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3:29:27

J. J. C. 스마트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아바키안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자율주의: 네그리 · 베라르디 / 기타: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모턴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수학철학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스마트 ·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카프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이니스 · 매클루언 · · 플루서 · 비릴리오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보수주의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윤리학 맥키 · 앤스콤 · 헤어 · 머독 ·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블랙번 · 싱어 · 우치다 · 코스가드 · 나이먼 · 케이건 · 베나타
인식론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법철학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반틸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와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웨스트
탈식민주의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 소머스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역사철학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 앤더슨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color=#fff><colbgcolor=#00001b> J. J. C. 스마트
J. J. C. Smart
파일:jjcsmart.jpg
출생 1920년 9월 16일
영국 케임브리지
사망 2012년 10월 6일 (향년 92세)
호주 멜버른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호주|]][[틀:국기|]][[틀:국기|]]
학력 글래스고 대학교
퀸스 컬리지
경력 호주국립대학교 교수
모내시 대학교 석좌교수
분야 심리철학, 윤리학, 형이상학, 과학철학, 종교철학
지도 교수 길버트 라일

1. 개요2. 생애3. 사상
3.1. 심신 동일론3.2. 행위 공리주의 옹호3.3. 무신론
4.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 호주의 분석철학자.

2. 생애

3. 사상

3.1. 심신 동일론

3.2. 행위 공리주의 옹호

현대의 공리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어떤 개별적인 행위들의 결과가 아닌 어떤 '행위 규칙'의 전체 결과들이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주는가를 평가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규칙 공리주의'가 대두되었다. 여기서 '개별 행위의 결과'를 판단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공리주의가 고전적 형태의 공리주의이자 '행위 공리주의'라고 불리는데, 스마트는 그러한 행위 공리주의를 지지하였다.

스마트는 규칙 공리주의에 반대하는 이유로 먼저 '규칙'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으며, 그러한 기준이 있다고 하더라도 규칙을 어기는 것이 나은 상황임에도 규칙을 따르는 것을 선호해야 하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규칙에 대한 일관적인 입장을 취할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스마트는 규칙 공리주의자들을 '미신적으로 규칙을 숭배'한다고 비판하기까지 한다. 단, 스마트는 행복을 '선호'의 문제로 보며 제러미 벤담을 위시한 '쾌락'을 행복의 기준으로 삼는 고전적 공리주의와도 차이를 보인다.

또한 스마트는 우리의 '상식적 도덕'은 종교나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편견과 비합리적인 요소들이 가득하다며 그것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공리주의가 필요하다고 한다. 죄 없는 사람 한 명을 희생시키는 것이 죄 없는 사람 여러 명을 희생시키는 것보다는 낫다고 판단하는 것이 도덕 감정에는 어긋날지언정 비이성적이거나 비윤리적인 판단은 절대 아니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오히려 상식적인 도덕을 배제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는 정의, 권리, 의무 등 특정한 상황에서의 고려 없이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는 무언가를 전제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스마트의 논변은 피터 싱어, 필립 페팃 등 많은 철학자들의 이론에 영향을 끼쳤다.

3.3. 무신론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