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07:42:33

앨번 W. 바클리


<colcolor=#0d1635,#0d16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에런 버 조지 클린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엘브리지 게리 대니얼 D. 톰킨스 존 C. 칼훈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처드 멘터 존슨 존 타일러 조지 M. 댈러스 밀러드 필모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윌리엄 R. 킹 존 C. 브레킨리지 해니벌 햄린 앤드루 존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스카일러 콜팩스 헨리 윌슨 윌리엄 A. 휠러 체스터 A. 아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토머스 A. 헨드릭스 리바이 P. 모턴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개릿 A. 호바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찰스 W. 페어뱅크스 제임스 S. 셔먼 토머스 R. 마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캘빈 쿨리지 찰스 G. 도스 찰스 커티스 존 낸스 가너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헨리 A. 월리스 해리 S. 트루먼 앨번 W. 바클리 리처드 닉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린든 B. 존슨 휴버트 험프리 스피로 애그뉴 제럴드 포드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넬슨 록펠러 월터 먼데일 조지 H. W. 부시 댄 퀘일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앨 고어 딕 체니 조 바이든 마이크 펜스
제49대 제50대
카멀라 해리스 JD 밴스
}}}}}}}}}}}}

<colbgcolor=#ececec,#fff><colcolor=#0d1635>
앨번 W. 바클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레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무르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렌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로시 하이트 박사 조셉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놀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미국 전략사무국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몽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워싱턴 광역경찰국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벤 페렌츠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2024년
베트남 전쟁 부상자 후송 부대원 빌리 진 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0대
톰 대슐
제12대
척 슈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0018; font-size: .9em"
}}}}}}}}} ||
<colbgcolor=#ececec,#fff><colcolor=#0d1635>
미합중국 제35대 부통령
앨번 윌리엄 바클리
Alben William Barkley
파일:앨번 바클리.jpg
출생 1877년 11월 24일
미국 켄터키주 그레이브스 카운티
사망 1956년 4월 30일 (향년 78세)
미국 버지니아주 렉싱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재임기간 제35대 부통령
1949년 1월 20일 ~ 1953년 1월 20일
정당

서명 파일:앨번 W. 바클리 서명.svg
학력 에모리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
배우자 도로시 브로워 바클리(사별)
제인 러커 해들리 바클리(재혼)
자녀 데이비드 바클리 외 2녀
종교 개신교 (감리교회)[1]
의원선수 5(상원)
7(하원)
의원 대수 63 ~ 69(하원)
70, 73, 76, 79, 84(상원)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미국의 제35대 부통령.

2. 생애

1877년 켄터키주에서 태어났다. 바클리에게는 7명의 남매들이 있었고, 부모는 농부였다. 그는 에모리 대학교버지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공부했다. 그후 그는 법률가가 되어 검사와 판사를 지냈다.

그 후 그는 1912년 미국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되며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7선을 하다가 1926년 미국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나가 당선되며 상원 의원이 되었다. 그러다 1948년 바클리는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부통령 후보 제의를 수락하였고 미국 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제 35대 미국 부통령이 되었다.

부통령 재임기간 그는 자신의 의회에서의 오래된 정치경력을 토대로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해나갔다.[2] 그런 그는 트루먼 대통령이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려고 하였으나[3], 바클리는 부통령 재직을 기반으로 대선 출마를 꾀하기도 했으나 나이와 민주당 내 압박 등 여러 리스크 때문에 대통령의 꿈을 포기하였다.

그 후 전직 부통령의 신분으로 1954년 미국 연방 상원의원에 출마하였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상원의원 취임 1년 후인 1956년 사망하였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당선 여부 비고
1912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켄터키 1구

22,591 (64.47%) 당선 (1위) 초선
1914 18,407 (65.90%) 재선
1916 30,029 (63.67%) 3선
1918 19,998 (66.78%) 4선
1920 50,635 (64.34%) 5선
1922 9,492 (69.96%) 6선
1924 41,861 (66.95%) 7선
1926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켄터키 286,997 (51.84%) 초선
1932 575,087 (59.15%) 재선
1938 346,735 (62.03%) 3선
1944 464,053 (54.81%) 4선[4]
1948 미합중국 부통령 선거[A] 미국 24,179,347 (49.06%, 303명) 초선
1954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켄터키 434,109 (54.46%) 5선[6]

4. 여담

5.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앨번 W. 바클리
국무장관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제임스 F. 번즈조지 C. 마셜딘 애치슨
재무장관 헨리 모겐소 주니어프레드 M. 빈슨존 웨슬리 스나이더
국방장관 제임스 포레스탈루이스 A. 존슨조지 C. 마셜로버트 A. 로벳
법무장관 프랜시스 비들톰 C. 클라크J. 하워드 맥그래스제임스 P. 맥그래너리
체신장관 프랭크 C. 워커로버트 E. 해네건제시 M. 도널드슨
내무장관 해럴드 L. 아이크스줄리어스 알버트 크루그오스카 L. 채프먼
농무장관 클로드 R. 위커드클린턴 앤더슨찰스 F. 브래넌
상무장관 헨리 A. 월리스W. 에이버럴 해리먼찰스 W. 소여
노동장관 프랜시스 퍼킨스루이스 B. 슈웰렌바흐모리스 J. 토빈 }}}
}}}}}}}}}

[1] 장로교회 집안에서 자랐고, 본인도 장로교회 신자였으나 감리교회로 개종하였다.[2] 사실 이 당시만해도 부통령이 하는 일은 별로 없었다. 부통령의 권한이 강해진 것은 월터 먼데일 이후[3] 사실 이때는 대통령의 3선 이상을 금하는 수정헌법 25조가 이미 나왔었다. 그러나 이는 트루먼의 대통령 재임기간 중에 나왔기 때문에 트루먼은 수정헌법에 영향을 받지 않고 3선이상 계속 출마할 수 있었다.[4] 1949년 미국 부통령 취임을 위해 사퇴[A] 대통령 후보는 해리 S. 트루먼[6] 전직부통령 신분으로 당선, 1956년 사망[7] Veep이라는 미국 부통령의 일상을 담은 드라마도 있다.[8] 린든 B. 존슨, 휴버트 험프리, 월터 먼데일, 앨 고어, 조 바이든, 카멀라 해리스[9] 다만 바로 다음 민주당 출신 부통령인 린든 존슨은 케네디 암살 이후 승계 후 재선에 도전한 케이스이다.[10] 그러나 이들 중 정작 대통령이 된 인물은 전술한 존슨 외에 조 바이든밖에 없다. 나머지는 모두 선거인단 몇 명 때문에 진 고어를 빼고 선거에서 처참하게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