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 Linear Algebr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6ab8> 기본 대상 | 일차함수 · 벡터 · 행렬 · 선형 변환 | |
대수적 구조 | 가군(모듈) · 벡터 공간 · 내적 공간 · 노름 공간 | ||
선형 연산자 | <colbgcolor=#006ab8> 기본 개념 | 연립방정식(1차 · 2차) · 행렬곱 · 단위행렬 · 역행렬과 크라메르 공식 · 가역행렬 · 전치행렬 · 행렬식(라플라스 전개) · 주대각합 | |
선형 시스템 | 기본행연산과 기본행렬 · 가우스-조르당 소거법 · 행사다리꼴 · 행렬표현 · 라그랑주 보간법 | ||
주요 정리 | 선형대수학의 기본정리 · 차원 정리 · 가역행렬의 기본정리 · 스펙트럼 정리 | ||
기타 | 제곱근행렬 · 멱등행렬 · 멱영행렬 · 에르미트 행렬 · 야코비 행렬 · 방데르몽드 행렬 · 아다마르 행렬 변환 · 노름(수학) | ||
벡터공간의 분해 | 상사 · 고유치 문제 · 케일리-해밀턴 정리 · 대각화(대각행렬) · 삼각화 · 조르당 분해 | ||
벡터의 연산 | 노름 · 거리함수 · 내적 · 외적(신발끈 공식) · 다중선형형식 · ∇ · 크로네커 델타 | ||
내적공간 |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에르미트 내적) | ||
다중선형대수 | 텐서 · 텐서곱 · 레비치비타 기호 | }}}}}}}}} |
1. 개요
멱영행렬(冪零行列, nilpotent matrix)이란 거듭제곱했을 때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이 되는 행렬, 즉 영행렬의 제곱근행렬 또는 n제곱근행렬을 뜻한다.2. 정의
어떤 자연수 [math(m)]에 대하여 [math(N^m=O)]를 만족시키는 정사각행렬[1] [math(N)]을 멱영행렬이라 한다.3. 대각화, 삼각화 가능 여부
멱영행렬의 소멸다항식이 [math(x^m)]이므로, 최소다항식은 어떤 자연수 [math(r\leq m)]에 대하여 [math(x^r)]이고, 고유값은 0뿐이다. 따라서 대각화 가능하다면, 대각화 시 0행렬이 되므로, 대각화 가능한 멱영행렬은 0행렬밖에 없다. 한편, 최소다항식이 1차식 [math(x)]의 곱 꼴이므로, 항상 삼각화 가능하고, 삼각화 한다면, 대각 성분은 모두 0인 strictly triangular matrix가 된다.4. 성질
n차 정사각행렬 중 영행렬은 n의 값에 관계없이 멱영행렬이다.멱영행렬 [math(N)]에 대해서 [math(N^m=O)]가 성립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실수 [math(k)]에 대해 [math(kN)] 역시 멱영행렬이다.
- 증명 : [math((kN)^m=k^mN^m=k^mO=O)]
- 멱영행렬의 전치행렬 [math(N^T)] 역시 멱영행렬이다. 즉 [math((N^T)^m=O)]이다.
- 증명 : [math(N^m=O)]와 전치행렬의 성질 [math((N^k)^T=(N^T)^k)] ([math(k=1,2,...)])를 이용하면, [math((N^T)^m=(N^m)^T=O^T=O)]이므로 결론적으로 [math((N^T)^m=O)]가 성립한다.
- 임의의 행렬 [math(A)]에 대해서 [math((ANA^{-1})^m=(A^{-1}NA)^m=O)]
- [math(N^{m+k}=O)] (단, [math(k=0,1,2,...)])
최소다항식이 1차식까지 인수분해되는 임의의 정사각행렬 [math(A)]에 대해, 다음 두 조건
- [math(A=D+N)]
- [math(DN=ND)]
[math(p={p_{1}}^{r_{1}} \cdots {p_{k}}^{r_{k}})]
로 인수분해될 때, [math(f_{i}=\displaystyle\prod_{j \neq i} {p_{j}}^{r_{j}})]라 하면, [math(\displaystyle\sum_{i=1}^{n}f_{i}g_{i}=1)] 을 만족시키는 다항식 [math(g_{1},\cdots,g_{n})]이 존재하는데, 다음이 성립한다.[math(D=\displaystyle\sum_{i=1}^{n}c_{i}f_{i}(A)g_{i}(A))]
5. 행렬의 크기에 따른 멱영행렬
5.1. 일차정사각행렬
일차정사각행렬 [math(A=\begin{pmatrix}a\end{pmatrix})]의 멱영행렬은 [math(a=0)]일 때의 영행렬 [math(A=\begin{pmatrix}0\end{pmatrix})]이 유일하다.5.2. 이차정사각행렬
이차정사각행렬 [math(A=\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에 대해 [math(A^2 = \begin{pmatrix}a^2+bc & b(a+d) \\ c(a+d) & bc+d^2\end{pmatrix})]가 영행렬이 되어서 [math(A)]가 멱영행렬에 속하기 위해서는, 즉 [math(A^2=O)]가 되려면 다음 중 하나의 꼴이어야 한다.- [math(d=-a)]일 때 : [math(a^2+bc=0)]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math(A=\begin{pmatrix}a & b \\ -a^2/b & -a\end{pmatrix})] (단, [math(b\ne0)]) 꼴 또는 [math(A=\begin{pmatrix}a & -a^2/c \\ c & -a\end{pmatrix})] (단, [math(c\ne0)]) 꼴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math(a=b=k)]일 때 (단, [math(k\ne0)]) [math(A=\begin{pmatrix}k & k \\ -k & -k\end{pmatrix})] 꼴의 모든 행렬
- [math(a=k, b=-k)]일 때 (단, [math(k\ne0)]) [math(A=\begin{pmatrix}k & -k \\ k & -k\end{pmatrix})] 꼴의 모든 행렬
- [math(a=0, b=k)]일 때 [math(A=\begin{pmatrix}0 & k \\ 0 & 0\end{pmatrix})]
- [math(a=0, c=k)]일 때 [math(A=\begin{pmatrix}0 & 0 \\ k & 0\end{pmatrix})]
- [math(b=c=0)]일 때
- [math(a^2=0, d^2=0)]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유일한 해는 [math(a=d=0)], 즉 영행렬인 경우뿐이다.
5.3. 삼차정사각행렬
Wolfram Alpha에 따르면 삼차정사각행렬[math(\begin{pmatrix}a & b & c \\ d & e & f \\ g & h & i\end{pmatrix})]
가 제곱했을 때 0이 되는 멱영행렬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꼴 중 하나여야 한다.- [math(a=b=c=d=e=f=i=0)]
- [math(a=b=c=d=g=0, h=-\displaystyle\frac{e^2}{f}, i=-e)] (단, [math(f\ne0)])
- [math(a=b=c=0, g=-\displaystyle\frac{de}{f}, h=-\displaystyle\frac{e^2}{f}, i=-e)] (단, [math(f\ne0)])
- [math(a=b=d=e=g=h=i=0)]
- [math(e=\displaystyle\frac{bd}{a}, f=\displaystyle\frac{cd}{a}, g=-\displaystyle\frac{a^2+bd}{c}, h=-\displaystyle\frac{a^2b+b^2d}{ac}, i=-\displaystyle\frac{a^2+bd}{a})] (단, [math(a\ne0, c\ne0)])
5.4. 일반화
주대각선의 모든 성분이 0인 n차정사각행렬 중[math(N_H=\begin{pmatrix} 0 & a_{12} & \cdots & a_{1(n-1)} & a_{1n} \\ 0 & 0 & \cdots & a_{2(n-1)} & a_{2n}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vdots \\ 0 & 0 & \cdots & 0 & a_{(n-1)n} \\ 0 & 0 & \cdots & 0 & 0\end{pmatrix})]
및 그 전치행렬의 꼴이라고 할 수 있는[math(N_L=\begin{pmatrix} 0 & 0 & \cdots & 0 & 0 \\ a_{21} & 0 & \cdots & 0 & 0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vdots \\ a_{(n-1)1} & a_{(n-1)2} & \cdots & 0 & 0 \\ a_{n1} & a_{n2} & \cdots & a_{n(n-1)} & 0\end{pmatrix})]
꼴의 행렬은 멱영행렬로, [math((N_H)^k, (N_L)^k)] (단, [math(k=1,2,...)])는 [math(k\geq n)]일 때 영행렬이 된다.
꼴의 행렬은 멱영행렬로, [math((N_H)^k, (N_L)^k)] (단, [math(k=1,2,...)])는 [math(k\geq n)]일 때 영행렬이 된다.
n차 정사각행렬 중 다음과 같은 경우는 제곱했을 때 영행렬이 되는 멱영행렬이다. 이때 [math(H_n, V_n)]은 서로 전치행렬 관계이다.
[math(H_n=\begin{pmatrix} a_1 & a_1 & \cdots & a_1 \\ a_2 & a_2 & \cdots & a_2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a_n & a_n & \cdots & a_n\end{pmatrix}, V_n=\begin{pmatrix} a_1 & a_2 & \cdots & a_n \\ a_1 & a_2 & \cdots & a_n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a_1 & a_2 & \cdots & a_n\end{pmatrix})]
(단, [math(a_1+a_2+...+a_n=0)])[1] 정사각행렬이 아닌 경우 행렬의 거듭제곱이 정의되지 않기 때문에 멱영행렬이 존재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