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 | |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 | |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 | |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 | |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 | |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 | |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 | |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 | |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 | |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 | |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 | |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 | |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동부·중앙아프리카축구협의회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남수단 | 르완다 | 부룬디 | 소말리아 | 수단 | 에리트레아 | |
| | | | |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잔지바르 | 지부티 | 케냐 | 탄자니아 | }}}}}}}}} |
| |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 |
منتخب السود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 | |
정식명칭 | [1]منتخب السود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 |
FIFA 코드 | SDN |
FIFA 랭킹 | 116위[2] |
Elo 랭킹 | 109위[3] |
협회 | 수단 축구 협회 (SFA)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지역연맹 | 동아프리카 축구 연맹 (CECAFA) |
감독 | |
주장 | 라마단 아가브 (Ramadan Agab) |
최다출전자 | 하이탐 무스타파 (Haitham Mustafa) - 99경기 |
최다득점자 | 나스르 에딘 압바스 (Nasr Eddin Abbas) - 27골 |
홈 구장 | 하르툼 스타디움 (Khartoum Stadium, 23,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에티오피아 축구 국가대표팀| [[수단 공화국|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아랍 연합 공화국|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
별칭 | Falcons of Jediane (사막의 매) |
네이션스컵 | 진출 9회, 우승 1회 (1970) |
올림픽 | 진출 1회 (1972) |
유니폼 | 홈 | 어웨이 |
<colcolor=#000000>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빨강 | 하양 |
양말 | 빨강 | 하양 |
1. 개요
수단 공화국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74위(1996년 12월 18일), 최저 순위는 164위(2017년 7월 6일)이다.현 감독은 제임스 아피아[4]이며 사막의 매들(Falcons of Jediane)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2. 내용
월드컵 본선에는 한 번도 오르지 못했으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홈에서 열린 1970년 대회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수단 축구의 유일한 메이저 대회 우승 기록이다.과거의 대륙 강호였지만, 현재는 나라 규모에 비해 너무 침체되었고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1972년 올림픽 16개국 본선 진출(15위) 등 1970년대 전성기를 구가할 정도로 꽤 실력이 좋았다. 그러다가 수단 국내사정이 안좋아지고 점차 축구에 신경쓰지 않게 되면서 성적도 급락. 현재는 어쩌다 한번씩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팀이 되어버렸다. 남수단의 독립 이후에 더 약해져 2013년 이후에는 2021년까지 네이션스컵 본선도 진출하지 못할 정도로 실력이 떨어졌다.
그래도 자국 리그 선수들만 참가하는 아프리칸 네이션스 챔피언십에는 3번 참가하여 2011년과 2018년 대회에서 3위에 오르며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 국제 대회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한 때 유럽 리그에 진출한 수단 선수들이 생겨나기도 했지만 현재는 리비아 프리미어 리그, 탄자니아 프리미어 리그,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 태국 리그 1 등에서 활동 중인 해외파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선수로는 잉글랜드 EFL 리그 원과 리그 투의 밀턴킨스 던스에서 2021-22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공식전 101경기 31골을 기록한 후 현재 이란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에서 활동 중인 모하메드 에이사 그리고 모하메드 에이사의 친동생으로 2015-16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9시즌동안 잉글랜드 하부 리그에서 활약하며 2016-17 시즌 윌드스턴 FC의 EFL 트로피 준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한 아보 에이사 등이 있다.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본선[5]에는 진출했으나 1무 2패로 16강에 실패했다.(20등)[6]
수단은 최근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까지만 해도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었다. 참고로 수단 근처에 있으면서 비슷하게 국가 상황이 개막장의 끝을 달리는 소말리아도 아디다스의 유니폼을 입은 적이 있다. 그 외에도 북한, 이란, 지부티, 부룬디, 차드, 리비아[7] 등 나라 이름만 들어도 정말 답이 없어 보이는 제3세계 막장 국가들의 대표팀 유니폼들을 한때 아디다스가 후원하기로 유명 했었으며 수단 등도 마찬가지로 상기했듯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영국의 보호령 | |||||||||
1930 우루과이 | 독립 이전(앵글로-이집트 수단)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 수단 공화국 | |||||||||
1958 스웨덴 | 기권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기권 | ||||||||
1982 스페인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
1994 미국 | 기권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18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57 수단 | 4강 | 3위 | 1 | 0 | 0 | 1 | 1 | 2 | 0 | |
1959 아랍연합공화국 | 준우승 | 2위 | 2 | 1 | 0 | 1 | 2 | 2 | 3 | |
1962 에티오피아 | 예선 탈락 | |||||||||
1963 가나 | 준우승 | 2위 | 3 | 1 | 1 | 1 | 6 | 5 | 4 | |
1965 튀니지 | 예선 탈락 | |||||||||
1968 에티오피아 | ||||||||||
1970 수단 | 우승 | 1위 | 5 | 4 | 0 | 1 | 8 | 3 | 12 | |
1972 카메룬 | 조별리그 | 7위 | 3 | 0 | 2 | 1 | 4 | 6 | 2 | |
1974 이집트 | 예선 탈락 | |||||||||
1976 에티오피아 | 조별리그 | 6위 | 3 | 0 | 2 | 1 | 3 | 4 | 2 | |
1978 가나 | 기권 | |||||||||
1980 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1982 리비아 | 불참 | |||||||||
1984 코트디부아르 | 예선 탈락 | |||||||||
1986 이집트 | 기권 | |||||||||
1988 모로코 | 예선 탈락 | |||||||||
1990 알제리 | ||||||||||
1992 세네갈 | ||||||||||
1994 튀니지 | ||||||||||
1996 남아공 | ||||||||||
1998 부르키나파소 | 예선 도중 기권 | |||||||||
2000 가나/나이지리아 | 불참 | |||||||||
2002 말리 | 예선 탈락 | |||||||||
2004 튀니지 | ||||||||||
2006 이집트 | ||||||||||
2008 가나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0 | 9 | 0 | |
2010 앙골라 | 예선 탈락 | |||||||||
2012 가봉/적도 기니 | 8강 | 8위 | 4 | 1 | 1 | 2 | 4 | 7 | 4 | |
2013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5 적도 기니 | ||||||||||
2017 가봉 | ||||||||||
2019 이집트 | ||||||||||
2021 카메룬 | 조별리그 | 20위[11] | 3 | 0 | 1 | 2 | 1 | 4 | 1 | |
2023 코트디부아르 | 예선 탈락 | |||||||||
2025 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27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9회 / 우승 1회 | 27 | 7 | 7 | 13 | 29 | 42 | 28 |
3.3. FIFA 아랍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레바논 1963 | 불참 | ||||||||
쿠웨이트 1964 | |||||||||
이라크 1966 | |||||||||
사우디아라비아 1985 | |||||||||
요르단 1988 | |||||||||
시리아 1992 | |||||||||
카타르 1998 | 조별리그 | 8위 | 2 | 1 | 0 | 1 | 3 | 5 | 3 |
쿠웨이트 2002 | 조별리그 | 7위 | 4 | 1 | 1 | 2 | 4 | 5 | 4 |
사우디아라비아 2012 | 조별리그 | 5위 | 3 | 1 | 2 | 0 | 4 | 2 | 5 |
카타르 2021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0 | 10 | 0 |
합계 | 본선진출 4회[12] | 12 | 3 | 3 | 6 | 11 | 22 | 12 |
4. 국가별 전적
4.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조규성(2) | 2:3 패 (2022) | |||||
7 | 3 | 0 | 4 | 10 | 14 | -4 | ||
<rowcolor=#fff> | | 최효진 등 9명(1) | 2:1 승 (2010) | |||||
5 | 3 | 2 | 0 | 9 | 6 | +3 | ||
<rowcolor=#fff> | | 허정무(3) | 4:0 승 (1977) | |||||
1 | 1 | 0 | 0 | 4 | 0 | +4 | ||
<rowcolor=#fff> | | 김보경 등 3명(1) | 3:1 승 (2013) | |||||
1 | 1 | 0 | 0 | 3 | 1 | +2 | ||
<rowcolor=#fff> | | 손흥민 등 3명(1) | 1:3 패 (2017) | |||||
2 | 0 | 1 | 1 | 3 | 5 | -2 | ||
<rowcolor=#fff> | | 김상식(1) | 1:0 승 (2005) | |||||
1 | 1 | 0 | 0 | 1 | 0 | +1 | ||
<rowcolor=#fff> | | 오범석 등 3명(1) | 0:2 패 (2018) | |||||
4 | 1 | 1 | 2 | 3 | 4 | -1 | ||
<rowcolor=#fff> | | 박성화, 신현호(2) | 8:0 승 (1979) | |||||
1 | 1 | 0 | 0 | 8 | 0 | +8 | ||
<rowcolor=#fff> | | 구자철 등 4명(1) | 2:4 패 (2014) | |||||
2 | 1 | 0 | 1 | 4 | 4 | 0 | ||
<rowcolor=#fff> | | 박주영(1) | 1:0 승 (2006) | |||||
1 | 1 | 0 | 0 | 1 | 0 | +1 | ||
<rowcolor=#fff> | | 하석주(3) | 4:1 승 (2022) | |||||
18 | 6 | 7 | 5 | 18 | 21 | -3 | ||
<rowcolor=#fff> | | 정해원, 이근호(2) | 2:1 승 (2012) | |||||
4 | 2 | 0 | 2 | 10 | 8 | +2 | ||
<rowcolor=#fff> | | 최상국(3) | 1:0 승 (2022) | |||||
5 | 3 | 2 | 0 | 10 | 3 | +7 | ||
<rowcolor=#fff> | | 이동국, 곽태휘(1) | 2:0 승 (2010) | |||||
1 | 1 | 0 | 0 | 2 | 0 | +2 | ||
<rowcolor=#fff> | | 이천수, 안정환(1) | 2:1 승 (2006) | |||||
1 | 1 | 0 | 0 | 2 | 1 | +1 | ||
<rowcolor=#fff> | | 이강인(2) | 4:0 승 (2023) | |||||
3 | 1 | 1 | 1 | 4 | 1 | +3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1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0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0 득점 (-8) | <nopad> | 8 득점 (+8) |
<rowcolor=#fff> 없음 | 최다득점자 | 박성화, 신현호(2)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리 (1979) |
한국과 총 1전 1패로 공식전 전적 열세에 있다.
아프리카에서도 축구 변방인 동아프리카 국가이지만 의외로 굉장히 오래전인 1979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서 맞붙어 0:8로 대패를 당한 것이 현재까지 양국간의 유일한 A매치 맞대결이다. 이는 동아프리카 소속 국가와 대한민국 사이의 현재까지 유일한 A매치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이 대패는 수단의 역대 A매치 최다 점수차 패배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nopad> 1979-09-08 | |||||
<nopad> 8: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9 코리아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9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10강 조별리그 A조 1차전[79KC] | ||||
일시: 1979년 9월 8일 15:3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박성화 신현호 라만 무흐타르 허정무 조광래 | 8:0 (6: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유건수 신현호 | -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1차전) | ||||||||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A조 순위[2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2 | 1 | 1 | 0 | 0 | 8 | 0 | +8 |
<rowcolor=#fff> | 2 | 2 | 1 | 1 | 0 | 0 | 2 | 0 | +2 |
<rowcolor=#fff> | 3 | 0 | 0 | 0 | 0 | 0 | 0 | 0 | 0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0 | 2 | -2 |
<rowcolor=#fff> | 5 | 0 | 1 | 0 | 0 | 1 | 0 | 8 | -8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국가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000000" | 순서 | 우승국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002395,#000> 이집트 |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 ★★★★★ ★★ 7회 | |
2 | | 에티오피아 | 1962 | ★ 1회 | |
3 | | 가나 | 1963, 1965, 1978, 1982 | ★★★★ 4회 | |
4 | | 콩고민주공화국 | 1968, 1974 | ★★ 2회 | |
5 | | 수단 | 1970 | ★ 1회 | |
6 | | 콩고 공화국 | 1972 | ★ 1회 | |
7 | | 모로코 | 1976 | ★ 1회 | |
8 | | 나이지리아 | 1980, 1994, 2013 | ★★★ 3회 | |
9 | | 카메룬 | 1984, 1988, 2000, 2002, 2017 | ★★★★★ 5회 | |
10 | | 알제리 | 1990, 2019 | ★★ 2회 | |
11 | | 코트디부아르 | 1992, 2015, 2023 | ★★★ 3회 | |
12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6 | ★ 1회 | |
13 | | 튀니지 | 2004 | ★ 1회 | |
14 | | 잠비아 | 2012 | ★ 1회 | |
15 | | 세네갈 | 2021 | ★ 1회 |
[1] 아랍어[2] 2025년 9월 18일 기준[3] 2025년 9월 13일 기준[4] 수단 국대 이전에는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사령탑을 2번이나 역임하면서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강 진출(최종 4위)을 이끌었고 가나 대표팀 수석 코치 시절인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가나의 사상 최초 월드컵 8강 진출(최종 8강 7위)을 성사시켰다.[5] 24개국 본선[6] 알제리와 공동 20등[7] 리비아 대표팀은 2025년 기준 현재도 아디다스와 후원 계약을 맺고 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1] 알제리와 공동 20위[12] 최고순위 5위(2012 사우디)[🏟️] 중립 경기: 0
SUD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14]
2골, 박성화, 신현호
1골, 허정무, 조광래, 유건수
자책골, 1골[79KC] 1979년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서는 각 조별로 5팀 씩 편성되었다. 각 팀별로 4경기 씩 치르며 1번씩 휴식을 가진다. 한국은 조별리그 2차전을 쉰다.[UTC+9] [2G] [2G] [19] Burkhard Ziese[N] 뉴스보도[대한] 대한늬우스[22]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
SUD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14]
2골, 박성화, 신현호
1골, 허정무, 조광래, 유건수
자책골, 1골[79KC] 1979년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서는 각 조별로 5팀 씩 편성되었다. 각 팀별로 4경기 씩 치르며 1번씩 휴식을 가진다. 한국은 조별리그 2차전을 쉰다.[UTC+9] [2G] [2G] [19] Burkhard Ziese[N] 뉴스보도[대한] 대한늬우스[22]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