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bd600><tablebgcolor=#fbd600> | 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오토 아도 | 티에리 무유마 | 조나단 맥킨스트리 | 파울루 두아르테 |
에밀리아노 테 | 콜린 벤자민 | 에리크 셸 | 니콜라스 뒤퓌 | |
휴고 브로스 | 에자키 바두 | 토마스 코조 | 레즐리 노치 | |
장 피에르 바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eunion_FA.png | 아델 암루셰 | 알리우 시세 | 코랑탱 마르틴스 | |
칼리스토 파수와 | 통 생피에트 | 왈리드 레그라귀 | 기욤 물렉 | |
아리츠 로페스 가라이 | 시키뉴 콘데 | 게르노트 로어 | 모레나 라모레볼리 | |
브라마 트라오레 | 에티엔 은다이라기제 | 리카르도 몬산토 | 파페 티아우 | |
랄프 장 루이 | 패트릭 드 와일드 | 제임스 아피아 | 모하메드 칼론 |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 파트리스 보멜 | 공석 | 시피소 은티바네 | |
메사이 테페리 | 폴 푸트 | 호삼 하산 | 헤메드 술레이만 | |
아브람 그랜트 | 공석 | 리고베르 송 | 압두라흐만 오키에 | |
미하엘 네스 | 라울 사부아 | 마르크 브리스 | 부비스타 | |
베니 매카시 | 스테파노 쿠신 | 에메르스 파에 | 이자크 은가타 | |
세바스티앵 드사브르 | 헤메드 술레이만 (임시 감독) | 다레 니봄베 | 사미 트라벨시 | |
<colbgcolor=#f7f7f7,#191919>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Botswana national football team | ||
| ||
<colbgcolor=#00A2E8> 이름 | 모레나 라모레볼리 Morena Ramoreboli | |
출생 | 1981년 1월 1일 ([age(1981-01-01)]세) | |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젠달 | ||
국적 |
| |
직업 | 축구 선수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00A2E8><colcolor=#000000> 선수 | 불명 |
감독 | 말루티 FET 칼리지 FC (2013~2014) 아프리칸 워리어스 FC (2014~2015) 남아공 대표팀 (2021 / 감독 대행)[A] 즈와넹 갤럭시 FC (2021~ ) 남아공 대표팀 (2023 / 감독 대행)[A] 보츠와나 대표팀 (2024~2025 / 임시 감독) 보츠와나 대표팀 (2025~ ) | |
국가대표 | 없음 |
1. 개요
보츠와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2. 선수 경력
선수 경력은 알려진 것이 없다.3. 감독 경력
2013년 말루티 FET 칼리지 FC의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2021년과 2023년 COSAFA 컵에 출전한 남아공 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다.2024년 10월 보츠와나 대표팀의 임시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2차전까지 전패를 하며 조 최하위에 있었던 보츠와나를 6차전까지 승점 8점을 획득하며 기적의 반등을 해[3] 피파랭킹 130위권의 조 최약체로 평가받던 보츠와나를 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후 13년만에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시키는데 성공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로 2025년 1월 보츠와나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