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0:41:27

조지 허버트 미드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대륙철학
현상학 후설 · 셸러 · 레비나스 · 앙리
하이데거
실존주의 사르트르 · 메를로퐁티 · 보부아르 · 야스퍼스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루카치 · 그람시 · 코르쉬 · 블로흐 · 알튀세르 · 네그리 · 발리바르 · 바디우 · 랑시에르 · 지젝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분석철학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미드 · 듀이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덤밋 · 셀라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folding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영미정치철학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George Herbert Mead
조지 허버트 미드
파일:허버트 미드.jpg
이름 George Herbert Mead
조지 허버트 미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863년 2월 27일
매사추세츠주 사우스 하들리
사망 1931년 4월 26일 (향년 68세)
일리노이주 시카고
모교 오벌린 칼리지 (B.A.)
하버드 대학교 (B.A.)
직업 철학자, 사회학자, 심리학자
경력 미시간 대학교 (교수)
시카고 대학교 (교수)

1. 개요2. 생애3. 사상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사회학자, 철학자. '미드의 자아 이론'으로 유명하며 이는 이후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1]

보통 3대 고전 사회학자로 카를 마르크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을 꼽는데, 여기에 '게오르크 지멜'과 '미드'까지 끼워서 5대 고전 사회학자로 부르기도 한다.

2. 생애

미드는 1863년 미국 매사추세츠에서 목사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모님 모두 학문적 성향이 있었으며,[2] 부친이 오벌린 칼리지에 출강하기 위해 1870년 오하이오로 이주한다. 그러나 겨우 10년 뒤 그가 겨우 고등학생일 무렵 부친이 사망하여 가족들은 집을 팔고 셋집으로 이사할 수밖에 없었다. 1883년 오벌린 칼리지를 졸업했으나 곧바로 학자의 길을 걷지 않는다. 오히려 졸업 이후 6개월간 고등학교 교사 생활을 했으며 약 4년간은 철도 측량사나 가정교사로 일했다.

졸업 후 4년이나 지난 1887년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하여 공부를 시작한다. 이 때의 전공은 철학. 대학원 생활 중 지적 관심을 철학에서 사회심리학 쪽으로 옮기게 되며, 대학원 두 번째 해에 독일 라이프치히로 건너가 분트의 실험실연구를 접하며 그 다음 해엔 베를린에서 게오르크 지멜의 강연을 듣는다. 베를린에선 심리학 뿐만 아니라 각종 독일 철학을 접하며 그의 사회심리학 사상에 철학을 접목시킨다.

1891년 미시간 대학교의 철학 및 심리학 강사로 초빙되어 미국으로 돌아왔으며 이 때 미드의 지적 이론의 주요 개념을 제공한 존 듀이와 만난다. 존 듀이는 미드와 함께 프래그머티즘 철학 조류의 기원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듀이와 함께 시카고 대학교으로 옮겨 철학과 교수가 되었으며 1931년 사망할 때까지 재직하였다.

3. 사상

그는 유기체와 그 환경세계에 대한 이론을 사회학의 영역에 적용시켰는데 그의 말에 따르면 인간 자아에는 'I'와 'Me'가 있다고 한다. 'I'는 주체적 자아로서, 주체적 행동을 유발하는 개인적 측면의 자아이며 'Me'는 객체적 자아로서, 사회의 규범과 가치 및 기대가 사회화 과정을 통해 내면화된 사회적 측면의 자아이다. 'Me'는 일반화된 타자들(Generalized Others)의 기대를 내면화한 자아이면서 동시에 'I'가 유발하는 주체적인 행동을 사회적 욕구에 맞게 조절한다. 인간의 자아는 이렇게 두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양자가 한 인간 안에서 서로를 견제한다. 자아 속에 'I'와 'Me'는 상호 균형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데, 'Me'가 없을 경우 남들과의 체계적인 상호작용을 이룰 수가 없고 'I'가 없으면 타자와의 상호작용은 기계적인 것에 불과하게 된다. 개인과 사회는 이런 식으로 상호연관적이며 역사 또한 거기서 형성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4. 관련 문서


[1] 미드는 철학과 사회심리학을 주로 배우다가 사망하기 이전까지 시카고 대학교의 철학과에서 강의하였는데, 그가 연구하던 철학적 사회심리학과 사회학적 사회심리학의 학자들의 의견들이 상호 결합하며 상징적 상호작용론 학파가 탄생하였다.[2] 부친은 수사학과 신학 강의를 했으며 모친은 나중에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의 총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