보스로 등장한다. 초창기 개발 때부터 확정.엘리트의 파이널 미션이 초창기 개발대로 미션6가 될 시에는 파이널 보스 악령의 화신과 천동탑 직전의 미션 보스가 되므로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보스맵 구성과 특징 : 메탈슬러그 최초의 수중 보스전으로 보스전 장소는 전 세계에서 제일 깊은 수심을 자랑하는 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 근처 해연. 초창기 개발 때는 태평양인 건 일치하나, 마리아나 해구 정도의 심해는 아니었다. 초창기 개발에서는 테러범 잠수부 병력과 미니터틀을 소환했다. 현재는 미니터틀만 소환할 듯. 초창기 개발 영상에서 공개된 것으로 추측하면 보스를 상대하기 위한 이동 구간이 존재할 듯 하다.
5보스이자 메탈슬러그 시리즈 사상 최초의 수중전 보스전이기에 결코 쉽게 나올 거 같지 않다.

몇 년 넘게 공개가 안되는 상태이므로 사진에서 드러난 패턴으로 추측해서 서술해둔다. 마리아나 해구 밑바닥에 도착하자 심해인 데도 불구하고 엄청난 진동이 울리면서 스톤터틀이 걸어오면서 등장할 듯.

첫 공개 이후부터 정식 공개까지 5보스로 등장과 수중전 보스전이라는 것으로 큰 이목을 받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보스 영상이 공개되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보스이다. 첫 공개 당시 테스트 영상을 제외하면 아무런 영상도 올라오지 않았다. 이는 엘리트의 미션 보스들 중에서 유일하다. 7월말에 신 엔진이 적용된 신 데모버전의 출시가 예고되었는 데, 이 때 등장하길 기대해보자.

만약 이 때 등장하면 엘리트 최고 미스테리의 보스가 드디어 그 모습과 위용을 드러내는 것이다
아쉽지만 이번 데모버전에서도 미등장했으며, 구 데모버전 기준으로는 유일하게 미공개 보스로 남게되었다.
리부트 된 버전에서 그 모습을 드러낼 듯.

보스 테마곡은 3D의 루구스 BGM, Out of Control을 사용한다. 다만 패턴의 변화에 따라서 메탈슬러그의 명곡 중 하나인 First contact가 나올 것으로 추정하는 유저들도 소수 있다.

1.6. 사악의 화신

정보 부족. 확실한 것은 메탈슬러그5 엘리트의 최종 보스라는 것. 삭제 패턴이 부활하였으며 신규 패턴도 대량 추가되었다. 초창기 개발 영상대로라면 엘리트 최강 보스다.

다른 보스들과 달리 격파 모습도 테스트에서 공개되었는 데 격파되면 기존과 달리 완전히 소멸당한다. 그리고 그 직후에 대망의 엔딩이 진행될 듯 하다.

여담으로 슬러그로 보스전을 치를 지는 아직은 알 수 없다. 만약 슬러그를 가져온다면 슬러그 거너R이 유력하다.

2. 신규 보스

2.1. 프토레마이크 빅 셰이

파일:부보스 4.jpg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_00116.jpg

보스맵 구성과 특징 : 프토레마이크군 중동 사막 기지 출구 인근의 저녁이 된 사막 한복판. 초창기에는 한낮의 사막 한복판이⁸었다.

원작의 미션 4 보스가 둘이었다가 삭제되었던 점에 착안하여 제작자가 추가한 보스. 메탈슬러그3D의 빅 셰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제작했다고 밝혔다. 원래는 알렌 엘리트를 쓰러뜨리고 난 후 기지에서 탈출해서 사막에 나오면 모래 속에서 나타나지만, 현재는 패턴 수정을 위해 임시 삭제되었다. 샌드 사이먼과 함께 재등장할 예정.

제작자가 페이스북에서 이 보스와 샌드 마린 중 하나를 고르는 투표를 게시한 적 있기에 삭제될 수도 있다. 현재는 구 테스트 영상에서 밝혀진 것만 서술한다.

격침 시 샌드마린이 뒤이어 모래 속에서 나타난다. 데모 버전 1.05.2 에서는 미등장. 이를 보아 신 엔진이 적용된 데모버전에서 재등장할 듯.

그러나...
2.0 이후 새로 개설된 제작자의 체널에 올라온 3번째 커스텀 스 프 라이트 영상에서 조종석 부분과 프톨레마이크군 깃발 부분, 새로운 함포의 모습이 공개되어 등장이 확정된 상태로 추정되었으며...결국 5월11일에 완전한 모습이 공개됨으로서 복귀가 완전히 확정되었다.

3. 기존 중간보스

3.1. 블랙 하운드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Ptoleslug.gif

보스난이도
미션1;★★★★★. ★★★☆☆(슬러그)
미션3;★★★☆☆

패턴은 기존과 동일하나 변형 패턴이 추가되어 기존보다 난이도가 많이 올라갔다. 메탈슬러그5 엘리트를 처음 해본 유저라면 어느 정도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엄청 고생한다.

3.2. 매머드 타워(가칭)

정보 부족. 초창기 영상에서의 패턴을 서술해둔다.

원작의 테마곡이 나온다.

3.3. 프톨레마이오스


파일:부보스 3.png
스톤 터틀과 마찬가지로 원작에서 삭제된 중보스. 정보 부족이지만 일단 확실한 것은 메탈슬러그5 엘리트의 최종 보스 직전의 중간 보스다.

초창기 개발 영상으로 패턴을 서술한다.
페이크 최종보스답게 전용 태마가 추가되었는데 메탈슬러그 3D의 Shout of Sadness.
이 곡은 3D 파이널 보스 2단계 류의 테마음으로 천동탑과 제대로 맞아떨어진다.

4. 신규 중간보스

4.1. 골드 유닛 리더(Gold Mecha Leader)

파일:부보스 1.png
파일:external/postfiles16.naver.net/1_00061_00038.jpg

보스 난이도; ★★★★☆.★☆☆☆☆(골드 슬러그 거너 시)

미션 3에서 추가된 중간보스. 설정상 프토레군의 유닛(레벨아머)들을 통솔하는 지휘관형 유닛으로 더미 데이터인 금색 거너 유닛을 아머 유닛으로 만든 형태이다. 전용 음악은 메탈슬러그4의 보스전 테마인 The Scene of the Hard battle.

직진 루트로 진행해 슬러그 거너R를 탈취하고 보스 스테이지로 진입하기 직전 강습해 오며 환풍구 루트일 경우는 폭주한 블랙 하운드와 대치중이기에 함께 싸우게 된다.[5]
패턴은 다음과 같다.
골드슬러그거너를 잃고 왔다면 정말 어렵다. 잃고 왔을 시에는 최대한 어그로를 끌어서 철권로봇을 소환하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4.2. 더 키시 5(KEESI V)

파일:부보스2.png

보스 난이도
★★★★☆. ★★★☆☆(슬러그 초퍼 탑승시)

미션4 초반에 등장하는 테러범 프톨레마이오스군의 비석 수송선.
설정상 수송기이자 메탈슬러그 2 보스였던 더 키시의 5번째 모델으로 메탈슬러그 세컨드 미션의 미션 35의 보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초창기 전용 음악은 메탈슬러그3D의 보스전 테마. 현재 전용 음악은 미션4 배경음으로 변경없이 진행된다.
브라브 게리에처럼 각 구간을 파괴하는 방식이다.
1구간을 파괴시 더이상 호위기인 제트플라이어는 나오지 않으므로, 2구간으로 넘어가기전에 제트플라이어1대를 체력을 많이 깎은 뒤, 피하면서 공격하다가 꼬리날개를 파괴하면 빠르게 남겨둔 제트플라이어를 격추시키면 2구간 공격이 편하다.슬러그 콥터의 체력이 3이상이 아니면 격추당할 수 있다!
살짝 어색한 점이라면 꼬리날개와 후면부가 파괴되어도 엔진 파괴시까지 멀쩡히 날아다니는데 전익기가 아닌 이상 꼬리날개가 파괴된 시점에서 비행 방향을 잃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야 정상이다.2045년의 기술력으로 커버하는 건가

4.3. 알렌 엘리트(메카 알렌)

파일:/20150922_129/kcl100_1442915533735FgO9y_JPEG/10157281_803460813017242_1516427419100127114_n.jpg

파일:부보스 2.png
마지막 대망의 3차전에서의 모습

보스 난이도

1차전;★★★★☆
2차전;하단의 프톨레마이오스 아이언 노카나 참조.
3차전=최종전; ★★★★★★★★★★

현재 플레이가능한 메탈슬러그5 엘리트 보스 중 역사상 최강의 보스이자 노다이 격파하는데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보스
미션3 보스에 탑승했다가 미션 4의 중간보스로 3번 등장한다! 전용 음악은 메탈슬러그 7메탈슬러그 XX 버전인 Assault Theme.
상체는 사이보그 형태로 방독면을 쓰고 있다. 기존 알렌 오닐보다 엄청나게 어려워졌다. 알렌 오닐의 약점을 모두 보완해서 상대하기가 정말로 어려우며 특히 마지막 3차전은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난이도가 상당히 극악한 것으로 유명하며 데모 1.05.2 버전에서 하향되었으나 여전히 그 악랄함을 유지하고 있다. 가장 쉬운 난이도에선 체력이 3분의1만 남을 시 폭주 패턴이 등장하는 데, 달갈 폭탄 던지는 수가 2개로 증가한다. 폭주 전은 1개만 던지며, 하단 폭탄은 3번만 던진다. 마지막 3차전은 1차전보다 체력이 높으니 참고할 것. 이 점으로 인해서 그를 엘리트 현존 최강 보스로 강림하게 된 점이기도 하다.

3차전 난이도의 노다이 클리어가 드디어 등장했다!(42:48)

리부트된 이후에도 강한 위용을 드러낼 지는 미지수. 워낙 악명 높았다보니 엄청난 하향은 확정적.[7]

4.4. 프톨레마이오스 아이언 노카나

파일:보스 5.png

보스 난이도; ★★☆☆☆.★★★★★(테러범 병력이 대거 지원되었을 시)

알렌 엘리트와의 1차전이 끝나면 뒤에서 등장하면서 알렌 엘리트를 태우고 간다. 2차전에서 공격해야 하는 중간 보스이다. 메탈슬러그 4의 더미 데이터로 남은 아이언 노카나 도트[8]를 개조하였다. 전용 음악은 초창기 더 키시 5의 배경음. 메탈슬러그 최초로 격파가 불가능한 보스이기도 하다.

보스 전용 ost는 3D 모덴군 BGM 배경음으로 긴박함과 긴장감이 넘쳐흐르는 추격전 보스전인 2차전에 잘 어울린다.
(본래 KEESI V의 배경음이었으나 변경되면서, 프톨레마이크 아이언 노카다에게 넘어왔다.)

기존 메탈슬러그에는 없는 새로운 방식의 보스전인 추격전 보스전[9]이다. 소환되는 호위병력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지며, 패턴은 다음과 같다.

4.5. 바벨탑(Tower of babel)

파일:스톤터틀.jpg
전체 스프라이트[11]
원작의 스톤터틀을 초거대화 하였으며 루츠 마즈와 주피터인들의 왕보다도 훨씬 크다. 이동타워라는 컨셉 아트를 제작자가 감안한 듯 하다. 아마 메탈슬러그 모든 보스들 중에서 라그네임 다음으로 제일 큰 보스가 될 듯 하다.

일단 크기가 크기인 만큼 초대형 스톤터틀의 전체 규모가 보이는 형태로 전투가 진행된다. 그로 인해서 플레이어는 작게 보인다.

초창기 개발 영상에서의 패턴만 서술한다.

격파시 타워 내부로 진입할 듯. 빨려들어가면서 진입하는 게 기존의 컨셉아트이나 게임메이커 한계 위험도 있으므로 파괴하고 고공 점프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동요새신전의 일원답게 전용 테마가 추가되었다. 해당 전용 테마곡은 메탈슬러그 6 파이널 보스 침략자들의 왕....
바벨탑의 거대한 덩치에 어울리게 코즈믹 호러를 유발하는 훌륭한 bgm 선정이다....

4.6. 감시 타워

초대형 스톤 터틀 내부에서 등장할 것으로 추측되는 중간 보스. 어드밴스의 최종 보스를 리메이크시켰다.

페이스북 사진으로만 등장해서 아직 자세한 정보는 없다. 확실한 건 엘리펀트 타워 전 중간 보스 일 듯 하다.
현 시점에서 5보스 스톤터틀과 함께 스포일러가 아예 없는 보스이다.
스톤터틀이 공개된다면, 유일하게 미공개 보스로 남게될 것으로 보였으나
신 데모버전에서 자세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감시타워를 끝으로 구 데모버전에서의 보스 추가는 완전히 종식되고 이후 바통은 신 데모버전으로 넘어갔다.

5. 더미 데이터

5.1. 슈퍼 호즈미

파일:호즈미.jpg
슈퍼 호즈미의 스프라이트
제작자의 옛체널에서 목격되었다. 스프라이트는 기존호즈미의것 이며 하체부분추가[12],모덴군 마크 삭제등 그래도 수정을 거쳤으나... .결국 삭제되고만다. 호즈미의 패턴에추가가 1개있는데 바로.. '울트라 샷'으로 호즈미의 광탄 발포부분에서 루츠 마즈가 쓰던 것과 같은 발사체를 차징하고 발포하는것이다.패턴 발동 시에는 프톨레마이오스군 성우도 나오고 기뢰나 어뢰,광탄을 쏘는 패턴도있는등 꽤나 많이 신경을 쓴 보스이나 왜 삭제되었는 지는 불명. 리부트 버전에서 중간 보스로 재등장할 지도 모르니 지켜봐야한다.

메탈슬러그5 엘리트의 미션1 신 BGM 아트에서 정말 오랜만에 등장했다.
몇 년 만의 재등장이며 재등장된 걸로 보아서는 미션5 중간 보스 등장이 유력하다.


[1] 슬러그 플라이어의 경우라도 그대로 타고 진행한다. 기존에서는 어이없게도 내리고 날아가지만...[2] 데미지 판정이 아닌 총탄 피격회수로 판정[3] 보스에게 잘못 끼여서 사막 안으로 끌려갈 시 진행불가 버그 당한다...하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어서 보스가 이동하면 끼임에서 풀린다. 허나 그 사이에 죽을 확률이 높다..[4] 인공지능 오류로 폭주하여 정지시키기 위해 유닛(레벨아머)들이 출격했다.[5] 원래 적 메카인 만큼 공격은 중립 판정.[6] 레벨아머의 삭제 패턴 로켓 런쳐를 부활시킨 패턴으로, 밸런스 조절을 위해서 로켓 런쳐 대신에 추가했다고 제작자가 밝혔다. 대체한 이유는 로켓 런쳐의 유도성이 매우 위협적이기 때문이다.[7] 전투는 할수없으나 리부트에선 불의 화당 수호자를 일격에 추락시키고 비석을 탈취하는 모습이 나왔다.[8]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 냥코 대전쟁 콜라보 유닛 '아이언 노카냥'으로 재활용된 그 도트 맞다.[9] 브라브 게리에가 추격전으로 기획되었으나 불발되었다.[10] 병력을 소환하지 않으나, 위쪽에 박격포를 탑재했다.[11] 몸통은 미완성인지 어색하다...[12] 앞부분에 포대가 달린 콕핏은 아이언 노카나의 화염 방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