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시 - 22시 이상호의 드림팝 | ▶ | 22시 - 0시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 | 0시 - 2시 이각경의 해피타임 4시(재) |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
| |
<colbgcolor=#f57625><colcolor=#fff> 방송사 | 동양방송 한국방송공사 |
방송 채널 | 동양라디오 → KBS 제3방송 (1964년 5월 9일 ~ 1981년 9월 6일) |
KBS HappyFM (제2라디오) (1981년 9월 7일 ~ 1991년 5월 5일) (1992년 10월 5일 ~ 현재) | |
방송 시간 | 매일 22:00 ~ 24:00 |
연출 | 유경숙 (2024년 3월 25일 ~ 현재)[1] |
작가 | 구은영 |
진행자 | 유지원 아나운서 (2018년 10월 1일 ~ 현재)[2] |
웹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오늘 밤은 평화롭게, 내일은 더 근사하게."
녹음방송 시 클로징 멘션.[4]
매일 밤 10시부터 2시간 동안 방송하는 KBS 제2라디오의 심야 음악 프로그램. 줄여서 "밤그대"로 부른다.녹음방송 시 클로징 멘션.[4]
1964년 5월 9일부터 무려 [age(1964-05-09)]년째 방송 중인 장수 프로그램과 동시에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오래된 라디오 프로그램과 동시에 현존하고 있는 밤시간대 프로그램중 최장수 프로그램이다.[5] RSB 라디오서울[6]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가 이후 동양방송의 동양라디오로 이어지고,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라디오가 KBS 제3방송으로 바뀐 이후에도 방송을 계속하다가 1981년부터 KBS 제2라디오로 옮겨왔다. 1991년에 생활정보 위주의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잠시 종방[7]하기도 했으나 1992년에 다시 부활하여 지금까지 방송 중이다. 쿨FM의 FM대행진과 더불어 동양방송 출신 프로그램 중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유이한 방송이다.[8]
현재 진행은 유지원 아나운서. 프로그램 내에서는 유디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2018년부터 5년 넘게 진행 중인데, 몇 년만 더 있으면 동양방송 시절 황인용 DJ의 진행 기간을 뛰어넘어 밤그대 최장수 DJ 기록을 세우게 된다. 황인용, 유지원 인터뷰 영상첫 방송 때나 지금이나 밤 10시에 방송을 시작하지만, 2001년 봄 개편 때 FM 인기가요가 KBS 2FM에서 KBS 제2라디오로 옮겨오면서 한동안 자정부터 새벽 2시까지 편성된 적이 있다. 이로 인해 자정부터 대북방송이 KBS 제2라디오로 릴레이되었던 일부 지역국에서는 그 당시 밤그대를 자정에 들을 수 없었다. 성시경이 황수정의 대타 DJ를 맡을 무렵에 이 릴레이 봉인이 해제되었다. FM 인기가요의 종방 이후에는 밤 10시로 다시 복귀했다.
동양방송 때부터 지금까지 'La Reine de Saba(시바의 여왕)'를 시그널 뮤직으로 쓰고 있다. 동양방송 시절에는 폴 모리아 버전을 사용했으나(원곡, 실제 녹음본) 현재는 레이몽 르페브르가 편곡한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2017년 9월 4일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이홍기의 키스 더 라디오를 대체 편성하다가, 2018년 1월 24일 파업 복귀로 방송이 다시 재개되었다.
DJ가 누구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향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유영석과 임지훈이 맡았던 5년여 간은 LP도 틀고 팝송과 7080 위주의 프로그램이었으나, 2016년 봄 개편으로 강서은 아나운서가 들어오면서 동 시간대 CBS 음악FM의 '꿈과 음악 사이에'와 선곡 스타일이 상당히 흡사해졌다. 1990~2000년대 발라드, R&B 위주로 선곡되며 종종 팝송도 나온다. 2018년 가을 개편으로 유지원 DJ가 들어온 이후에도 선곡 스타일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평일에도 1부는 생방송, 2부는 녹음방송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2. 역대 DJ
(본 DJ표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하였음을 알립니다)별(☆) 표시가 되어 있는 진행자는 KBS 아나운서.
- 이성화 (1964~1972)
- 양희은 (1972~1974)
- 서유석 (1974~1975.3)
- 황인용[9] (1975.4~1981.9)(★)
-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에 따라 동양라디오 → KBS 제3방송으로 흡수)
- (1981년 9월 8일 KBS 제3방송 → KBS 제2라디오로 채널 이동)
- 송승환 (1981.9~1983)
- 이홍렬, 이성미 (1982~1983)
- 전영록, 유지인 (1983~1984)
- 김창완, 김현주 (1984~1985)
- 박중훈 (1985~1986)
- 원종배 (1986~1987)(★)
- 배한성, 길은정 (1987~1988)
- 박중훈 (1988)
- 최수종, 하희라 (1988~1990)
- 변진섭 (1990.4.9~1991)
- 송승환 (1991~1991.5)
- (1991년부터 1년 간 방송 중단)
- 노영심 (1992.10~1993)
- 손무현 (1993~1994)
- 김호진 (1994~1995)
- 황필호 (1995~1996)
- 오재호 (1996~1999)
- 김지수, 김정은, 황수정 (1999~2001)
- 손미나 (2001.10.16~2002.10.21)[10](★)
- 박진희 (2002.10.22~2003.10.20)
- 신애라 (2003.10.21~2004.10.18)
- 이지희 (2004.10.19~2005.5.2)
- 이소라 (2005.5.3~2005.10.25)
- 손미나 (2005.10.26~2007.4.16)(★)
- 고민정 (2007.4~2009.4)(★)
- 소유진 (2009.4~2010.12)
- 유영석 (2011.1~2013.10)
- 임지훈 (2013.10~2016.4)[11]
- 강서은 (2016.4~2018.9.30)(★)
- 유지원 (2018.10.1~)(★)
3. 코너
3.1. (월~금 1부) 생각이 켜진 밤
밤은 깊어가는데, 잠은 안 오고...
머릿속을 떠다니는 수많은 물음표와 느낌표가
끝없이 말을 거는, 생각이 켜진 밤
장문의 사연을 소개하는 코너. 사연에 따라 DJ의 1인 상황극을 함께 하는 경우도 있다.머릿속을 떠다니는 수많은 물음표와 느낌표가
끝없이 말을 거는, 생각이 켜진 밤
3.2. (월~금 2부) 오늘의 밑줄
문득 마음을 멈추게 되는, 오늘의 밑줄
노래 가사와 영화, 책 속에 담긴 명대사를 각각 1개씩 소개하고 그에 맞춘 노래를 들려주는 코너. 평일 2부는 사연 소개 없이 이 코너로만 진행한다. 2024년 3월 25일 봄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3.3. (토) 밤의 여행자들
귀로 즐기는 세계 여행!
감성 여행의 필수품인 플레이리스트까지,
야무지게 챙겨서
우리, 함께 떠나요.
DJ가 가이드가 되어 여행지를 소개하는 컨셉으로 진행하는 코너.감성 여행의 필수품인 플레이리스트까지,
야무지게 챙겨서
우리, 함께 떠나요.
3.4. (일) 월간 작곡가
한 달에 한 명, 작곡가를 정해서
그 작곡가의 노래와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시간.
2023년 12월 3일 방송을 시작했다.그 작곡가의 노래와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시간.
4. 청취 방법
4.1. 지상파 라디오 (FM/AM)
이 프로그램은 거의 전국에 송출되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방송을 들을 경우 수도권과 경남 동부권에서 주파수를 106.1㎒[13]로 맞추면 청취할 수 있다. 그 외 지역일 경우 KBS 홈페이지의 주파수 표를 참조해 보자.[14]4.2. 인터넷 스트리밍 (KONG, KBS+)
이 방법은 사용하는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하고,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데이터 통신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또, 이 방법으로 다시듣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KBS 웹 회원이어야 했으나 지금은 가입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 KONG
KBS의 인터넷 기반 설치형 라디오 앱 KONG(Windows, 안드로이드, iOS)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만 된다면 KBS에서 제공하는 모든 라디오를 들을 수 있다.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안드로이드나 iOS 앱은 비교적 최근에 나왔지만 윈도우 앱은 몇년째 그대로인지 참...보이는 그대로 '콩'이라고 읽으면 된다.다만 음질이 거지같은건 덤이다
이 앱의 장점은 선곡표가 실시간 제공되기 때문에 지금 무슨 노래가 나오는지 궁금해서 음악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플레이어K에는 이 기능이 없다. 원래는 콩3 버전까지 있다가 지금은 버전이 다시 1.x로 바뀌었다.[15] 기존에는 윈도우 98 SE도 지원했으나 현재는 윈도우 7 이상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지못미 윈도우 XP
- KBS+
PC에서 KBS+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기로 접속하면 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드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하는데, F12 개발자 도구에서 사용자 에이전트 문자열을 구글 크롬으로 설정하면 그리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KBS+로 개편되면서 부터는 더 이상 그리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는 여기, iOS는 여기에서 KBS+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KBS+가 KONG보다 나은 점이 있다면 TV 방송도 지원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KBS TV를 자주 시청하는 애청자라면 KONG 대신 KBS+만 설치해도 된다.
5. 사연 보내기
사연을 보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SMS/MMS: #1061로 보내면 되고, SMS는 50원, MMS는 10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된다.
- KONG, KBS+, 홈페이지 게시판: SMS/MMS와 달리 정보이용료가 없지만 KBS 홈페이지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KONG과 KBS+는 비교적 짧은 글을 보낼 때 유용하고, 장문의 사연을 보내고 싶다면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6. 둘러보기
||<-9><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rowcolor=#fff>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C | 05:00 | 이슬기의 상쾌한 아침(2FM 수중계) | ||||||
B | 06:00 | |||||||
A | 07:00 | 우리의 아침, 조경아입니다[A] | ||||||
08:00 | ||||||||
09:00 | 주현미의 러브레터 | |||||||
10:00 | ||||||||
11:00 | 박명수의 라디오쇼(2FM 수중계) | |||||||
12:00 | 임백천의 백뮤직[A] | |||||||
13:00 | ||||||||
14:00 | 은가은의 빛나는 트로트 | |||||||
15:00 | ||||||||
B | 16:00 | 이각경의 해피타임 4시 | ||||||
17:00 | ||||||||
A | 18:00 | 스윗 드라이브 인호진입니다[A] | ||||||
19:00 | ||||||||
20:00 | 이상호의 드림팝 | |||||||
B | 21:00 | |||||||
22:00 | 밤을 잊은 그대에게 | |||||||
23:00 | ||||||||
C | 24:00 | 이각경의 해피타임 4시 | ||||||
01:00 | ||||||||
02:00 | 팝스 프리덤 | |||||||
N | 03:00 | SIGN OFF | ||||||
04:00 | ||||||||
04:53 | 여기는 제2라디오 | |||||||
xx:57~ | KBS 해피FM 57분 교통정보(~20:58) | |||||||
[A] 수도권 방송 기울임체 표시는 재방송 |
한국방송대상 | ||||
라디오연예오락부문 작품상 | ||||
배칠수 김세아의 9595쇼 (2014년) | → | 임지훈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2015년) | → | 송은이, 김숙의 언니네 라디오 (2016년) |
[1] 송진우의 용감한 라디오에서 이동[2] 다만 2024년 12월 9일부터 유지원 아나운서의 건강상 문제로 허유원 아나운서가 임시진행 중이다.[3] 2018년 11월 22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다.[4] 생방송 클로징은 "내일 다시 만나요~" 등 다른 인삿말로 대신하고 있다.[5] 최장수 라디오 프로그램은 1957년에 시작된 자매채널의 KBS 무대[6] 동양방송의 동양라디오와 이를 KBS가 인수하여 방송했던 KBS 제3방송의 전신이다. 언론통폐합으로 동아방송을 KBS가 인수하여 방송했던 KBS 라디오서울(제4방송)과는 전혀 다른 방송국이다.[7] 후속으로 "밤과 세상사는 이야기"라는 중장년층 대상 교양정보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8] 다만, 한차례 종방된 경력때문에 개근 프로그램에서는 논외로 친다. 대조적으로 FM대행진은 1975년 11월 10일 첫 방송 후 어떠한 방송 중단이나 종방없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9] 동양방송 동양라디오의 최후의 멘트를 남긴 걸로 유명한 명 DJ다.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에서 한국방송공사로 편입.[10] 드라마 스케줄 문제로 황수정이 불과 3개월 만에 중도 하차하는 바람에 당시 갓 데뷔한 가수 성시경이 대타 DJ를 잠시 맡아 라디오 진행자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얼마 후 손미나에게 넘겼다.[11] 7080 시대를 빛냈던 포크가수로 비투비 임현식의 아버지인 그 분 맞다.[12] 유지원 아나운서의 건강상 문제로 당분간 허유원 아나운서가 진행한다. 다만 여전히 프로그램의 정식 명칭은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이다.[13] 이 때문에 사연과 신청곡을 보내는 문자 번호가 #1061이다. 사실 수도권 기반의 전국 방송사들은 #8000, #8001 같이 동떨어진 번호를 쓰는 MBC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FM 주파수를 문자 번호로 쓰는 경우가 많다.[14] 만약 송출국이 없다면 야간에 AM(중파) 주파수(603, 558 kHz)로 맞춰 보자. 본사 해피FM의 AM 신호는 엄청난 대출력이라, 회절이 잘 되는 야간에는 전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15] 기존과는 다른 UI이다. 그리고 기존 버전은 지금 설치해도 서버 접속 실패로 사용이 불가하다.