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0:08:00

캘빈 쿨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조지 워싱턴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제임스 K. 포크 재커리 테일러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에이브러햄 링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앤드루 존슨 율리시스 S. 그랜트 러더퍼드 B. 헤이스 제임스 A. 가필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체스터 A. 아서 그로버 클리블랜드 벤저민 해리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윌리엄 매킨리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우드로 윌슨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제45대 제46대 제47대*
도널드 트럼프 조 바이든 도널드 트럼프
}}}}}}}}}}}}
캘빈 쿨리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0d16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에런 버 조지 클린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엘브리지 게리 대니얼 D. 톰킨스 존 C. 칼훈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처드 멘터 존슨 존 타일러 조지 M. 댈러스 밀러드 필모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윌리엄 R. 킹 존 C. 브레킨리지 해니벌 햄린 앤드루 존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스카일러 콜팩스 헨리 윌슨 윌리엄 A. 휠러 체스터 A. 아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토머스 A. 헨드릭스 리바이 P. 모턴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개릿 A. 호바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찰스 W. 페어뱅크스 제임스 S. 셔먼 토머스 R. 마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캘빈 쿨리지 찰스 G. 도스 찰스 커티스 존 낸스 가너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헨리 A. 월리스 해리 S. 트루먼 앨번 W. 바클리 리처드 닉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린든 B. 존슨 휴버트 험프리 스피로 애그뉴 제럴드 포드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넬슨 록펠러 월터 먼데일 조지 H. W. 부시 댄 퀘일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앨 고어 딕 체니 조 바이든 마이크 펜스
제49대 제50대
카멀라 해리스 J. D. 밴스
}}}}}}}}}}}}

파일:매사추세츠 주지사기.svg
매사추세츠 주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핸콕 제임스 보든 존 핸콕 새뮤얼 애덤스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인크리스 섬너 케일럽 스트롱 제임스 설리번 크리스토퍼 고어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엘브리지 게리 케일럽 스트롱 존 브룩스 윌리엄 유스티스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리바이 링컨 주니어 존 데이비스 에드워드 에버렛 마커스 모튼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존 데이비스 마커스 모튼 조지 N. 브릭스 조지 S. 바우트웰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존 H. 클리포드 에모리 워시번 헨리 가드너 너새니얼 P. 뱅크스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존 앨비언 앤드루 알렉산더 블록 윌리엄 클래플린 윌리엄 B. 워시번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윌리엄 개스턴 알렉산더 H. 라이스 토머스 탤벗 존 데이비스 롱
<rowcolor=#fff>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벤저민 버틀러 조지 D. 로빈슨 올리버 에임스 존 Q. A. 브라켓
<rowcolor=#fff>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윌리엄 E.러셀 프레데릭 T. 그린할주 로저 월콧 윈스럽 M. 크레인
<rowcolor=#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존 L. 베이츠 윌리엄 루이스 더글러스 커티스 길드 주니어 에벤 섬너 드레이퍼
<rowcolor=#fff>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유진 포스 데이비드 I. 월시 새뮤얼 W. 맥콜 캘빈 쿨리지
<rowcolor=#fff>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채닝 H. 콕스 알반 T. 풀러 프랭크 G. 앨런 조셉 B. 엘리
<rowcolor=#fff>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임스 마이클 컬리 찰스 F. 헐리 레브렛 솔튼스톨 모리스 J. 토빈
<rowcolor=#fff>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로버트 F. 브래드퍼드 폴 A. 데버 크리스티안 헤르터 포스터 퍼콜로
<rowcolor=#fff>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존 A. 볼프 엔디콧 피바디 존 A. 볼프 프랜시스 서전트
<rowcolor=#fff>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마이클 두카키스 에드워드 J. 킹 마이클 두카키스 빌 웰드
<rowcolor=#fff>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폴 셀루치 밋 롬니 데발 패트릭 찰리 베이커
<rowcolor=#fff> 제73대
마우라 힐리 }}}}}}}}}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Calvin Coolidge
파일:calvin-coolidge.jpg
본명 존 캘빈 쿨리지 주니어
John Calvin Coolidge Jr.
출생 1872년 7월 4일[1]
미국 버몬트 주 윈저 카운티
사망 1933년 1월 5일 (향년 60세)
미국 매사추세츠주 노샘프턴
재임기간 제29대 부통령
1921년 3월 4일 ~ 1923년 8월 2일
제30대 대통령
1923년 8월 2일 ~ 1929년 3월 4일[2]
서명 파일:캘빈 쿨리지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d164a><colcolor=#ffc224> 부모 아버지 존 캘빈 쿨리지 시니어(1845 ~ 1926)
어머니 빅토리아 조세핀 무어(1846 ~ 1885)
배우자 그레이스 쿨리지(1879 ~ 1957, 1905년 결혼)
자녀 존 아서 쿨리지(1906 ~ 2000) : 2녀
캘빈 쿨리지 주니어(1908 ~ 1924)
학력 애머스트 칼리지 (B.A.)
종교 개신교 (침례회)
신장 175.3cm
정당

문장 파일:Coat_of_Arms_of_Calvin_Coolidge.png }}}}}}}}}
파일:external/8b6e210bf0a143ae10f9680e36d1d3a13c8d28928992fa6a2229e5cd1f8a0f2c.jpg
백악관 공식 초상화

1. 개요2. 약력3. 생애4. 평가5. 기타
5.1. 쿨리지 효과(Coolidge effects)?5.2. 침묵의 쿨리지(Silent Cal)
6. 선거 이력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제30대 미국 대통령의 육성[3]
미국의 제30대 대통령.

워런 G. 하딩 행정부에서 제29대 미국 부통령으로 재임하다 하딩 대통령의 급서로 직을 승계해 취임했다.

잠이 많고 말이 없는 특유의 스타일로 워싱턴 정가에서 소소한 일화를 많이 만들어낸 인물이기도 하며, 그 유명한 잠 자다 취임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휴가를 떠나 고향집에서 잠을 자던 중에 하딩 대통령의 급서 소식을 전달받으며 깨어났고, 자신이 자던 침실에서 곧바로 취임 선서를 했다. 침실에서 취임 선서를 하는 캘빈 쿨리지의 모습.

2. 약력

3. 생애

1872년 7월 4일 버몬트 주 윈저 카운티에서 잡화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 중 유일하게 독립기념일에 태어난 대통령이다.
파일:external/www.vhscommunityhistory.org/youngcal.jpg
파일:external/www.historyking.com/Calvin-Coolidge-Bioraphy.jpg
에머스트 대학교를 졸업하고 공화당에 입당, 이후 매사추세츠 주노샘프턴 시장을 지내고 매사추세츠 부지사를 역임했다.

그가 부지사로 재임하던 1910년대 말은 노동운동이 대단히 격렬했던 시기다. 1919년, 매사추세츠 주에서도 보스턴 경찰 노조와 연대 파업에 나선 미국노동총연맹(AFL)의 파업이 거셌다. 이에 쿨리지는 주방위군을 동원하여 파업에 참여한 경찰 노동자를 강제해산, 해고시키고, 노동총연맹의 위원장 새뮤얼 곰퍼스(Samuel Gompers)에게 다음과 같이 통보했다.
"Your assertion that the Commissioner was wrong cannot justify the wrong of leaving the city unguarded. There is no right to strike against the public safety by anybody, anywhere, anytime!"
당신 말대로 (경찰 당국) 위원이 잘못된 조처를 했다고 해도, 그게 도시 치안을 직무유기하는 걸 정당화 할 수는 없소.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파업을 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어디에도, 언제라도 있을 수 없소!

단호한 이 한마디로 쿨리지는 전국구적 명성을 얻게 되었다.

주목할 점은, 쿨리지의 저런 반응은 '보스턴 경찰 노조의 파업'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심지어 소방 노조 등의 동조 파업도 예고되었던 상황이었기도 했다. 문자 그대로 '공공의 안전'을 담보하는 경찰들이 파업으로 공백을 드러내면 안 된다는 논지.[4] 물론 공무원 노동운동을 적극 지지하던 AFL는 '여하간에 경찰 노동 조건이 헬인 건 사실 아니냐'며 불만을 표출했고, 실제로 노동조합 측 표를 잃은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노동운동 자체를 사회주의 운동과 결부시켜 생각하던 공화당 내부에서는 '보수의 샛별'로 두각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실제로 쿨리지는 그 해 주지사 선거에서 당선됐다.[5]

여하간 저 발언으로 쿨리지는 공화당의 스타가 되었고, 다음해 바로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어 1920년 워런 G. 하딩러닝메이트로 대선에 출마하여 승리, 부통령이 되었다. 참고로 이때 민주당 부통령 후보는 바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였다.

그러나 하딩은 임기를 시작한지 2년이 조금 지난 1923년 8월 2일에 사망했다. 이 때 쿨리지는 고향인 버몬트 주의 아버지 집에 있었는데, 하딩이 죽은 다음날 오전 2시 30분 잠을 자고 있다가[6] 아버지에게 하딩의 부고를 접하고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 때 그의 아버지가 한밤중에 잡화점 계산대에 성경을 올려 놓고 불을 밝히고 쿨리지에게 대통령 선서를 시켰다는 일화는 대단히 유명하다.[7] 이 선서가 끝난 후 쿨리지는 다시 세 시간 동안 잠을 잤다. 이후 백악관에 들어가 대통령 업무를 시작했다. 이 이야기는 국내에도 《스펀지》를 통해 '미국에는 잠자다가 대통령이 된 인물이 있다'라는 주제로 알려지기도 했다.[8]

취임 후 하딩의 남은 임기 1년간 쿨리지는 하딩 시대의 부패 공무원을 축출하는 등[9] 공무원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되찾는 데 힘썼으며, 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바로 이듬해 1924년 대선에서 가뿐히 재선되었다. 이때 쿨리지는 1572만표를 얻어 54%(선거인단 382명) 대 28.8%(민주당 후보 존 W. 데이비스 - 선거인단 136명), 16.6%(진보당 후보 로버트 라폴레트 - 선거인단 13명(위스콘신))라는 어마어마한 승리를 거뒀다. 흥미로운 건, 이런 압도적 대승에도 불구하고 쿨리지가 전임자보다 표를 덜 받고 당선된 최초의 대통령이라는 사실이다.[10] 하딩은 여성 참정권이 부여된 이후 첫 선거를 치른 인물이었기도 했고, 또 워낙 미남이었기에 묻지마 표로 1614만표(60.3%)를 얻었다. [11]

이때 쿨리지 캠프는 당대에 홍보 전문가로 유명한 에드워드 버네이스를 영입했는데 버네이스는 쿨리지의 딱딱한 인상을 풀어주기 위해 백악관에서 연회를 실시, 여기에 당시의 유명한 연예인들을 초대했고 이 자리에서 쿨리지가 환하게 웃는 표정이 포착되었다. 사실 이때 연예인들은 쿨리지를 웃기는 게 거의 불가능했는데, 유머작가인 월 로저스가 성공을 거뒀다. 비서가 "이분이 바로, 쿨리지 대통령님(President Coolidge)입니다."라고 하자 대통령에게 못알아들은 척 "예? 성함을 다시 한 번 말씀해주시겠어요?"라고 대답했다. 놀랍게도, 쿨리지는 이에 박장대소했다. 그러자 언론은 쿨리지가 웃는다!는 기사를 일제히 보도했고 이 이미지 전략이 먹혀 무뚝뚝한 이미지와는 다른 면모가 국민들에게 먹혔다고 한다. 로저스는 "쿨리지는 브라이언이나 대로우(Bryan or Darrow)보다도 훌륭한 진화의 증거이다. 말하지 않는 때를 안다는 것인데, 이 점이 바로 원숭이인간에게 물려준 가장 좋은 유산이기 때문이다."란 말을 남겼다.[12]

재선 후 쿨리지는 당시 패전국가였던 독일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는데 당시 부통령이었던 찰스 도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독일의 전쟁배상금을 줄여 경제 안정을 도왔으며, 이 시기에 전쟁을 국가정책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제정되어 평화적인 제스처를 국제 사회에 보이려고 했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현실은 시궁창. 이후 독일의 행적이나 미국의 행동으로 인해 이 정책들은 유명무실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미국 시민권을 부여하는 법안이 통과된 게 쿨리지의 임기에 이루어진 업적 중 하나. 아래의 추장 코스프레도 다 이유가 있었던 거다. 백악관에서 원주민 추장들과 만나기도 했다.[13] 후버의 러닝메이트였던 31대 미국 부통령 찰스 커티스(1860~1936 - 재임 1929~1933)는 어머니가 미국 원주민이라서 원주민 보호에 앞장서던 인물이었고 쿨리지의 이 점을 칭송했다. 그리고 백인들과 동일한 흑인 및 유색인종의 헌법적인 권리를 주장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동시에 남유럽, 동유럽계 이민을 제한하는 법안에 서명하는 이중성을 보이기도 했었다. 한편 후임 대통령인 후버 때부터는 상황이 반전되어 흑백갈등이 고착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자다가 대통령이 된 인물'답게 롱슬리퍼(잠을 많이 자는 체질의 사람)여서 대통령이 되고서도 국무회의에서 조는 일이 많아 구설에 올랐고 매일 11시간은 철저히 수면에 투자했다. 오후에 정기적으로 낮잠을 2~4시간 자고 항상 오후 10시에 취침에 들었다고. 그래서 당시의 저널리스트 헨리 L. 멘켄[14]은 "그의 최대 업적은 미국 역사상 어떤 대통령보다 가장 잠을 많이 잔 것이고 더 적게 말한 것이다. 그가 하품하고 기지개를 켜는 동안 미국은 추락했다"라고 비꼬았다.

쿨리지 시절은 미국은 미국의 제1차 황금기인 광란의 20년대(Roaring Twenties)라고 불렀으며 연 평균 경제성장률을 9% 이상 유지했다. 당시 재무장관 앤드류 맬른은 자유방임적인 감세정책을 시도했으며 그 덕택에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기와 비슷하게 주식시장은 엄청난 호황을 누리면서 비록 빈부격차는 심하기는 했어도 사회전반적으로 돈이 넘쳐흐르게 돼 일반 중산층들도 당시 신생매체로 각광받던 라디오를 각 가정마다 1대씩은 가질수있게 되었고 그 이전까지 부유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자동차가 중산층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으로 보급되면서 마이카 시대도 열렸지만[15] 어쨌든 이것이 경제의 건실한 성장이라기보다는 거품경제였다는게 문제였다.

경제 대공황의 징조는 이미 쿨리지 임기말부터 기업들의 이윤율이 떨어지고 재고품이 늘어나기 시작되었으며 실업률도 조금식 올라가며 예견되고 있었지만 이러한 경고는 주식에 미쳐있던 당시 상황에서 무시되었으며 금융당국에서도 적절한 대처에 실패했다. 그 때문에 호황이 뒤이어 대공황이라는 파국으로 끝나면서 쿨리지가 경제에 무지했던 탓에 파국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반대하는 학자들은 감세 정책을 내며 말한 정견을 보면 작은 정부와 가계의 소득을 증대시켜 주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있었고 당시 주류 학계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있었다고 강변한다. 그가 저축밖에 몰랐다는 사실은 오해이며 쿨리지는 대공황이 터졌을 때도 수요와 공급에 의해 대공황이 저절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했는데 이는 현대의 자유방임 경제학자들이 대공황에 대한 주장과 동일하다.

하지만 이것은 당시 경제학계가 얼마나 아둔하게 돌아갔는지 알 수 있는 한 단면이기도 하다. 어쨌든 앤드류는 이후 허버트 후버 때까지도 재무장관직을 역임했지만 대공황이 터졌을 때 경제가 회복되겠지라면서 무능하게 대처했고 결국 경제 대공황을 초래한 재무장관이라는 불명예만 안고 해임되었다.

본인에게는 그나마 운좋게도 대공황을 모면했다. 대통령에서 퇴임하던 해는 1929년 3월이었는데, 대공황은 1929년 10월에 터졌다. 퇴임 당시 쿨리지의 인기는 낮지 않았고 대통령이 될 가능성도 충분했으나 출마하지 않은 것이다. 7개월 후에 공황이 터지는 바람에 비난은 후임자인 허버트 후버가 다 받았고 쿨리지는 별다른 비난을 받지 않았다.[16] 뒷날 로널드 레이건은 쿨리지의 시장 불간섭 정책을 존경해서 쿨리지의 초상화를 백악관에 소중하게 걸어 놓았다고 한다. 또한 간단명료함과 과묵함이라는 캐릭터, 검소함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당시 대중들 사이의 인기는 그럭저럭 좋은 편이었다고 한다.

어쨌든 1928년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한다는 선언을 했고,[17] 퇴임 후에는 철도위원회 의장, 맹인협회 의장, 미국역사학회 회장 등 여러 자리를 역임했다. 그는 평생 작은 선거부터 대선까지 20여회의 선거를 치렀는데 거기서 낙선한 것은 단 한번뿐이라고 한다. 낙선한 것은 학교 운영위원회 이사 선거뿐이었다고. 운이 좋았다고 해야 할지, 아니면 그 나름의 능력이 있었던 것인지의 판단은 각자 알아서. 다만 온갖 이권이 걸린 선거들에서 이기고 또 이긴걸 보면 이기는 법을 알든 이기는 판에만 뛰어드는 안목이 있든 유능한 건 확실하다 봐도 좋다.

말년에는 자서전을 집필하고 여생을 보내다가 대공황 와중인 1933년 1월 5일 자택에서 세상을 떴다. 향년 60세. 부인이 시장에 가기 위해 외출을 했고 쿨리지는 면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부인이 시장에 다녀오자 쿨리지는 자택 마루바닥에서 쓰러져 숨져 있었다고. 사인은 심장마비. 그래서 그 날 마지막으로 들었던 말은 자택을 수리하러 온 목수에게 인사한 말인 "Good morning, Robert"라고 한다.

죽기 며칠 전에 죽음의 그림자를 느꼈는지 친구에게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
"I feel I no longer fit in these times."
(나는 더 이상 이 시대에 맞지 않는 것 같네.)

4. 평가

미국의 과거 전성기이던 광란의 20년대를 이끈 대통령이기에 대통령 시절 평가는 전체적으로는 무난한 편. 다만 미국 대통령 순위권에서는 꾸준히 중하위권에 속하는 편이다. 사실 이것도 21세기 이후 기준이고, 20세기에는 최하위권속하는 대통령하나였다. 지금은 후임자 후버가 거의 최하위권에 위치하는 신세.

무능했던 전임자 하딩과 대공황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는 후임자 후버보다는 당연히 고평가 받는 편이어서 공화당에서 어느 정도 인지도 있고 고평가하는 대통령이기도 하다. 그의 자유방임주의 사상과 업적을 공화당 출신인 로널드 레이건이 존경했던 걸 보면 확실히 '경제적 자유방임주의'에서는 고평가받는 대통령이었다.

전임자 하딩의 부패한 공무원들은 해임하고 하딩과 심지어는 전임자 윌슨이 남긴 실책들 역시 바로 잡았으며 원주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함으로써 인권을 높였다. 1920년대의 호황 속에, 현대적 마케팅과 대중문화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단 한 가지,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과의 외교는 실패했다고 할 수 있겠다. 결국 독일은 다시 전쟁을 일으켜 쿨리지 시기의 외교는 의미가 없어져버렸기 때문이다. 당시 1차 세계대전 전후 처리 관련으로 노벨상을 받았던 부통령 찰스 G. 도스가 말한 도스 안을 바탕으로 독일과의 외교를 했었지만 결국 독일은 전쟁으로 향하고 말았다.

인종정책면에서도 비판이 있는데, 공화당 전당대회 당시 남부 대의원들을 확보하기위해 KKK 비난에 열을 올리지않은점, 이민쿼터제에 적극 찬성한점등이 꼽힌다. 물론 전전임자인 우드로 윌슨 대통령같이 대놓고 인종차별주의자였던 것은 아니지만, 공화당의 사회보수주의화에 일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공황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쿨리지가 재선을 해 또다시 대통령이 되었다면 과연 대공황이 터졌을까?는 오랜 떡밥거리. 의외로 미국 내에서도 쿨리지는 대공황 관련으로 딱히 비판을 받지 않는 편이다. 심지어 쿨리지가 계속 임기를 이어나갔다면 대공황이 터지지 않았을 거라는 주장도 있다.[18] 주로 후버의 규제 정책이 대공황을 더 심화시켰다는, 방임주의를 지지하는 측에서 나오는 평가이다. 반대로 개입주의를 지지하는 측은 쿨리지가 집권했다면 방임주의 정책으로 상황을 더 악화시켰을거라는 관측도 있다.

5. 기타

사과로 유명한 버몬트 출신 답게 애플파이를 즐겨먹었고 영부인 그레이스가 만든 치킨 찹 수이와 치킨 차오몐같은 미국식 중화 요리도 좋아했다

의외로 워낙 장난기가 많아서 백악관에서 은근슬쩍 장난을 치곤 했는데 이와 관련한 일화도 많이 남아 있다.

미국의 제6대 대통령 존 퀸시 애덤스의 초상화를 보고 대머리였던 존 퀸시 애덤스의 머리가 너무 반짝이는 게 안쓰러웠는지 직접 초상화의 머리에 덧칠을 해줬다. 허버트 후버 항목에 나와 있듯이 이 일에 대한 사과는 허버트 후버가 했다.

꽤나 독득한 습관이 있었는데, 바로 매일 아침을 침대에서 먹으며 백악관 직원에게 자신의 머리에 바셀린을 바르게 하는거였다. 쿨리지는 이러한 행위를 건강을 위해 했다고 밝혔다.

남부가 독립한 가상의 역사를 다룬 타임라인-191 시리즈에서는 실제 역사보다 늦게 대통령에 당선된다. 대신 사회당의 업튼 싱클레어가 쿨리지의 시기에 대통령으로 재직한다. 쿨리지는 민주당[19] 후보로 1928년 대선에 출마하나 작중 오리지널 캐릭터인 미국 사회주의당조슈아 블랙퍼드에게 패배, 그러나 블랙퍼드 임기 중 경제대공황이 터지면서 1932년 벌어진 리턴매치에서 압승한다. 그리고 대통령 당선자 신분인 상태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사촌 아서 W. 쿨리지도 정치인이었고 이 사촌의 손녀가 영화 감독 마사 쿨리지다.

5.1. 쿨리지 효과(Coolidge effects)?

어느 날 쿨리지 대통령 내외는 생산성이 좋은 양계장을 견학했다. 영부인은 양계장 주인에게 어떻게 하면 이런 많은 달걀을 생산할 수 있고 수탉은 하루에 몇 번이나 교미를 하느냐는 등의 질문을 했는데 이에 주인은 "우리 양계장의 수탉들은 하루에 수십번(dozens)은 짝짓기를 하지요"라고 말했다. 영부인은 이 말에 놀라면서 흡족한 얼굴로 이 말을 대통령이 오면 전해 달라고 했다.

그래서 주인은 쿨리지에게 이 얘기를 전했는데 쿨리지는 이 말을 듣고 이상하다는 표정으로 이렇게 질문을 했다.
"(그럼 그 수탉은) 항상 같은 암컷하고만 합니까?"
주인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면서 매번 다른 암탉하고도 한다고 말하자 쿨리지는 "그럼 이 얘기를 아내에게 전해 주시오."라고 덤덤히 최후의 일격을 날렸다.

이 일화에서 나온 용어가 바로 '쿨리지 효과'라는 성의학적 용어이다. 즉 한 마리의 암컷과 여러 번 연속적으로 교미한 수컷은 더 이상 그 암컷을 상대하지 않는다는 얘기인데 성행위 상대를 바꾸면 욕망이 증대되는 경우를 뜻한다고 한다.

참고로 이 일화는 쿨리지 본인의 실제 일화는 아니다. 일종의 대통령 개그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프랭크 A. 비치(F. A. Beach)라는 동물 행동학자가 1955년 저작에서 처음으로 썼는데, 본인도 이것이 농담임을 밝히고 있다. 이게 그럴듯해 보일 정도로 쿨리지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었단 이야기.

5.2. 침묵의 쿨리지(Silent Cal)

외모에서 풍기는 분위기만큼 대단히 무뚝뚝하고 내성적인 사람이었으며, 그 성격만큼 말을 많이 하지 않은 과묵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말과 글은 미국 역대 대통령들을 포함해 모든 미국 정치인들 중에서도 대단히 짧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 문장에 사용한 단어의 평균이 단 18개에 불과했다고. 매사추세츠 주지사 시절 그를 전국적으로 주목받게 한 경찰 노조 파업 관련 일침 역시 상술한 대로 두 문장(평균 15단어)다

당시 정치인들은 한 문장에 단어 50~60개를 쓰는 게 일상이었고, 간결하게 정보를 전달해야 할 신문에서도 당시에는 만연체가 한 가득했다.[20]

지금 시대에 비유하자면 쿨리지는 모든 대답에 단답형으로 대답하기만 하는 과묵한 사람 정도로 비유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그래서 대통령으로서의 업적보다는 그의 과묵함과 관련한 이야기가 더 화제가 되곤 한다.

사실 쿨리지의 고향인 버몬트 주 자체가 무뚝뚝하고 눈치없이 사실만을 말하는 고장이란 인식이 널리 박혀 있는데(기후 자체도 차갑고 건조하다), 그는 전형적인 버몬트 인이었다. 버몬트 사람들의 성격에 대한 농담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버몬트 문서 참고.

한편으로는 이러한 성격이 쿨리지의 아들 캘빈 쿨리지 주니어의 이른 죽음에 의한 우울장애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의 과묵한 성격과 짧은 말에 관해 여러 일화가 존재한다.

앞에서 언급했듯 말은 많이 안 하지만, 말 한 마디를 하기만 하면 정곡을 찌르는 스타일이었다. 그래서인지 단순명쾌한 명언을 꽤 남기기도 했다.

6.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당선 여부 비고
1915 미국 부지사 선거 매사추세츠

255,542 (52.13%) 당선 (1위) 초선
1916 미국 부지사 선거 283,166 (56.07%) 재선
1917 미국 부지사 선거 223,157 (60.37%) 3선
1918 미국 주지사 선거 214,863 (50.87%) 초선
1919 미국 주지사 선거 317,774 (60.94%) 재선
1920 미국 부통령 선거[27] 미합중국 16,144,093 (60.31%, 404명) 초선[28]
1924 미국 대통령 선거 15,723,789 (54.04%, 382명) 재선

7.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연관 이념 내셔널리즘(기독교 · 미국) · 고보수주의 · 신보수주의(레이건주의) · 입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온정적 보수주의(기독교 민주주의*) · 우익대중주의(대안 우파 · 트럼프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연관 개념 가족 가치 · 건국의 아버지들 · 고립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자유시장) · 공화주의 · 기독교 우파 · 무기소지권 · 미국 예외주의 · 보수주의 민주당 · 보호무역주의 · 불개입주의 · 시장 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유대-기독교 가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힘에 의한 평화
역사 공화당 혁명 · 남부전략 · 도금 시대 · 레이건 시대(레이거노믹스) · 록펠러 공화당 · 매카시즘 · 버번 민주당 · 보수연합 · 솔리드 사우스 · 티 파티
정당 공화당 · 국민공화당 · 근왕파* · 금주당 · 무지당 · 미국 연대당** · 연방당 · 헌법당 · 휘그당
인물 정치인 J. D. 밴스 · 그레그 애벗 · 넬슨 록펠러 · 니키 헤일리 · 도널드 트럼프 · 딕 체니 · 랜드 폴 · 로널드 레이건 · 로버트 A. 태프트 · 론 디샌티스 · 론 폴 · 리처드 닉슨 · 미치 매코널 · 밋 롬니 · 배리 골드워터 · 밥 돌 · 비벡 라마스와미 · 새뮤얼 알리토 · 세라 페일린 · 스트롬 서먼드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더 해밀턴 · 제럴드 포드 · 조지 H. W. 부시 · 조지 W. 부시 · 조지 케넌 · 조지프 매카시 · 존 매케인 · 존 애덤스 · 캘빈 쿨리지 · 하비 맨스필드 · 헨리 키신저
학자 · 법조인 러셀 커크 · 밀턴 프리드먼 · 어빙 크리스톨 · 윌리엄 F. 버클리 · 클래런스 토머스 · 프랜시스 후쿠야마
활동가 데니스 프레이거 · 루퍼트 머독 · 박연미 · 벤 샤피로 · 스티브 포브스 · 일론 머스크 · 팻 뷰캐넌
단체 공화당코커스(공화당 관리 그룹 · 공화당 메인 스트리트 파트너십 · 공화당 연구위원회 · 리버티 코커스 · 수정헌법 제2조 코커스 · 의회헌법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프리덤 코커스) · 보수정치행동회의 · 존 버치 협회 · 전미총기협회 · 헤리티지 재단
언론 프레거 유 · FOX NEWS · 내셔널 리뷰 · 뉴스맥스 · 뉴욕 포스트 · 워싱턴 타임즈 · 월스트리트 저널 · 포브스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식민지 시대~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 대영제국에 충성하던 친영 왕당파 세력. 현대 미국 보수주의에는 없다고 봐도 무관하다.
** 중도우파적 사회관(온건 사회보수주의) 한정. 고전적 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 요소까지 포함된 일반적인 미국의 보수주의 그 자체라기 보다는 미국의 사회보수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자유지상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자유지상주의 (우파(주류) · 좌파(비주류))
연관 이념 고자유지상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신고전적 자유주의) · 아나코 캐피탈리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지공자유지상주의 · 초월주의 · 최소국가주의
연관 개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계약의 자유 · 문화적 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단일세 · 반제국주의(고립주의 · 불개입주의) · 사유재산(재산권) · 시장 근본주의 · 자연법 · 자유(표현의 자유) · 자유방임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 재정보수주의 · 잭슨 민주주의 · 제퍼슨 민주주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향토주의
인물 게리 샤르티에 · 게리 존슨 · 놈 촘스키 · 데이비드 D. 프리드먼 · 랜드 폴 · 로버트 노직 · 로즈 와일더 레인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류 록웰 · 머리 로스바드 · 밀턴 프리드먼 · 배리 골드워터 · 스티븐 펄 앤드루스 · 아인 랜드 · 앤드류 잭슨 · 카일 쿨린스키 · 캘빈 쿨리지 · 털시 개버드 · 토머스 소웰 · 토머스 제퍼슨 · 한스-헤르만 호페 ·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 헨리 조지
관련 조직 공화당의 일부 코커스(리버티 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미제스 연구소 · Students for Liberty · 자유당(미국)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전미총기협회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1] 이 날은 다름아닌 독립기념일이자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먼로의 기일이다.[2] 실질적인 대통령 직무는 1923년 8월 3일부터.[3] 이 영상은 역사상 최초로 촬영된 미국 대통령의 연설 영상이다. 영상은 그의 두번째 임기이던 1924년에 촬영되었다. 원본 영상은 당연하게도 흑백이며, 이건 후대에 컴퓨터를 통해 컬러화를 한 영상이다. 이전까지는 미국에서 대통령의 음성 영상이 촬영된 적이 없었기에 그의 취임 선서는 현재 음성 영상으로 남아있지 않다.[4] 전체인원의 3/4가 참여한 이틀간의 경찰 파업 기간 동안 보스턴은 약탈 등으로 실로 '무법 천지'가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경찰이 폭력 집회를 했다기 보다는, 파업하느라 손 놓고 있으니 무법 천지가 되었다는 이야기다.[5] 쿨리지가 그렇다고 완고한 노동탄압가였냐면 그런 것도 아니었다. 산업계가 인간화 되지 않으면 체제가 무너진다면서, 여성과 아이들의 노동을 주 54시간 노동에서 48시간 노동으로 낮추는 법안이 통과되자 적극 실행하기도 했다.[6] 하딩이 죽은 장소 기준으로 하딩이 죽은 날 오후 11시 30분. 하딩이 죽은 곳은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였다. 그렇기 때문에 쿨리지가 있던 동북부의 버몬트 주(감을 쉽게 잡으려면, 버몬트 주는 퀘벡과 붙어있다)와는 시차가 +3시간 있었다.[7] 정확하게는 하딩 대통령의 사망소식을 가져온 버몬트주 하원의원 포터 H. 데일이 대통령직의 연속성 문제로 당장 선서할 걸 제안해서 공증인 자격이 있던 아버지와 포터 H. 데일 하원의원이 입회한 가운데 선서를 한 것.[8] 다만 아버지(캘빈 쿨리지 시니어)가 판사라는 것은 잘못 알려진 것이다. 명예직인 치안판사 직위와 공증인 자격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중에서 공증인 자격으로 대통령 선서를 공증한 것.[9] 대표적인 사례가 하딩의 포커 친구였다는 이유만으로 장관 자리까지 차지한 앨버트 폴. 그는 이후 구속되면서 미국 역사상 최초로 현직 장관이 체포되는 기록을 세웠다.[10] 미국은 이민자에 기인한 인구 증가가 엄청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심지어 동률 미만으로 득표해도 전임자보다 표를 많이 받는 구조다. 이후로는 한동안 이런 경우가 없다가,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후임자 해리 S. 트루먼이 이런 경우에 해당됐다. 2차대전 후로는 존 F. 케네디, 리처드 닉슨, 지미 카터,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가 있어서 많이 늘어난 편이다. 양 당의 각축이 심한 시대들의 인물이다.[11] 1924년 선거의 또 다른 기록이 있다면 양당제에서의 경쟁자 존 W. 데이비스다. 그는 라 폴렛의 선전으로 역대 미국 민주당에서 가장 적은 득표율을 거뒀다. 그래도 1872년에 당내 분란으로 후보 자체를 못내고 호레이스 그릴리(자유공화당) 지지한 것보단 나은 수준. 라폴레트는 일생의 거의 대부분을 공화당원으로 보냈고 단 한순간도 민주당원이었던 적이 없었다. 1912년 공화당 대통령 경선에서도 태프트, 시어도어 루스벨트에 이어 돌풍을 일으킬 정도. 1924년 선거가 끝난 직후 심혈관계 질환으로 급사하니, 향년 70세였다. 그의 유지는 아들인 로버트 라 폴렛 주니어가 이었는데, 20년간 상원의원을 지내며 위스콘신 지역당으로나마 진보당을 20여년간 끌고갔지만 결국 공화당에 복당한 1947년 경선에서 탈락했다. 이렇게 대를 이어 40년동안 위스콘신 상원의원을 지낸 라 폴렛 가문을 끝내고 당선된 공화당 상원의원이 매카시즘으로 유명한 조지프 매카시다.[12] 윌 로저스는 훗날 쿨리지가 죽었다는 말을 듣자 "그 사람들은 그걸 어떻게 알았대?"(그 사람이 스스로 죽었다고 말을 안했는데, 혹은 그 사람은 죽으나 안 죽으나 말을 안 하는데 어떻게 알았냐는 것)라는 농담을 했다고 한다.[13] 이원복은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백악관에서 추장들을 만난 대통령이 클린턴이 처음이라는 오류를 퍼트린 바 있다. 90년대 당시 《현대문명진단》에서도 미국 원주민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대해 그렸던 편에서도 원주민 추장과 최초로 만난 대통령이 클린턴이라는 오류가 실려 있는 걸 보면 그냥 먼나라 이웃나라를 저술할 때 아무런 검증작업 없이 그냥 갖다 쓴 것 같다.[14] 비꼬기와 무신론으로 유명한 저널리스트.[15] 참고로 한국에서 라디오가 대중화된 것은 1960년대의 일이며 자동차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아무리 빨라도 1980년대 중반의 일이었다.[16] 대공황으로 후버의 인기가 추락하자 1932년 대선 공화당 후보 추대론도 나왔을 정도[17] 인기가 꽤 있었음에도 불출마한건 재임 중 사망한 둘째 아들에 대한 슬픔 때문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때 한가지 촌극이 있었는데, 쿨리지는 기자들에게 "I do not choose to run for president”라는 쪽지를 돌리며 불출마 선언을 했다. 그런데 이게 문법적 혼란을 일으켜서 대통령 본인은 출마 선언을 하지 않을테니 당에서 추대해달라는 뜻으로 해석되었다. 추대 움직임이 일자 그만둬 달라고 간접적으로 불출마 선언을 확실히 했다.#[18] 사실 후버와 쿨리지의 경제 정책은 완전히 달랐다. 후버는 쿨리지와 같은 자유방임주의자는 아니었기 때문이다.[19] 여기서는 남부와의 전쟁에서 연거푸 패배한 공화당이 망하고 민주당이 보수정당으로서 장기집권한다.[20] 에이브러햄 링컨의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로 유명한 게티즈버그 연설도 한 문장에 단어 20개는 들어 있었고, 나중에 재평가를 잔뜩 받아서 그렇지 당시엔 미국인들에게 나라 망신 수준으로 투박하다고 지독하게 욕먹었다. 그런 링컨도 문장 당 35~40단어는 사용했다.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워싱턴이 "연방은 어떠한 경우에도 유지되어야 하며 어쩌고 저쩌고...", 링컨이 "연방은 어떠한 경우에도 어쩌고 저쩌고 끝!"이라고 하는 반면, 쿨리지는 "그렇게 적은 단어로도 대화가 가능하세요?" 라고 묻는 기자의 질문에 "돼!"라고 딱 한 단어로 대답하는 것으로 묘사했다.[21] 테니스를 치다가 물집이 생겼는데 하필 그 물집이 곪아서 패혈증이 되는 바람에 손쓰지 못하고 패혈증으로 사망. 안타깝게도 그가 죽고 4년 후에 페니실린이 발견되었다. 물론 발견부터 상용화까지 또 많은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22] 미영전쟁 당시 영국 국왕은 조지 3세, 쿨리지 임기 당시 영국 국왕은 조지 5세였다.[23] 마침표와 쉼표[24] 출처: 데일 카네기, <카네기 인간관계론>[25] 허버트 후버 혹은 해리 S. 트루먼의 말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26] 이 말을 통해 보면 성실성과 근성을 추구하는 인생철학을 가진 사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27] 대통령 후보는 워런 G. 하딩.[28] 1923. 8. 2. 전임 워런 G. 하딩의 사망으로 대통령직 승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