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21:02:46

몽골풍

몽고풍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려양
,
,
,
,
,

1. 개요2. 설명3. 번외: 위구르풍

1. 개요



원 간섭기고려에서 유행했던 원나라(몽골)의 풍속을 말하는 것으로, 고려양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2. 설명

몽골은 고려에게 자기네 문화를 강요하지 않기로 협상했다. 그럼에도 몽골의 문화가 고려로 퍼져나갔는데 주요한 경로는 당시 몽골에게 빌붙어 권세를 누리던 친원파들, 몽골 황실에서 성장했던 왕자[1], 그리고 고려 왕에게 시집온 몽골 공주들[2]을 통해 들어오거나 고려에서 실용적인 이유로 직접 수입하여 받아들인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를 찾자면 먼저 식생활에서는 알코올을 증류해서 빚는 소주, 의 뼈를 물에 삶아 파를 넣고 끓인 설렁탕, 우유에 쌀가루를 곱게 갈아서 만든 타락죽순대 등을 들 수 있다.[3] 몽골식 버터인 수유(酥油)도 몽골풍 중 하나다.

의생활에서는 일부 남자들이 변발[4]을 하기도 했고 여자들은 예장에서 쓰는 족두리와 신부가 머리 장식으로 쓰는 산호 구슬 꾸러미의 도투락 댕기, 무관들이 주로 입고 나중에는 사대부들도 널리 입게 된 철릭 등이 몽골풍에서 유래한 것이다. 경번갑두정갑이 한반도에 유입된 것과 환도곡도 형태가 된 것도 몽골풍의 영향이었다.

언어생활에서는 당시 몽골어원나라 시대 중국어가 어원인 단어들이 몇 가지 남았는데 임금님의 밥상을 부르는 수라, 장사치나 벼슬아치 등과 같이 어미에 -치(赤)를 붙이던 것도 이 때부터다.[5][6]

3. 번외: 위구르풍

원나라는 몽골인 제일주의에 입각해 각 민족들을 4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그에 맞게 대우했는데 1등은 당연히 몽골인이었고 2등은 색목인, 3등은 여진족거란족 그리고 옛 금나라 치하의 북중국 한족으로 이뤄진 한인, 4등은 옛 남송 치하의 남중국 한족으로 이루어진 남인이었다. 당시 원나라의 인구에서 몽골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1.5%에 불과했기 때문에 부족한 숫자를 커버하기 위해 색목인들을 많이 등용해서 고려로 시집 온 몽골 공주들을 따라 색목인 관리들도 고려로 많이 넘어왔다. 색목인은 아랍인, 위구르족, 탕구트족 등을 말하는데 주로 위구르족들이 많았다.

위구르족들이 몽골을 따라 고려로 넘어오면서 위구르족의 문화도 같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었다. 고려로 넘어온 위구르족들을 고려에서는 회회인(回回人)이라고 불렀는데 고려가요 쌍화점에서 나오는 그 '회회아비'가 바로 '위구르족 남성'을 말하는 것이며 '쌍화'라는 것은 위구르식 군만두인 '삼사'를 말하는 것이다.[7] 쌍화(삼사) 말고도 고려로 귀순한 위구르족의 후손인 송도 설 씨가 만든 데서 유래했다는 '설적(薛炙)'이란 음식은 쇠고기나 소의 내장을 꼬챙이로 꿰어 구운 음식으로 튀르키예에서 주로 먹는 케밥이나 동남아시아에서 먹는 사테와 매우 유사한 음식이다.

고려에 거주하던 위구르인들은 위구르어를 쓰고[8]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며 개경에서 예궁(禮宮)이라고 부르는 모스크를 짓고 자신들의 종교인 이슬람을 유지하며 살았다고 하며 예궁에서 예배를 거행하고 이맘의 인도 하에 이슬람의 예배 의식인 대조회송축을 조정에서 거행하기도 했다고도 한다. 이를 보면 우리의 예상과 달리 이슬람이 기독교보다도 한반도에 더 먼저 전파된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였음을 알 수 있지만 당시 이슬람은 외국인들의 종교로만 남고 고려인에게까지는 전해지지 못해 한국인의 종교로 들어온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는 여전히 기독교(정확히는 가톨릭)가 최초다.

공민왕 시기 들어 몽골에게 빌붙어 권세를 누리던 친원파들을 숙청하면서 반원정책을 실시하여 몽골풍을 금지했고 아울러 조선시대에 접어들면 조선에서 거주하던 위구르족들이 자신들의 풍속을 고수하며 이질적으로 생활한다는 점 때문에 조선인들과 융합되지 않는다고 하여 위구르족들을 거의 강제적으로 조선 사회로 동화시켜 버리면서 몽골풍과 함께 들어왔던 위구르풍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 이 왕자들을 한자로 질자(質子)라고 부르며 몽골어로는 툴루게(禿魯花)라고 부른다.[2] 제국대장공주, 계국대장공주, 복국장공주, 조국장공주, 경화공주, 덕녕공주, 노국대장공주[3] 순대가 몽골풍이라는 견해는 몽골의 전투식량 중 게데스라는 음식에서 유래했다는 견해도 있다. 게데스는 양의 피에 메밀가루, 야생 마늘, 부추를 넣고 소금을 섞어 간을 해 돼지 창자에 담아 솥에서 찐 음식이다.[4] 이것이 변형되어 조선 시대 상투의 특징인 백호치기가 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한 근거가 있는 건 아니다.[5] 이렇게 어미에 -치를 붙이는 몽골어 방식은 고려시대의 인명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363년에 역적 김용이 흥왕사에서 공민왕 암살을 시도했을 때 공민왕을 대피시키고 대신 죽음을 맞은 환관이 '안도치'라는 인물인데 한자로는 '安都赤'라고 쓴다. 여기서 赤은 몽골어 단어 '치'의 음차이므로 한국 한자음인 안도적이 아니라 안도치로 읽는 것이 옳다.[6] 하필이면 赤이 '적' 음가도 아닌 '치' 음가를 옮기는데 쓰인 것이 의아할 수 있는데 당시 북방 중국어는 이미 근고한어로 이행하면서 입성(入聲) 운미가 약화하여 赤의 발음이 /t͡sʰiʔ/ 로 변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실제로 파스파 문자로 한자 발음을 표기한 원대의 운서 '몽고자운'에서도 赤은 齒, 恥 등과 함께 't͡sʰi'로 분류되어 있다.[7] 빵 안에 양고기로 만든 소를 넣고 구운 음식인데 지금도 우즈베키스탄 일대에서 많이 먹는다.[8] 당시 몽골에서는 편지를 쓸 때 위구르 문자로 편지를 쓰는 일이 많았고 위구르족 출신 관료들도 고려 조정에 많았기 때문에 고려 후기~조선 초기까지 역관들이 배우는 필수 외국어 과목 중 하나로 위구르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