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유지상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자유지상주의 (우파(주류) · 좌파(비주류)) | ||
연관 이념 | 고자유지상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신고전적 자유주의) · 아나코 캐피탈리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지공자유지상주의 · 초월주의 · 최소국가주의 | |||
연관 개념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계약의 자유 · 문화적 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단일세 · 반제국주의(고립주의 · 불개입주의) · 사유재산(재산권) · 시장 근본주의 · 자연법 · 자유(표현의 자유) · 자유방임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 재정보수주의 · 잭슨 민주주의 · 제퍼슨 민주주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향토주의 | |||
인물 | 게리 샤르티에 · 게리 존슨 · 놈 촘스키 · 데이비드 D. 프리드먼 · 라이샌더 스푸너 · 랜드 폴 · 로버트 노직 · 로즈 와일더 레인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류 록웰 · 머리 로스바드 · 밀턴 프리드먼 · 배리 골드워터 · 스티븐 펄 앤드루스 · 아인 랜드 · 앤드류 잭슨 · 카일 쿨린스키 · 캘빈 쿨리지 · 털시 개버드 · 토머스 소웰 · 토머스 제퍼슨 · 한스-헤르만 호페 · 랠프 월도 에머슨· 헨리 데이비드 소로 · 헨리 조지 | |||
관련 조직 | 공화당의 일부 코커스(리버티 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미제스 연구소 · Students for Liberty · 자유당(미국)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전미총기협회 | |||
미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대안 우파)) | }}}}}}}}} |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아바키안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자율주의: 네그리 · 베라르디 / 기타: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모턴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웨스트 | ||||||||
수학철학 |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카프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반틸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dddddd,#000><colcolor=#000000,#dddddd> Thomas Sowell 토머스 소웰 | |
출생 | 1930년 6월 30일 ([age(1930-06-30)]세)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 석사)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 Ph.D.) |
직업 | 경제학자, 역사학자, 사회이론가, 사회학자, 철학자, 정치평론가, 작가 |
정당 | ,(~1972년), ,(1972년 ~ 현재), |
링크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2. 생애
노스캐롤라이나의 개스토니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 직전에 아버지가 사망했고, 이미 아이가 넷이 있던 어머니는 이모 할머니와 사촌들에게 토머스를 입양시켰다. 샬럿으로 옮겨 가 그곳에서 자랐고 어린 시절엔 백인을 거의 보지 못 했고, 토머스는 자서전에서 말하길 금발(blond)이 머리색을 뜻하는 건지도 몰랐을 정도였다고.9살에는 뉴욕 할렘으로 이사갔다.[1] 이후 명문고인 스타이브슨 고등학교에 진학했으나, 재정 문제로 자퇴하였다. 토머스는 공장에서 일했고 배달부로 근무하였다. 1948년에는 브루클린 다저스의 트라이아웃을 받기도 했다.[2]
1951년에 미국 해병대에 징병되어 사진병으로 근무했다.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였다.
1953년, 전역 후에 하워드 대학교에 야간 코스에 진학했다. 학교에서의 우수한 성적과 성실한 학업태도를 눈여겨 본 두명의 교수들로부터 추천을 받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1958년에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학사를 수석[3]보다 한단계 아래인 최우수[4]로 졸업했고 다음해인 1959년 컬럼비아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를, 그리고 38세가 된 1968년 시카고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5년부터 코넬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근무했다.
3. 성향
20대에는 마르크스주의자였다고 한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1년간 노동부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푸에르토리코의 설탕 제조 노동자들의 실업률과 최저임금법의 관계를 조사한 후부터 시장주의자로 바뀌었다.현재에 토머스 소웰은 미국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를 대변하는 경제학자로 분류된다. 2016년에는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였다. 원래는 테드 크루즈를 지지하였으나, 트럼프가 경선에서 승리하자 그를 지지하였다.
2020년에는 민주당 조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되면, 급진 좌파들에 의해 미국의 의회와 백악관이 지배되어, 로마 제국이 멸망한 것처럼 되돌릴 수 없을 수 있다고 표현하였다. #
4. 여담
1964년 앨머 파와 결혼했으나 1975년 이혼하였다. 이후 1981년에 매리 애시와 재혼하였다.자녀 둘이 있다.
한국에서는 토머스 '소웰'로 읽고 쓰지만 실제 이름은 토머스 '소울'(soul)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