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황장엽 · 일리옌코프 · 아바키안 / 트로츠키주의: 트로츠키 · 벤사이드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지젝 / 자율주의: 네그리 · 베라르디 / 기타: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모턴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수학철학 |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스마트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블록 · 처칠랜드 · 잭슨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카프 · 위너 · 엘륄 · 일리치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르포르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윙어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덕 윤리학: 앤스콤 · 머독 · 풋 / 의무론: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스크러턴 / 공리주의: 헤어 · 파핏 · 싱어 / 메타윤리학: 맥키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기타: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베나타 | ||||||||
인식론 |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모랭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소사 · 아우디 · 프리커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카우프만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오토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와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하우어워스 · 웨스트 / 기독교 변증학: 반틸 · 루이스 · 쉐퍼 · 스윈번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그리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해스랭어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회슬레 · 사이토 | ||||||||
역사철학 | 트뢸치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진 · 코젤렉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반 일리치 Ivan Illich | |
| |
본명 | 이반 도미니크 일리치 (Ivan Dominic Illich) |
출생 | 1926년 9월 4일 |
오스트리아 빈 | |
사망 | 2002년 12월 2일 (향년 76세) |
독일 브레멘 | |
직업 | 철학자, 신학자 |
성향 | 아나키즘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 태생의 철학자, 신학자, 아나키스트로 현대사회의 제도들을 비판하면서 자율적이면서도 소박한 삶을 추구하였다.2. 생애
이반 일리치는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가톨릭 신자였고 어머니는 독일계 유대인이었는데, 어린 시절에 어머니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나치 독일이 박해하자 가족 전체가 이탈리아 피렌체로 가게 됐다. 그리하여 일리치는 피렌체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그는 곧 신학에 관심을 가졌고 로마 그레고리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잘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각각 배웠다. 대학 생활은 그에게 문제 의식을 가져다 주는 계기가 되었고 1951년 그는 로마를 떠나 뉴욕으로 가서 그곳의 아일랜드-푸에르토리코 교구의 신부로 활동한다.[1]1956년부터 1960년까지 일리치는 푸에르토리코 가톨릭대학 부총장을 역임했는데, 지역의 거주민들을 받아들이지 않는 교회를 비판했다. 또한 푸에르토리코의 주교들이 정치에 개입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이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 일로 그는 푸에르토리코를 떠나야 했다. 1961년부터는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에 정착해 '문화교류문헌자료센터(CIDOC)'를 설립하고는 자본주의와 산업화를 비판하는 대안적 활동과 정책을 모색했다. 이런 활동을 하면서 일리치는 교회의 세속화, 관료제, 교조주의 등에 비판의 날을 세웠고, 이는 그와 로마 교황청 간의 긴장관계를 심화시켰다. 결국 1967년 교황청은 일리치를 파문하고야 만다.[2]
하지만 파문은 오히려 그가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그는 본격적으로 저술과 강연 활동에 앞장섰고 특히 현대사회의 제도를 크게 비판하였다. 그는 서로 자발적으로 돕고 살았던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이상적으로 바라보았고, 제도에 의해서가 아닌 자기 자신의 자율적이고도 친절한 실천을 강조하였다. 그는 교육, 건강, 교통, 사랑, 노동, 에너지, 성 등의 다양한 분야를 파고들며 연구를 지속했고 그 결과를 많은 책으로 출판하였다. 현대 문명에 단호히 도전하는 그의 활동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사회주의, 아나키즘, 생태주의 등의 사상에도 영향을 끼쳤다.
1992년 일리치는 암에 걸렸다. 하지만 그는 병원에서 치료받지 않고 스스로 병을 감내하는 것을 선택했다. 그는 발병 10년 후인 2002년 독일 브레멘에서 세상을 떠났다.
3. 저서
- 《탈학교 사회(Deschooling Society)》[3]
- 《병원이 병을 만든다(Medical Nemesis)》
- 《깨달음의 혁명(Celebration of Awarness)》
- 《절제의 사회(Tool For Conviviality)》
- 《전문가들의 사회(Disabling Professions)》
- 《그림자 노동(Shadow Work)》
- 《젠더(Gender)》
-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Energy and Equity)》
-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The Right to Useful Unemployment)》
- 《텍스트의 포도밭(In the Vineyard of the Text)》
-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In the Mirror of the Past)》
- 《ABC, 민중의 마음이 문자가 되다(ABC : The Alphabetization of the Popular Mind)》
- 《이반 일리치와 나눈 대화(Ivan Illich in Conversation)》
[1] 사실 그는 사제서품을 받고 나서 교황청 국제부에서 일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그는 빈민들과 함께 하고자 그 기회를 과감히 포기한다.[2] 당시 교황청은 CIA의 보고서를 도용해 그를 소환했다. 하지만 일리치는 침묵으로 응답했다.[3] '학교 없는 사회'로 번역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