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공화국 | 레소토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
보츠와나 | 세이셸 | 에스와티니 | 앙골라 | 잠비아 | 짐바브웨 | 코모로 | }}}}}}}}} |
<colbgcolor=#f4c327><colcolor=#3c943c>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
Suid-Afrikaanse nasionale sokkerspan | |||
정식 명칭 | Suid-Afrikaanse nasionale sokkerspan[1] South Africa national soccer team[2] | ||
FIFA 코드 | RSA | ||
축구 협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협회 (SAFA)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
지역연맹 | 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 ||
홈 구장 | FNB 스타디움 (FNB Stadium / 94,736석) | ||
별칭 | Bafana Bafana (소년이여 나가자) | ||
감독 | 휴고 브로스 (Hugo Broos) | ||
주장 | C 론웬 윌리엄스 (Ronwen Williams) | ||
FIFA 랭킹 | 60위 (2024년 10월 24일 기준 / #) | ||
Elo 랭킹 | 64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3c943c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4c327><colcolor=#3c943c> A매치 최다 출전 | 애런 모코에나 (Aaron Mokoena) - 107경기 / 1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베니 매카시 (Benni McCarthy) - 79경기 / 31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션 바틀렛 (Shaun Bartlett) - 2골 (1998) 베니 매카시 (Benni McCarthy) - 2골 (1998, 2002) | ||
첫 국제경기 출전 | [[오렌지 강 식민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vs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아르헨티나 1:0 승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 1906년 7월 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vs [[호주| ]][[틀:국기| ]][[틀:국기| ]] 호주 8:0 승 (호주 애들레이드 / 1955년 9월 17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vs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잉글랜드 1:9 패 (남아프리카 연방 케이프타운 / 1920년 7월 17일)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3c943c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4c327>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3회 [최고] 17위/조별리그 (2002) | ||
올림픽 | [진출] 3회 [최고] 11위/조별리그 (2000) | ||
컨페드컵 | [진출] 2회 [최고] 4위 (2009) | ||
대륙대회 | |||
네이션스컵 | [진출] 11회 [최고] (1996) | ||
아프로-아시안 네이션스컵 | [진출] 1회 [최고] (1999) | ||
골드컵 | [진출] 1회 [최고] 7위/8강 (2005)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11 | 4 |
하의 | 11 | 4 |
양말 |
[clearfix]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팀. 감독은 휴고 브루스이다. Bafana Bafana(직역 the Boys the Boys / 의역 Go Boys! Go Boy! / 소년들이여 나가자)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있다.2. 내용
FIFA가 출범하고 본격적으로 국제 경기가 시작된 20세기 초반부터 존재했던 국가대표팀으로, 1892년 아프리카에서는 최초로 축구 협회가 발족되었다. 1906년 첫 국제 경기인 아르헨티나 원정 친선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기도 하였다. 1910년에는 아프리카 최초로 FIFA에 가입하였다.영화 인빅터스로 유명한 스포츠 럭비가 남아공 백인들의 스포츠라면, 축구는 남아공 흑인들의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악명높던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에는 축구가 하나의 저항 문화처럼 흑인들에게 깊게 스며들어 최고 인기 스포츠가 되었다.
다만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는 아파르트헤이트 시행으로 인한 국제사회의 제재로 인해 남아공은 월드컵, 올림픽 등 모든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다. 그러다가 아파르트헤이트가 철폐되고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취임해서야 남아공이 국제대회에 나설 수 있게 된 관계로 FIFA 월드컵 첫 참가는 1994 미국 월드컵 지역예선이 되겠다. 이 대회에서 나이지리아와 한조에 걸려 1라운드에서 무난히 탈락했다. 그러나 월드컵 2년 뒤 자국에서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대회 본선 첫 출전만에 우승을 하며 인빅터스 못지 않은 기쁨을 남아공 국민들에게 선사하고, 팀도 일약 아프리카의 강호 위치에 올라선다.
현재 침체기를 걷고 있지만 남아공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흑인들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성적이 좋은 럭비 국가대표팀보다 여전히 남아공 내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팀이다.#1 23
FIFA 월드컵 본선 첫 진출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이었고 2010년까지 총 세 번 본선에 진출했으나 그 세 번 모두 1라운드에 머물렀다. 특히 2002년에는 파라과이와 승점 및 골득실이 같았으나 다득점에서 1점이 뒤져서 아깝게 1라운드에 머물렀으며(17등), 2010년은 개최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라운드에 머물며 사상 최초로 월드컵 개최국이 2라운드에 진출 실패[3]한 사례로 남게 되었다.(20등)[4] 하지만, 남아공 국내에서는 유럽 사천왕으로 불리는 프랑스에게 2-1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박수를 받았다. 남아공이 16강을 못간 것이 남아공이 못해서도 어느 정도는 맞지만 남아공의 32강 조편성에 역대 월드컵 우승국이 2팀이었고 16강은 꾸준히 가는 멕시코와 한 조였으니 조가 너무 어려웠다.
그리고 2014년 대회는 2차 지역 예선에서 엄청난 부진 끝에 아예 에티오피아한테 밀려 최종 예선조차 진출하지 못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상술했듯이 출전 정지가 풀리고 1996년에 개최국으로 되고 나서야 처음으로 본선 무대를 밟았다. 그 때는 첫 진출에 첫 우승까지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어째 시간이 갈수록 성적이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 1998년 준우승 → 2000년 3위 → 2002년 6위(8강) → 2004년 11위(1R) → 2006년 16위(1R) → 2008년 13위(1R) → 2010년 예선광탈 → 2012년 또 예선광탈했다. 2012년 지역예선에선 이집트의 부진과 맞물려 4년만에 본선 재진출의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나 니제르가 홈빨로 1등을 먹는 바람에 실패했다. 그래도 2013년엔 개최국[5]으로 자동진출을 확정지었지만, 8강에서 말리한테 승부차기 끝에 패해 탈락(6등)하면서 AGAIN 1996은 못 했다.
역사적인 배경 때문에 압도적으로 흑인 선수들의 비율이 높은 대표팀 구성이다. 대표팀 과거 레전드들도 애런 모코에나, 이투멜렝 쿤, 베니 맥카시, 루카스 라데베, 퀸튼 포츈 등등 전부 흑인 선수들이며, 정말 간혹 드물게 네덜란드계 혹은 잉글랜드계 백인 선수들이 대표팀에서 활약하기도 한다. 국내리그가 많이 활성화되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아프리카 클럽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많이 거두고 인접국 짐바브웨, 보츠와나 등 이웃국가에서 많이들 진출하고 싶어하는 나름 아프리카의 빅리그다. 자연스럽게 대표팀의 국내파 선수 비중이 높은 팀 중 하나며, 유럽파들은 대부분 프랑스, 오스트리아에 많이 진출한다. 아약스 케이프타운이라는 아약스 자매구단의 존재로 과거 네덜란드에도 많이 진출했지만 요즘은 많이 줄어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K리그 수원 FC의 공격수 라스 벨트비크가 현 남아공 대표로 활약하는 중이며, 이 선수가 앞서 말한 보기드문 네덜란드계 백인 선수다.
친선전을 포함해 대한민국과 A매치 맞대결 전적은 아직 없으며, FIFA 월드컵을 개최해 본 적이 있는 국가 중 유일하게 대한민국과 A매치를 치른 적이 한 번도 없는 국가이다. 그나마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 예선에서 대한민국과 남아공이 만날 가능성이 있었으나 대한민국이 북한에 패하는 것을 두려워해 기권하고, 남아공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실격되면서 만남이 무산되었다. 남아공 외에도 월드컵 본선에 한 번이라도 진출한 경력이 있는 국가대표팀 중 친선전을 모두 포함해 대한민국과 A매치에서 만난 적이 한 번도 없는 국가로는 아일랜드,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콩고민주공화국도 있다.
단, 20세 이하 대표팀간에는 FIFA U-20 월드컵에서 두 차례 맞붙은 경험이 있다. 첫 상대전적은 1997년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대회에서 있었고, 0:0으로 비겼다. 두 번째 맞대결은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한 2019년 폴란드 대회에서 있었으며, 이 때는 한국이 김현우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르꼬끄이다.
현재는 테보호 모코에나, 론웬 윌리엄스, 에비던스 막고파 등의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다.
3.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4c328,#191919><tablecolor=#373a3c,#f4c328><tablebgcolor=#f4c328,#191919> | 남아공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3c943c,#f4c32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92년 ~ 현재 | ||||
1대 버틀러 | 2대 차발랄라 | 3대 마샤바 | 4대 팔라시오스 | 5대 베이커 | |
6대 소노 | 7대 트루시에 | 8대 몰로토 | 9대 케이로스 | 10대(대행) 마샤바 | |
11대(대행) 몰로토 | 12대 소노 | 13대 마샤바 | 14대 소노 | 15대(대행) 푸모 | |
16대 박스터 | 17대 두미트루 | 18대(대행) 모시마네 | 19대 파헤이라 | 20대 산타나 | |
21대 파헤이라 | 22대 모시마네 | 23대(대행) 콤펠라 | 24대 이게순드 | 25대 마샤바 | |
26대 박스터 | 27대 은체키 | 28대 브로스 | |||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4c327, #f4c327)"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4c327><tablebgcolor=#f4c327>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4c32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c943c>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애런 모코에나 | 107회 | 1999.2.20 | 2010.10.10 |
5. 현재 선수 명단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영문 성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비고 |
GK | 론웬 윌리엄스 | Ronwen Williams | 1992년 1월 21일 | 24 | 0 | 슈퍼스포트 유나이티드 FC | ||
벨리 모스와 | Veli Mothwa | 1991년 2월 12일 | 5 | 0 | 아마줄루 FC | |||
브루스 브부마 | Bruce Bvuma | 1995년 5월 15일 | 3 | 0 | 카이저 치프스 FC | |||
DF | 시얀다 술루 | Siyanda Xulu | 1991년 12월 30일 | 14 | 1 | 하포엘 텔아비브 FC | ||
루샤인 드 루크 | Rushine De Reuck | 1996년 2월 9일 | 13 | 0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니코 모비 | Nyiko Mobbie | 1994년 9월 11일 | 12 | 0 | 세쿠후네 유나이티드 FC | |||
테렌스 마셰고 | Terrence Mashego | 1998년 6월 28일 | 4 | 0 | 케이프타운 시티 FC | |||
라일 라카이 | Lyle Lakay | 1991년 8월 17일 | 3 | 1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은코시나티 시비시 | Nkosinathi Sibisi | 1995년 9월 22일 | 1 | 0 | 라몬트빌 골든 애로우즈 FC | |||
아텐코시 음카바 | Athenkosi Mcaba | 2002년 1월 9일 | 0 | 0 | 스텔렌보쉬 FC | |||
쿨리소 무다우 | Khuliso Mudau | 1995년 4월 26일 | 0 | 0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반딜 샨두 | Bandile Shandu | 1995년 1월 19일 | 0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MF | 키건 돌리 | Keagan Dolly | 1993년 1월 22일 | 21 | 3 | 카이저 치프스 FC | ||
테보호 모코에나 | Teboho Mokoena | 1997년 1월 24일 | 14 | 3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모토비 음발라 | Mothobi Mvala | 1994년 6월 14일 | 9 | 1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에단 브룩스 | Ethan Brooks | 2001년 11월 22일 | 8 | 0 | TS 갤럭시 FC | |||
타방 모나레 | Thabang Monare | 1989년 9월 16일 | 2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굿맨 모셀레 | Goodman Mosele | 1999년 11월 19일 | 0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FW | 퍼시 타우 | Percy Tau | 1994년 5월 15일 | 34 | 13 | 알 아흘리 SC | ||
에비던스 막고파 | Evidence Makgopa | 2000년 6월 5일 | 6 | 3 | 바로카 FC | |||
봉고쿨레 롱웨인 | Bongokuhle Hlongwane | 2000년 6월 20일 | 6 | 2 |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 |||
라일 포스터 | Lyle Foster | 2000년 9월 3일 | 5 | 0 | 번리 FC | |||
파그리에 라카이 | Fagrie Lakay | 1997년 5월 31일 | 3 | 0 | 피라미즈 FC |
6. 역대 전적
6.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49위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남아프리카 연방 | |||||||||
1930 우루과이 | 불참[7]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62 칠레 | 불참 | ||||||||
1966 잉글랜드 | 실격 | ||||||||
1970 멕시코 | 출전 금지[8]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
1994 미국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 조별리그 | 24위 | 2 | 3 | 0 | 2 | 1 | 3 | 6 |
2002 한일 | 조별리그 | 17위 | 4 | 3 | 1 | 1 | 1 | 5 | 5 |
2006 독일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0 남아공[11] | 조별리그[12] | 20위 | 4 | 3 | 1 | 1 | 1 | 3 | 5 |
2014 브라질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3회[14] | 10 | 9 | 2 | 4 | 3 | 11 | 16 |
총성적은 2승 4무 3패 승점 10점으로 월드컵 통산 순위 49위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아프리카 대륙의 코트디부아르와 승점과 평균 점수[15]가 같지만, 골득실에서 코트디부아르 -1점, 남아공 -5점으로 밀려서 순위가 코트디부아르에 뒤진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스페인 1패(2002), 프랑스 1승 1패(1998, 2010), 우루과이 1패(2010), 멕시코 1무(2010), 파라과이 1무(2002), 덴마크 1무(1998), 사우디아라비아 1무(1998), 슬로베니아 1승(2002)이다.
대륙별 상대전적은 유럽 2승 1무 2패, 남미 1무 1패, 북중미 1무, 아시아 1무를 기록중이다. 패배를 기록한 적이 있는 나라는 프랑스(1패), 스페인(1패), 우루과이(1패)로 총 3개국이고, 각 대회마다 1패씩 적립하였으며, 가장 많은 승점을 얻어간 팀은 슬로베니아와 프랑스로 전부 한경기씩 이겼으며 두 팀 모두 유럽에 속해 있다.
한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98년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2:2 무, 2002년 32강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2:2 무, 스페인전 2:3 패, 2010년 32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2:1 승으로 두 골이 월드컵에서 따낸 최고 기록이며, 최다실점 기록은 1998년 32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0:3 패, 2002년 32강 조별리그 스페인전 2:3 패, 2010년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0:3 패로, 3실점이 월드컵에서 당한 최다실점 기록이다.
에티오피아, 라이베리아, 이집트와 더불어 첫 대회 당시부터 독립국가였지만 초기에는 연달아 불참했고, 아프리카 팀들이 대거 참여하기 시작한 1962년부터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때문에 모든 메이저 대회 출전을 금지당했다. 넬슨 만델라 가택연금이 풀리고 정치활동이 시작된 1990년대부터 해제되어 월드컵에 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경험이 부족한 팀이었음에도 도전 두 번째만에 월드컵에 진출해 프랑스에서 첫 무대를 썼는데, 라우드럽의 유로 1992 우승국인 덴마크와 1994 FIFA 월드컵 미국 16강과 1996년 아시안컵 우승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무재배하며 2무 1패로 어느 정도 성공적인 첫 대회를 치렀다.
다음 대회인 2002 한일 월드컵에도 연속 진출하며 파라과이와 비기고 슬로베니아를 이기며 스페인과 2:3 펠레스코어를 남기는 등 선전했지만, 똑같이 1승 1무 1패를 기록한 파라과이에 다득점에 한 골씩 밀려 아깝게 16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 덕분에 예선탈락한 팀들 중 가장 순위가 높은 17위를 기록하며 월드컵을 마감했다. 두 대회 연속 호성적과 아프리카에서는 상당한 경제력을 갖춘 덕분에 2004년 열린 FIFA 총회에서 2010년 월드컵 개최권을 가져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2010년 월드컵 유치에 성공하자마자 전력이 급하락해 독일월드컵 진출에 실패했고, 자국 대회 예선에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때문에 참가했는데 최종예선마저 진출하지 못하는 굴욕을 당했다. 그나마 2009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4강에 진출하면서 그래도 저력있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정작 1년 뒤 본선에서는 개막전에서 멕시코에게 1:1로 무승부, 우루과이에 0:3으로 영혼까지 털리고 월드컵 사상 최초로 개최국 2라운드 진출 실패라는 대업적을 이뤄냈다. 그나마 마지막 경기에서 프랑스를 2:1으로 이기면서 사상 초유의 개최국 무승이라는 최악의 기록은 면했지만 다들 떨어질거라 예상했던 1970년 멕시코(8강/6위), 1994년 미국(16강/14위), 심지어 그 전 대회까지 본선에서 1승도 올리지 못했던 2002년 한국(4강)과 일본(16강/9위), 본선 진출 32개국 및 역대 개최국 사상 피파랭킹이 가장 낮았던 2018년 러시아(8강/8위)도 2라운드에 갔던 걸 생각하면 참으로 눈물나는 결과였다.[16][17]
하지만 12년 후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개최국 카타르가 남아공도 무승부로 선전한 개막전을 패배한 것을 시작으로 3전 전패 32등으로 온갖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쓰자 남아공은 카타르처럼 조편성 운이 없었어도 1승은 했다며 재평가하는 여론도 어느 정도 생기기는 하였다. 당시 프랑스 대표팀이 격랑에 빠진 것을 감안하더라도 남아공이 32강 조별리그에서 만난 국가는 우루과이, 프랑스, 멕시코로 역대 월드컵 우승국만 2개국에 16강 단골 멕시코였던 만큼 카타르가 32강 조별리그에서 만난 네덜란드, 세네갈, 에콰도르보다 난이도가 높으면 높았지 결코 쉬운 대진은 아니었다.
단순한 부진이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2010, 2012, 2017년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도 예선에서 광탈했으며,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한 2013년 대회에서 8강(6위)에 오르기도 했지만 2015년 대회에서는 1무 2패로 C조 최하위, 대회 15위를 기록하며 탈락하는 등 90년대 말~2000년대 초의 전력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32개국 본선은 당연하게도 못 갔는데, 개최국을 포함해 아프리카에서 6개국이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던 지난 대회와는 달리 5개국만이 본선에 나갈 수 있는 상황에서 남아공 월드컵에서 본선에 진출한 아프리카 6개국 중 하필이면 유일하게 떨어진 나라가 남아공이 된 반면 나머지 5개국(가나, 나이지리아,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은 모두 연속으로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남아공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기도 했다.
6.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5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7 사우디 컨페더컵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5 | 7 |
1999 멕시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1 한일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3 프랑스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5 독일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9 남아공 컨페더컵 | 4위[18] | 5 | 1 | 1 | 3 | 4 | 6 | |
2013 브라질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17 러시아 컨페더컵[19] | 진출 실패 | |||||||
합계 | 본선진출 2회 / 4위 1회 | 8 | 1 | 2 | 5 | 9 | 13 |
6.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3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남아프리카 연방 | ||||||||||
1957년 수단 | 실격[20] | |||||||||
1959년 아랍연합공화국 | 출전 금지[21]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62년 에티오피아 | 출전 금지[22] | |||||||||
1963년 가나 | ||||||||||
1965년 튀니지 | ||||||||||
1968년 에티오피아 | ||||||||||
1970년 수단 | ||||||||||
1972년 카메룬 | ||||||||||
1974년 이집트 | ||||||||||
1976년 에티오피아 | ||||||||||
1978년 가나 | ||||||||||
1980년 나이지리아 | ||||||||||
1982년 리비아 | ||||||||||
1984년 코트디부아르 | ||||||||||
1986년 이집트 | ||||||||||
1988년 모로코 | ||||||||||
1990년 알제리 | ||||||||||
1992년 세네갈 | ||||||||||
1994년 튀니지 | 예선 탈락 | |||||||||
1996년 남아공 | 우승 | 1위 | 6 | 5 | 0 | 1 | 11 | 2 | 15 | |
1998년 부르키나파소 | 준우승 | 2위 | 6 | 3 | 2 | 1 | 9 | 6 | 11 | |
2000년 가나/나이지리아 | 4강 | 3위 | 6 | 3 | 2 | 1 | 8 | 6 | 11 | |
2002년 말리 | 8강 | 6위 | 4 | 1 | 2 | 1 | 3 | 3 | 5 | |
2004년 튀니지 | 조별 라운드 | 11위 | 3 | 1 | 1 | 1 | 3 | 5 | 4 | |
2006년 이집트 | 조별 라운드 | 16위 | 3 | 0 | 0 | 3 | 0 | 5 | 0 | |
2008년 가나 | 조별 라운드 | 13위 | 3 | 0 | 2 | 1 | 3 | 5 | 2 | |
2010년 앙골라 | 예선 탈락 | |||||||||
2012년 가봉/적도 기니 | 예선 탈락 | |||||||||
2013년 남아공 | 8강 | 6위 | 4 | 1 | 3 | 0 | 5 | 3 | 6 | |
2015년 적도 기니 | 조별 라운드 | 15위 | 3 | 0 | 1 | 2 | 3 | 6 | 1 | |
2017년 가봉 | 예선 탈락 | |||||||||
2019년 이집트 | 8강 | 7위 | 5 | 2 | 0 | 3 | 3 | 4 | 6 | |
2021년 카메룬 | 예선 탈락 | |||||||||
2023년 코트디부아르 | 4강 | 3위 | 7 | 2 | 4 | 1 | 7 | 3 | 10 | |
2025년 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27년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0회 / 우승 1회 | 43 | 16 | 13 | 14 | 48 | 45 | 61 |
6.4. CONCACAF 골드컵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미국 2005 | 8강 | 7위 | 4 | 1 | 3 | 0 | 7 | 6 |
합계 | 본선진출 1회 / 8강 1회 | 4 | 1 | 3 | 0 | 7 | 6 |
[1] 아프리칸스어[2] 영어[3] 1934년 ~ 1938년 월드컵은 조별리그가 없이 모두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4] 1990 이탈리아 월드컵 개최국 이탈리아는 월드컵 3위를 차지했으며, 1994 미국 월드컵 개최국 미국도 당시 24강 조 3위로 16강(14위)까지 올라갔고, 1998 프랑스 월드컵 개최국 프랑스는 아예 우승까지 했다. 그리고 2002 한일 월드컵 개최국 한국과 일본은 당시 일본이 16강(9위)까지 갔고, 한국은 월드컵 4위를 차지했으며, 2006 독일 월드컵 개최국 독일도 월드컵 3위를 차지했다. 개최국이 2라운드 진출에 실패한건 남아공이 최초다. 다만, 그로부터 12년 후,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가 2연패로 가장 먼저 탈락하는 바람에 유일한 탈락(32등) 개최국이라는 타이틀을 벗게 되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카타르가 여러 최악의 기록을 더 많이 쏟아냈기에 남아공이 다시 한 번 재평가를 받기까지 했다.[5] 원래 리비아 개최 예정이었다가 바뀌었다.[6] 2022년 3월 25일 기준.[7] 이 당시에도 남아프리카 연방이라는 이름으로 국가대표 경기는 치렀으나 월드컵엔 불참했다. 완전한 독립국이 되는 것은 196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립때의 일이다.[8]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따른 제재[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1] 사실 이 당시에는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예선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도 겸했기 때문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월드컵 개최국임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인해 지역예선에 참가했는데 나이지리아에게 털려서 탈락했다. 물론 이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 탈락일 뿐이며 월드컵은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했다.[12] 월드컵 개최국 중 최초로 2라운드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4] 최고순위 17위(2002 한국/일본)[15]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16] 사실상 개최국 버프를 가장 받지 못한 국가이자 조편성 운이 가장 없었던 개최국이 아닐 수 없다. 2포트(북중미/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는 온두라스or북한or뉴질랜드 정도가 해볼만 한 상대였으나 2포트 중 가장 좋은 전력을 가진 멕시코가 들어와버렸고, 3포트(남미/아프리카)에서는 같은 아프리카 국가는 A조에 들어갈 수 없어서 우루과이or파라과이or칠레 중 한 국가는 꼭 만났어야 하는 상황에서 그 중 가장 전력이 좋고 해당 대회에서 제일 호성적을 남긴 우루과이가 들어와버렸다. 4포트(유럽)는 사실상 어디가 들어와도 남아공이 상대하긴 버거운 국가들이었고(프랑스, 포르투갈은 말이 필요 없는 강팀이며 한끗 차이로 톱시드에서 밀린 국가들이고, 세르비아, 덴마크, 스위스 또한 만만하게 볼 수 없는 월드컵 단골팀이자 강국이며 그나마 해볼만 한 상대가 그리스,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정도였다. 특히나 슬로베니아는 8년 전 남아공이 월드컵에서 첫 승을 한 기억이 있는 국가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가 들어와버리며 역대 우승팀만 2개국에 각 포트 중 가장 강국만 만나는 불운을 겪었다.[17] 2002 한일 월드컵에서의 대한민국에 대입해 보면 폴란드 대신에 2포트(유럽)에서 가장 강국이었던 잉글랜드, 4포트(북중미/아프리카)에서 미국 대신 멕시코가 들어와 대한민국-잉글랜드-포르투갈-멕시코와 한 조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듯하다.[18]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19] 이 대회를 끝으로 컨페더컵이 폐지되었다.[20] 대회 직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실격되었다.[21]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출전 금지되었다.[22]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출전 금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