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0:29:24

미국의 전통적 보수주의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이념
Ideologies in the United States
사회주의 진보주의 현대자유주의 온건주의 보수주의
미국 내셔널리즘
재정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연관 이념 내셔널리즘(기독교 · 미국) · 고보수주의 · 신보수주의(레이건주의) · 입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온정적 보수주의(기독교 민주주의*) · 우익대중주의(대안 우파 · 트럼프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연관 개념 가족 가치 · 건국의 아버지들 · 고립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자유시장) · 공화주의 · 기독교 우파 · 무기소지권 · 미국 예외주의 · 보수주의 민주당 · 보호무역주의 · 불개입주의 · 시장 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유대-기독교 가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힘에 의한 평화
역사 공화당 혁명 · 남부전략 · 도금 시대 · 레이건 시대(레이거노믹스) · 록펠러 공화당 · 매카시즘 · 버번 민주당 · 보수연합 · 솔리드 사우스 · 티 파티
정당 공화당 · 국민공화당 · 근왕파* · 금주당 · 무지당 · 미국 연대당** · 연방당 · 헌법당 · 휘그당
인물 정치인 J. D. 밴스 · 그레그 애벗 · 넬슨 록펠러 · 니키 헤일리 · 도널드 트럼프 · 딕 체니 · 랜드 폴 · 로널드 레이건 · 로버트 A. 태프트 · 론 디샌티스 · 론 폴 · 리처드 닉슨 · 미치 매코널 · 밋 롬니 · 배리 골드워터 · 밥 돌 · 비벡 라마스와미 · 새뮤얼 알리토 · 세라 페일린 · 스트롬 서먼드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더 해밀턴 · 제럴드 포드 · 조지 H. W. 부시 · 조지 W. 부시 · 조지 케넌 · 조지프 매카시 · 존 매케인 · 존 애덤스 · 캘빈 쿨리지 · 하비 맨스필드 · 헨리 키신저
학자 · 법조인 러셀 커크 · 밀턴 프리드먼 · 어빙 크리스톨 · 윌리엄 F. 버클리 · 클래런스 토머스 · 프랜시스 후쿠야마
활동가 데니스 프레이거 · 루퍼트 머독 · 박연미 · 벤 샤피로 · 스티브 포브스 · 일론 머스크 · 팻 뷰캐넌
단체 공화당코커스(공화당 관리 그룹 · 공화당 메인 스트리트 파트너십 · 공화당 연구위원회 · 리버티 코커스 · 수정헌법 제2조 코커스 · 의회헌법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프리덤 코커스) · 보수정치행동회의 · 존 버치 협회 · 전미총기협회 · 헤리티지 재단
언론 프레거 유 · FOX NEWS · 내셔널 리뷰 · 뉴스맥스 · 뉴욕 포스트 · 워싱턴 타임즈 · 월스트리트 저널 · 포브스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식민지 시대~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 대영제국에 충성하던 친영 왕당파 세력. 현대 미국 보수주의에는 없다고 봐도 무관하다.
** 중도우파적 사회관(온건 사회보수주의) 한정. 고전적 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 요소까지 포함된 일반적인 미국의 보수주의 그 자체라기 보다는 미국의 사회보수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Russell_Kirk.jpg
미국의 전통적 보수주의를 집대성한 러셀 커크.
<colbgcolor=#f7f7f7> 전통적 보수주의
Traditionalist conservatism
창시자 <colbgcolor=#ffffff,#1f2023>존 애덤스[비조]
러셀 커크[시조]
창시일 18세기 후반 (기원)
1950년대 (집대성)
이념 보수주의 (미국)
반공주의
반(反)뉴딜 정책
반(反)자유지상주의[3]
연방주의 (중앙집권 옹호)
기독교 윤리
가족 가치
고전적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연관 주제 고보수주의[4]
재정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연방당
매카시즘

1. 개요2. 역사3. 사상 및 정책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전통적 보수주의는 18세기 후반 존 애덤스, 알렉산더 해밀턴 등의 전통적인 보수주의 사상과 그것을 계승한 1930~50년대의 보수주의 운동을 이른다. 고보수주의나 신보수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의 이념으로서 현대 미국의 보수주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러셀 커크가 이 운동을 이끈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는 자신이 존 애덤스나 해밀턴의 사상의 적통이라 주장했으나 잘 살펴보면 완전히 같지는 않으며, 전통적 보수주의 운동 내에서도 다소 의견차가 있다. 대표적으로 외교정책 같은 경우 러셀 커크는 고보수주의식 고립주의를 주장하고 이스라엘에 반대했으나 윌리엄 버클리 주니어는 신보수주의식 매파적 외교관을 견지했다.

2. 역사

미국의 전통적 보수주의는 본래 18-19세기의 보수적 정당인 연방당에서 기원한다. 그들은 주의 자치나 세속주의보다는 중앙집권과 기독교 윤리를 옹호했으며, 정치적 급진주의나 포퓰리즘에 반대하는 엘리트주의 성향이었다. 연방당의 주요 인물로 존 애덤스알렉산더 해밀턴이 있었는데, 경제 문제에 있어서도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일각의 의견에 맞서 미국의 경제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므로 보호무역을 통해 내수 산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미국의 헌법은 주로 이들에 의해 작성되었고, 현대 미국의 헌법적 보수주의자들은 헌법을 작성한 당대 건국의 아버지들의 의도에 따라 헌법을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세기 민주공화당에서 앤드류 잭슨에 반대하는 이들이 뛰쳐나와 결성한 휘그당 역시 전통적 보수주의 성향이 강했다. 포퓰리즘에 근거한 자유무역과 급진주의를 주장하는 잭슨 민주주의에 맞서 기독교적 가치와 질서, 관습을 수호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전통적 보수주의를 대표하는 정치인으로는 대니얼 웹스터헨리 클레이 등이 있고, 당시 막 형성되는 단계였던 하버드 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 로스쿨 및 이 로스쿨을 거쳐간 법률가들의 이념 역시 교육받은 엘리트로서 헌법과 질서를 수호하고 연방을 중심으로 정치질서를 확립한다는 전통적 보수주의 성향을 확고히 띄었다.

그러나 이후 남북전쟁 등을 거치며 정치권에서 전통적 보수주의는 상당히 침체하게 된다. 그러다 20세기 초부터 다시금 보수주의 운동이 크게 일기 시작했다. 이 운동의 중심은 '아메리칸 리뷰'라는 잡지였다. 이 잡지에 주로 실린 것은 '신인문주의'라고 불리는 문학 비평 이론가들의 글이었는데, 이 신인문주의는 낭만주의모더니즘에 반대하는 운동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보수적 성향을 띄게 되었으며, 하버드 대학과 프린스턴 대학이 중심이 되었다.

또 다른 주된 조류는 바로 '남부 농업인들(Southern Agrarians)'이라 불리는 문학 비평 그룹으로, 이들은 산업주의와 도시 문화, 모더니즘의 해로움을 비판하고 프랑스의 조제프 드 메스트르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가치와 전통, 농본주의를 강경하게 옹호했다.

전통적 보수주의가 집대성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부터였다. 시카고 대학의 영문학 교수 리처드 위버가 1948년 근대 철학을 비롯한 근대성에 의해 서구의 전통적 가치가 훼손되고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 것을 시작으로 역사학자이자 시인 피터 비렉, 정치철학자인 에릭 푀겔린, 사회학자인 로버트 니스벳, 역사학자인 클린턴 로시터 3세 등 다양한 지식인과 교수들이 보수주의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이론화했다. 이들은 빈 체제를 완성한 메테르니히, 근대적 보수주의의 아버지인 에드먼드 버크알렉시스 드 토크빌의 사상을 연구했으며, 공동체와 질서라는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근대성이 전통과 공동체를 상실하게 했다고 비판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다. 이들 중에는 과거 사회주의자였다가 전향한 이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다, 마침내 1953년 러셀 커크에 의해 완전히 집대성되었다. 그는 미국의 전통적 보수주의를 계보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그때까지의 이론화 작업을 이어받아 완전히 사상적으로 체계화를 이루었다. 한국에도 번역된 '보수의 정신'은 비단 전통적 보수주의 뿐 아니라 미국 보수주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3. 사상 및 정책

이들은 뉴딜 정책과 세계대전으로 인해 성장한 군산복합체, 팽배한 상업주의와 물질만능주의를 규탄했으며, 당시의 서구 문명이 쇠퇴한다고 인식하여 공동체와 전통, 종교적 가치를 회복할 것을 주장했으며 진보주의 운동에 맞서 계급과 위계질서, 금욕주의를 옹호했다. 경제적으로는 자유지상주의에도 반대하여 정부가 대기업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재산권은 옹호하여 사회주의에도 반대했다. 이들의 사조는 당시 '새보수주의 운동'(New Conservatism)이라고 불렸다.


[비조] [시조] [3] 정확히는, 질서자유주의나 고전적 자유주의에는 긍정적이었으나 이외 전통이나 질서에 대한 존중이 없는 자유주의 사상을 혐오했으며, 규제 없는 자유 시장 또한 믿지 않았다. 다만 재산권 옹호에는 긍정적이었다.[4] 고보수주의를 이론화한 1세대 철학자 다수가 50년대 전통적 보수주의 운동에 참여한 이들이었다. 고보수주의는 또한 전통적 보수주의의 많은 부분을 계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